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의의와 개선방안 - 국가기록원의 위상과 국민의 알권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Legal Statu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Right to Know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08, v.8 no.1, pp.5-25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005
김유승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은 2007년 4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현행 기록물관리법의 개정 방향과 의의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우리의 기록물관리제도는 1999년 기록물관리법의 제정을 시점으로 지난 몇 년간 괄목할 만한 외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우리의 기록관리 법제도는 기록의 생산, 관리, 공개, 이용 등 기록물 관리 전반에 걸친 적잖은 문제점들을 노정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록물관리체계, 기록물 공개열람 정책, 전자기록물체계를 중심으로 기록물관리법의 개정 내용을 살피고, 국가기록원의 위상 및 기록물공개의 기준예외규정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와 함께 현행 기록물관리법에 미비한 웹 기반 기록물의 수집과 보존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의 법제도적 위상 제고, 기록물 비공개분류 기준절차예외 규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keywords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국가기록원, 알권리, 공개, 전자기록물,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national archives, right to know, open to the public, digital records,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national archives, right to know, open to the public, digital records

Abstract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hich revised in October 2006 and put in force in April 2007. Sinc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has been enacted in 1999, the external development of record management is significant. The Road Map for Record Management Reform in 2005 and the Information Strategy Project in 2006 are prime examples. However, our legal system concerning record management is still posing a number of problems, ranging from issues about objects and definitions of record management to issues of access. These issues have been subject to serious critics from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civil organizations and academics. The article analyses a legal statu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issues concerning access to current and archival records.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 article provides alternative plans.

keywords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국가기록원, 알권리, 공개, 전자기록물,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national archives, right to know, open to the public, digital records,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national archives, right to know, open to the public, digital records

참고문헌

1.

곽건홍. (2003).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역사비평사.

2.

곽건홍. (2006). 한국 국가기록 관리 체제 ‘혁신’의 성격 - 기록관리법 개정안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3(13호), 3-40.

3.

곽 정. (2006).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 2006년 기록관리시스템 혁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4(14호), 153-190.

4.

국가기록원.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교육 교재.

5.

국립중앙도서관. 2006년도 OASIS 자체평가 보고서. http://www.oasis.go.kr.

6.

김유승. (2007). 웹 아카이빙의 법제도적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20-24.

7.

김성수. (2004). 기록관리법의 개정과 관련한 제문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41-75.

8.

김세경. (2007). 우리나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규의 변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5-38.

9.

김창조. (2008). 비공개상한제도 도입방안 (-). 제1회 기록관리 포럼 자료집. 국가기록원.

10.

노경란. (2004). 북미지역 기록관리체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164-191.

11.

민진. (1999). 책임운영기관(Agency). 고시연구, 304, 51-60.

12.

서혜란. (2004). 웹아카이빙의 성과와 사례. 한국비블리아, 51(1), 5-22.

13.

세계일보. 기록이 없는 나라: <6-3> 해외에선 정보기관 기록 독점 “NO".

14.

송병호. (2005). 진본성 확보를 위한 전자기록물 관리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43-59.

15.

안지현. (2006). 비공개 기록의 관리와 활용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3(13호), 135-185.

16.

유일상. (2005). 정보공개법상 비공개정보의 범위에 관한 비교법제적 연구 -한․미․영․일을 중심으로-. 헌법학연구, 11(3), 445-486.

17.

윤광재. (2007).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비교연구: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2), 167-189.

18.

이경용. (2002). 한국의 근현대 기록관리제도사연구: 1894-1969년.

19.

이상민. (1999). 미국의 정보공개제도와 비밀기록물 관리제도. 기록보존, 12, 87-109.

20.

이상민. (2002). 미국 연방기록 관리제도와 그 이용. 미국사연구, 16, 331-360.

21.

이아현. (2008). 기록물관리기관 공개관리 제도 개선방안 (-). 제1회 기록관리 포럼 자료집. 국가기록원.

22.

이원규. (2002). 한국 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진리탐구.

23.

전현수. (2006). 한국 현대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1969-1999). 기록학연구, 15, 39-66.

24.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

25.

참여연대.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개정안에 대한 참여연대 의견서.

26.

Article 19. The public's right to know: Principles on freedom of information legislation. http://www.article19.org/pdfs/standards/righttoknow.

27.

BnF. BnF.2006.Web Archiving at BnF. http://www.bnf.fr/pages/version_anglaise/depotleg/pdf.

28.

Council of Europe Committee of Ministers. (2000). Recommendation No. R(2000)13 of the Committee of Ministers to Member States on a European Policy on Access to Archives.

29.

D&W. Freedom of Information and the Public Interest Test. http://www.jisclegal.ac.uk/pdfs/FOI_PublicInterestDundasWilson.

30.

Hammitt. (2002). Litigation under the federal open government laws(21st ):Electronic Privacy Infor- mation Center.

31.

Henriksen. Legal Deposit from the Internet in Denmark: Experi- ences with the Law from 1997 and the Need for Adjustments. Pre- serving the Present for the Future: Strategies for the Internet confer- ence. The Royal Library, Copenha- gen 18th-19th of June 2001. http://www.deflink.dk/upload/doc_filer/doc_alle/1023.

32.

Historical Manuscript Commission. (1999). The Twenty-eighth Report of the Royal Commission on Historical Manu- script:The Stationery Office.

33.

Information Commissioner's Office. Freedom of Information Act Aware- ness Guidance No 3.

34.

Information Security Oversight Office. http://www.fas.org/sgp/isoo/2005rpt.pdf.

35.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1996.Code of Ethics.

36.

Isikoff. Isikoff,Micheal.2007.Challenging Cheney.Newsweek.[online]. http://www.newsweek.com/id/81883/output/print.

37.

TNA. TNA.2007.The National Archives' Frame-work Agreement. http://www.nationalarchives.gov.uk/documents/executive-agency-framework-agreement.pdf.

38.

Williams. (2006). Managing Ar- chives:Chandos Publishing.

3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40.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41.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42.

"전자정부법"[일부개정. 전자정부법.

43.

출판문화산업진흥법.

44.

행정안전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45.

U.S. Executive Order 12829 National In- dustrial Security Program.

46.

U.S. Executive Order 12958 Classified Na- tional Security Information.

47.

UK. Freedom of Information Act.

48.

UK. Freedom of Information(Scotland) Act.

49.

44. U.S.C. Chapter 21-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