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시기관 기록물 관리 법령 및 현황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Records Management for Temporary Agencies based on Regulations and Current Status Analysi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9, v.19 no.4, pp.87-114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4.087
김민경(Min Kyung Kim)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석사과정)
윤은하(Eun Ha Youn)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부교수,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연구원)
오효정(Hyo-Jung Oh)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사회적 이슈에 따른 한시기관이 설립이 늘어남에 따라, 한시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기록물 관리 관련 법령의 모호함, 제한된 업무 인원, 기록물 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한시기관 기록물 관리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법령과 실무 사이의 괴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한시기관의 개념 및 특성을 정립하고, 행정위원회 현황 및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다양한 한시기관들의 기록물 관리현황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법령에 따라 관련 기관들을 선정, 심층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실제 업무를 수행할 때 나타내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법․제도적 측면, 기록물 관리업무 측면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시기관 기록물 관리를 위한 전체 프로세스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제안된 개선안은 향후 한시기관 기록물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keywords
Temporary Agencies, National Archives, Records Management,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한시기관, 국가기록원, 기록물 관리,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Abstract

With the increase of the establishment of temporary institutions in accordance with social issues, the importance of managing recor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institutions is highlighted. However, because of the ambiguity of laws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the limited number of employees, and the lack of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by temporary institutions, the records manage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gaps between statutes and practices and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m. As suc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institutions were identified through requests for disclosure of information. Moreover,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committee and the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various temporary organizations were determined as well. Finally, improvement measures were drawn and proposed in terms of law, system, and record management by selecting relevant institutions in accordance with the Act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monitored the entire process of managing the records of existing time organizations and will serve as the basis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future ones.

keywords
Temporary Agencies, National Archives, Records Management,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한시기관, 국가기록원, 기록물 관리,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