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Archive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3, pp.193-219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19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In the 1990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Records in Public Institutions to produce and register records. Since the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act in 2006, it was wholly amended into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hich presented significant changes with regard to the functions and roles from the former act. According to the new act, there are 17 metropolitan governments subject to the legal obligation of a local archive installation, but most of them are not planning for the establishment of local archives except Seoul and Gyeongsangnam-do in 2018.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12 among the 14 record centers, which are the institutes that Daegu local archive will have managed,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was analyzed, and records more than 30 years in the institutes were investigated.

keywords
공공기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보존서고, 기록관, 대구광역시, Public agencies, local archive, repository, record center, Daegu Metropolitan City

Reference

1.

경기도. (2018). 경기도 2021년까지 기록원 건립.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325_0000261839&cID.

2.

경상남도.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건립 추진 배경.

3.

곽건홍. (2013). 지방기록관 설립의 쟁점 (47-53). 한국기록관리학회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4.

국가기록원. (2007).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령 해설집:국가기록원.

5.

국가기록원.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운영 지침.

6.

국가기록원. 기록물보존서고 신축 절차 가이드 라인.

7.

국가기록원.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시설․환경 기준.

8.

국가기록원. (2015). 중앙 및 권역별 아카이브 분담체제 연구용역. 국가기록원.

9.

국가기록원. (2017). 기관별 생산 및 보유현황. .

10.

국가기록원. 정부산하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지침.

11.

김정환. (2012). 주민자치센터 기능활용을 통한 동 단위 기록관리방안.

12.

대구광역시. (2007). 기록관리센터 설치계획 및 운영방안. .

13.

대전세종연구원. (2017).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및 운영:협성문화사.

14.

박문재. (2009). 광역지방자치단체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치모형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15.

부산광역시. 부산․영남권 아카이브스와 기록관의 비전 학술회의.

16.

서울특별시. (2007).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 기본 계획. .

17.

서울특별시. (2013). 서울기록원 건립을 위한 학술연구용역. .

18.

서한글. (2012).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19.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1.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4.151.

20.

이명순. (2011). 지방정부의 기록물관리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청을 중심으로.

21.

이세진. (2014). 서울기록원 건립 추진현황과 향후 과제 (309-315). 한국기록관리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22.

이윤용. (2017). 지방기록물관리를 위한 지방기록원 설립에 관한 연구.

23.

전주시. (2015). 전주기록원 설립을 위한 다울마당 결과보고. .

24.

전진한. (201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에 관한 쟁점과 제언 (137-143). 한국기록관리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25.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1-20). 한국기록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26.

한성산. (2010). 경기도 기록관의 기록관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