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독립 운동 컬렉션 분류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공훈전자사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cus on the Gonghun Digital Archive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4, pp.99-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099
오정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기록관리학)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독립 운동 컬렉션에 대한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출처별 분류 체계는 계층별로 구성하였으며 출처별로 분류된 기록물들은 관련 주제어에 따라 2차 분류한 후, 17가지 자료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출처-주제-자료유형’의 인용 순서로 기술하였다. 또한 주제어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컬렉션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이용자가 기록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립 운동 DB 자료의 기록물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체계로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keyword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Gonghun Digital Archive collection, provenance, 국가보훈처, 독립 운동 기록물, 분류 체계,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 출처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based on the collection of Gonghun Digital Archive based on sources, subjects, and media types. First,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source is organized by hierarchy, and the records classified by source are classified into the second category based on the related keyword. Then, the records are classified into 17 media types. Finally, it is described in the citation order of “source-subject-media type.” In addition, a meaningful collection using inductive methods based on the subject words is derived. Finally, Gonghun Digital Archive collections are categorized by media types, sources, and subjects so that users can easily find the rec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classification system to support records retrieval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and it will become a basis for expand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and the service of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keyword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dependence movement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Gonghun Digital Archive collection, provenance, 국가보훈처, 독립 운동 기록물, 분류 체계,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 출처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독립 운동 관련 판결문 자료집.

2.

김경남. (2017). 大原社會問題硏究所와 재일 한인 독립운동 오하라사회문제연구소 소장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7), 117-152. http://dx.doi.org/10.15799/kimos.2017..57.004.

3.

김솔아. (2013). 사할린 한인 관련 역사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방안 연구 : 국가기록원 컬렉션 수집 및 분류·기술을 중심으로.

4.

김유선. (2018).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의 소장 기록물 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1), 155-175. http://dx.doi.org/10.14404/JKSARM.2018.18.1.155.

5.

김정현. (2006). 연해주지역 항일독립 운동 기록 자료의 수집과 관리 (60-85).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6.

박성우. (2017).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통합분류체계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2), 373-403. http://dx.doi.org/10.16981/kliss.48.2.201706.373.

7.

박정옥. (2013). 5·18민주화운동 기록물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13(2), 5-42.

8.

설문원. (2011). 예술기록의 분류와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217-247.

9.

이영숙. (2005). 시민단체 기록 분류방안 연구 : 환경연합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73-101.

10.

장희우. (2014). 지방문화원 향토기록물 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 목포문화원 향토기록물을 중심으로.

11.

전명혁. (2004). 민주화운동기록물의 범주 및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사림, (21), 69-90.

12.

정광훈. (2013). 우리나라 대통령기록물의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419-448.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1.419.

13.

정진임. (2008). 매뉴스크립트 분류체계 개발방안 연구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장 「한국YMCA전국연맹」컬렉션을 중심으로.

14.

조동걸. (2010). 우사 조동걸 전집:역사공간.

15.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사전:역사비평사.

16.

황선도. (2014). 독립운동관련기록의 통합서비스를 위한 조직화 방안 연구 : 興士團을 사례로.

17.

Caravaca, M. M.. (2017). Elements and Relationships within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Italian). Italian Journal of Library,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8(2), 18-33.

18.

Jimerson, R. C.. (2002). Arrangement techniqu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OCLC Systems & Services; Bradford, 18(2), 75-.

19.

Szostak, R.. (2017). A Grammatical Approach to Subject Classification in Museums. Knowledge Organization, 44(7), 494-505.

20.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21.

광주광역시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관리 운영 조례.

22.

국가보훈처 훈령.

23.

국가보훈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령.

24.

독립기념관법률.

2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26.

사료의 수집․편찬 및 한국사의 보급 등에 관한 법률.

27.

5.18기념재단. http://www.518archives.go.kr/.

28.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

29.
30.

국가보훈처 공훈사료관. http://e-gonghun.mpva.go.kr.

31.

국가보훈처. http://www.mpva.go.kr/.

32.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http://archive.history.go.kr//.

3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 운동시스템. https://search.i815.or.kr/.

3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http://www.kdemo.or.kr/.

35.

아일랜드 국가기록원. http://www.nationalarchives.ie/.

36.

아일랜드 군 기록보존소. http://www.militaryarchives.ie/en/home/.

37.

인도 국가기록원 Abhilekh patal. http://www.abhilekh-patal.in/jspui/.

38.

인도 국가기록원(NAI). http://nationalarchives.nic.in/.

39.

중국 제2역사 당안관. http://www.shac.net.cn/shac_en/.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