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기관 ‘비공개 세부 기준’ 개발 전략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for Public Institutio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21, v.21 no.1, pp.117-139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117
황진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임지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변우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임진희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비공개 세부 기준은 기관에서 비공개해야 하는 대상 정보와 그에 대한 근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보공개법에 따라 업무성격을 고려하여 수립 및 공개하여야 하며, 지속적인 현행화가 요구된다. 실무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도구이자 국민의 알권리를 보호하는 주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비공개 세부 기준’의 취지와 역할을 돌아보거나 공공기관의 개발, 운영 현황을 살펴 본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공개 세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발주기관과 연구사업 수행팀의 전략을 A기관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두 기관 간의 의사소통 및 사업 과정 중의 세부사항을 공유함으로서 향후 비공개 세부 기준을 개발 하려는 공공기관에 실무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Information disclosure, Information disclosure act,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Appraisal of information disclosure, 정보공개, 정보공개법, 비공개 세부 기준, 정보공개 평가

Abstract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of an institution include subject information and rationale that should not be disclosed by the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such standards must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work, and continuous implementation is required. However, studies that reviewed the purpose and role of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or the status of public institution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standards were insufficient despite such standards being an indispensable tool in practice and a major device to protect the people’s right to know.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strategies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the research team to develop detailed standards for nondisclosure through the case of institution A. This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public institutions that intend to develop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in the future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stitution A and the research team and sharing details during the project process.

keywords
Information disclosure, Information disclosure act, Detailed nondisclosure standards, Appraisal of information disclosure, 정보공개, 정보공개법, 비공개 세부 기준, 정보공개 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