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SNS와 민원에 기반한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

Directions for Vitaliz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Analysis of SNSs and Civil Petitio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3, pp.165-191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165
정혜정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이해영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가기록원 등 일부 기록물관리기관에서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이용자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또한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이러한 기관과 소통하고,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채널에 제시된 댓글이나 민원의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이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소통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서비스 제공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 소셜미디어와 국민신문고를 통해 나타난 이용자의 인식 및 정보요구를 분석하였다. 국가기록원 대표 페이스북, e-기록 페이스북, 부산기록관 페이스북, 대통령기록관 페이스북의 게시물 및 댓글과 국민신문고의 민원에서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 나온 글을 대상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기록물관리기관에서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National Archives of Korea, Facebook, National Sinmoongo civil petitio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SNS, 국가기록원, 페이스북, 국민신문고 민원, 기록정보서비스, SNS

Abstrac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other archives now provide services through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or Twitter, and use such platforms to interact with users. To be specific, users communicate with and get information from these archives via the National Sinmoongo, the place for civil petiti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users’ needs and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by analyzing the comments and petitions that have appeared in these channel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users’ perceptions and information needs shared through social media and the National Sinmoongo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social media content analyzed here were posts and comments from the Facebook accou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e-Record, the Busan Archives, and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Also, sentences containing the words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hat have appeared in texts in the National Sinmoongo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that could activate the user-center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archives and records centers were made.

keywords
National Archives of Korea, Facebook, National Sinmoongo civil petitio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SNS, 국가기록원, 페이스북, 국민신문고 민원, 기록정보서비스, SNS

참고문헌

1.

강주연. (2016). 국내외 국립기록관의 트위터 운용 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3(3), 263-285.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3.263.

2.

김윤화. (2016).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http://www.kisdi.re.kr/kisdi/common/premium?file=1%7C13868.

3.

김지현. (2012).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67-187.

4.

김지현. (2015).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영국 국립기록관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225-253. http://dx.doi.org/10.16981/kliss.46.3.201509.225.

5.

김지현. (2016). 미국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63-8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6.27.4.063.

6.

김진태. (2017). 메신저 기반 챗봇(ChatBot) 기술의 동향과 군 적용방안. 국방과 기술, (459), 118-127.

7.

박덕란. (2014). 국가 기록관 웹사이트에 나타난 이용자 참여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261-281. http://dx.doi.org/10.16981/kliss.45.2.201406.261.

8.

박성호. (2005). 여론형성공간으로서 인터넷 자유 게시판의 저널리즘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3), 191-226.

9.

박종원. (2016). NVivo 11 Applications: Handling Qualitative Data:글로벌콘텐츠.

10.

설문원. (2015). 기록의 발견과 이해를 위한 온라인 검색가이드 연구 - 국립보존기록관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53-8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1.053.

11.

성효주. (2017). 기록물의 검색 향상을 위한 패싯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통령기록물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165-188.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2.165.

12.

송주형. (2014). 기록관리 대상으로서 SNS 연구. 기록학연구, (39), 101-139.

13.

우수영. (2006).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자적 질의/응답 기능 개선방안-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113-136.

14.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15.

이상헌. (2017).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기반한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16.

이창희. (2018).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중심으로.

17.

이해영. (2011). 기록관 웹사이트 검색어의 분석과 활용 -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93-112.

18.

이해영. (2014). 공공기록에 대한 접근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대통령기록관 주제시소러스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27-151.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4.127.

19.

이효은. (2015). 웹애널리틱스를 이용한 아카이브 이용자 분석 사례 연구. 기록학연구, (45), 83-120.

20.

임지수. (2002). 이용자 피드백을 이용한 전문도서관 전자게시판의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청소년개발원을 중심으로.

21.

정경희. (2006). 국가기록원 인터넷 게시판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283-303.

22.

진주영. (2018).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유입경로와 이용자 검색어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5(1), 183-203. http://dx.doi.org/10.3743/KOSIM.2018.35.1.183.

23.

Crymble, A.. (2010). An analysis of Twitter and Facebook use by the archival community. Archivaria, 70, 125-151.

24.

Duff, W. (2001). A virtual expression of need: an analysis of e-mail reference questions. The American Archivist, 64(1), 43-60.

25.

Hager, J. D.. (2015). To like or not to like: understanding and maximizing the utility of archival outreach on Facebook. The American Archivist, 78(1), 18-37.

26.

Kaplan, A. M. (2010).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53(1), 59-68.

27.

Rhee, H. L.. (2015). Reflections on archival user studie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54(4), 29-42.

28.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페이스북 데이터세트 수집. https://www.facebook.com/presidentialarchives/.

29.

국가기록원 대표 페이스북 데이터세트 수집. https://www.facebook.com/NationalArchivesofKorea/.

30.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페이스북 데이터세트 수집. https://www.facebook.com/NationalArchivesofKoreaBusanArchives/.

31.

국가기록원 e-기록 페이스북 데이터세트 수집. https://www.facebook.com/NationalArchivesofKoreaArchivalCollection/.

33.

국민신문고. 민원 질의응답 ‘국가기록원’ 검색. https://www.epeople.go.kr/jsp/user/on/srch/ks4Search.paid.

34.

국민신문고. 민원 질의응답 ‘대통령기록관’ 검색. https://www.epeople.go.kr/jsp/user/on/srch/ks4Search.paid.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