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의 소장 기록물 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Table of the Records of the Association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Hampyeong Massacre Victim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1, pp.155-175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155
김유선 (전남대학교)
이명규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의 소장 기록물에 대한 분류체계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기록물의 맥락을 기능적 출처주의를 통해 구현하며, 기록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형별 특성과 생산시기별 특성을 반영한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기능분류체계 개발 방법론인 DIRKS를 사용하여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의 업무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업무기능-업무활동-처리행위로 이어지는 업무분류표를 도출한다.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 소장 기록물을 유형과 생산시기별 특성을 고려하여 그 범주를 결정한다. 기록물 맵핑은 업무분류표에 해당하는 업무분류체계에 1차적으로 실행하고, 2차적으로는 업무분류에 유형분류와 시대분류를 접목한 다중분류체계에 맵핑한다. 업무주제-업무활동-처리행위-유형-시대의 형태로 이어지는 기록물 분류표를 도출한다.

keywords
업무분석, 다중분류체계, 매뉴스크립트, 민간 기록물, 민간인희생자유족회, business process analysis, multicategory system, manuscripts, private documents, Association for Bereaved Famili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records of the Association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Hampyeong Massacre Victims. The content of the records is accordingly implemented through a functional source principle, and a classification table is presented in such a way that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by type and by production period so that the records can be used effectively. DIRKS, a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is used to conduct a functional analysis of Hampyeong massacre victims’ families to derive a task classification table that leads to task function–work activity-handling actions. The category is determin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ype and nature of the time of the production of the records of the Hampyeong massacre victims’ families. The records are mapped according to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orresponds to the task classification table, and the multicategory system that drafts the type and period, which is used to classify the functions. The medical institution introduces a system for classifying records into task subjects, task activities, handling actions, types, and period.

keywords
업무분석, 다중분류체계, 매뉴스크립트, 민간 기록물, 민간인희생자유족회, business process analysis, multicategory system, manuscripts, private documents, Association for Bereaved Families

참고문헌

1.

김영택. (2001). 한국전쟁과 함평양민학살:사회문화원.

2.

김용일. (2008). 기업사료관 구축시 초기 수집사료 정리프로세스 연구.

3.

김익한. (2003). DIRKS-Manual의 실용적 적용. 기록학연구, (8), 212-267.

4.

박선주. (2010). 6.25전쟁 당시 함평군 해보면 광암리(불갑산 용천사지역)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인류학적조사. 중원문화연구, 15, 125-150.

5.

박정옥. (2013).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6.

신동희. (2016).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3.001.

7.

이무열. (2006).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의 이해 : 그 두 번째. 정세와 노동, 18, 76-93.

8.

이영숙. (2005). 시민단체 기록 분류방안 연구 : 환경연합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73-101.

9.

전명혁. (2003). 매뉴스크립(Manuscripts) 기록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역사연구, (13), 189-204.

10.

전명혁. (2001). 기록관(Archives)건립과정에서 아키비스트의 역할에 관한 연구-민주화운동자료관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 65-90.

11.

정진임. (2008). 매뉴스크립트 분류체계 개발방안 연구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장 「한국YMCA전국연맹」컬렉션을 중심으로.

12.

정호기. (2006).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의 결성과 진상규명운동-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1-76.

13.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 (2011). 함평집단학살희생자명예회복 사료집4 상권: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

14.

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 (2014). 함평양민집단학살희생자명예회복 사료집7:함평사건희생자유족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