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디지털 사진기록물 관리를 위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aw Image File Formats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9, v.19 no.3, pp.155-178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155
박준영 (전남대학교)
이명규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디지털 사진기록물 관리에 적합한지 평가하고, 공공기관에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활용하기 위한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은 적용된 이미지 편집을 되돌릴 수 있는 가역성과 편집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닌다. 하지만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대다수가 디지털카메라 제조업체에 종속된 독점 파일 포맷이라는 문제가 있다.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표준화하기 위해 개발된 DNG 포맷은 해외 공공기관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공식 표준 혹은 사실상 표준으로 완전히 인정받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어 표준 Raw 포맷이 등장하기까지 잠정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대검찰청에서 포맷 변환한 디지털 사진 파일을 법적 진본성을 가진 원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포맷 변환하여 생성한 DNG 파일과 원본 Raw 파일을 캡슐화하여 병행 보존하고, 장기적으로는 포맷 변환하여 생성한 DNG 파일만으로 법적 진본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디지털 사진기록물의 해시값과 파일 크기 기준 시점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디지털 사진기록물,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 이미지 파일 포맷, Raw 이미지 파일 포맷, 독점 파일 포맷, 파일 포맷 변환,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Born-digital photographic records, Image file format, Raw image file format, Proprietary file format, File format conversion

Abstrac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aw image file formats, evaluate its suitability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and suggest the introduction method to utilize such format in public institutions. Raw image file formats feature reversibility and flexibility. However, most of them are proprietary file formats that depend on the digital camera manufacturer. The DNG format, which was developed to standardize raw image file formats,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overseas public agencies. However, the DNG format is not fully recognized as a standard; hence, it is appropriate to use it tentatively until the standard raw format appears. On the other hand, the converted digital photo file format is not recognized as an original with legal authenticity. Therefore, in the short term, DNG files created by format conversion and original raw files should be encapsulated and preserv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baseline of the hash value and file size to recognize the legal authenticity only with DNG files in the long term.

keywords
디지털 사진기록물,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 이미지 파일 포맷, Raw 이미지 파일 포맷, 독점 파일 포맷, 파일 포맷 변환,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Born-digital photographic records, Image file format, Raw image file format, Proprietary file format, File format conversion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