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Analysis on Online Contents Services of National Archiv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08, v.8 no.2, pp.127-152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2.127
전수진 (방송통신위원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보존기록관리기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유형과 특징을 정리하여 기록관리기관이 콘텐츠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미국과 영국, 호주의 국립기록관과 우리나라의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조사하였다. 콘텐츠의 주요 목적과 구조, 콘텐츠와 이용자의 관계에 따라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유형별 및 국가별로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가 갖는 구조적․내용적 측면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keywords
기록정보콘텐츠, 기록정보서비스, 공공프로그램, 확장 서비스, archival content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service, public program, outreach program, archival content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service, public program, outreach program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zing the cases of on-line archival contents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web-sites and explaining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on-line archival contents servic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n, it examines the cases of on-line archival contents provided by web-sites of the USA, the UK, Australian and Korean national archives. The types of on-line archival contents service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main purpose of use, the structure, and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and users. Lastly, it summarizes their structural and thematic characteristics by type and country.

keywords
기록정보콘텐츠, 기록정보서비스, 공공프로그램, 확장 서비스, archival content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service, public program, outreach program, archival content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service, public program, outreach program

참고문헌

1.

김기덕. (2003).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1, 1-14.

2.

노영희. (2006).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건국대학교 출판부.

3.

박현주. (2005). 디지털 콘텐츠와 문화 수용. 정보통신정책연구, 17(9), 1-21.

4.

사경환. (2005). 정보용 디지털콘텐츠 개발 서비스 동향. 주간기술동향, , 1201-.

5.

서은경. (2006).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65-92.

6.

설문원. (2006). 이승만시기 국무회의록과 정부부처 기록의 연관구조 분석에 기반한 역사 컨텐츠 설계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15-136.

7.

설문원. (2008). 기록정보서비스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5(3), 249-271.

8.

심성보. (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기록학연구",16:201-256. 기록학연구, 16, 201-256.

9.

이영숙. (2007). 공공기록물 정보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73-94.

10.

이윤경. (2007). 아카이브즈의 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11.

이윤주. (2007). 기록관의 온라인 서비스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평가기준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6호), 143-201.

12.

이희숙. (2004). 인터넷을 통한 기록관 서비스 활동에 관한 연구.

13.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역사비평사.

14.

황동열. (2003).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4(1), 45-20.

16.

Pugh, Mary Jo. (2004).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In 기록정보서비스:진리탐구.

17.

Smith. Customer Focus and Marketing in Archive Service Delivery: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4(1), 35-53.

18.

Walsh, Ben. Teacher's Booklet. A Guide to the Learning Curve. http://www.learningcurve.gov.uk/howto/teacherbooklet.

19.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20.

나라기록통합검색. http://search.archives.go.kr.

21.

나라기록포털. http://contents.archives.go.kr.

23.

America's Historical Documents. http://www.archives.gov/historical-docs.

24.

Australia's Prime Ministers. http://primeministers.naa.gov.au.

25.

Digital Vaults. http://www.digitalvaults.org.

27.

Documenting a Democracy. http://foundingdocs.gov.au.

28.

Family Records.

30.

Learning Curve.

31.

Moving Here.

32.

National Archives.

33.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http://www.naa.gov.au.

37.

Palaeography: reding old handwriting 1500- 1800. http://www.nationalarchives.gov.uk/palaeography.

39.

The National Archives. http://www.nationalarchives.gov.uk.

40.

Uncommon Lives.

41.

Virtual Reading Room. http://vrroom.naa.gov.au.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