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액티비즘 아카이브로서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

A Sample Paper for Activism Archiv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7, v.17 no.4, pp.27-49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027
이윤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이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동물권 운동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운동 중 하나로서 인정받기 시작하였으며, 우리 사회의 새로운 사회적․정치적 관점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액티비즘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를 탐구한다.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에 적용할 수 있는 공동체 아카이브의 원리를 네 가지로 정리하여, 아카이브의 유형에 따라 그 원리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검토하였다. 그 유형들 중 액티비즘 아카이브를 선택하여, 동물권 아카이브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 쟁점을 검토하였다. (사)동물보호시민단체카라의 사례에서 액티비즘 아카이브의 쟁점을 살펴보았다.

keywords
animal rights movement, activism, animal rights movement archive, community archive, activism archive, 동물권 운동, 액티비즘, 동물권운동 아카이브, 공동체 아카이브, 액티비즘 아카이브

Abstract

As the animal rights movement has recently gained recognition as a social movement that represents one of society's minorities, it is now creating a new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 in the Korean society. This paper explores animal rights through their activism archives. The principles of community archiv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nimal rights movement are organized into four categories, and how the principles work according to the types of archives. Among these, the activism archive was selected, and the social meaning and issues of the animal archive were examined. We reviewed the issues of the activism archive in the case of KARA.

keywords
animal rights movement, activism, animal rights movement archive, community archive, activism archive, 동물권 운동, 액티비즘, 동물권운동 아카이브, 공동체 아카이브, 액티비즘 아카이브

참고문헌

1.

(사)동물보호시민단체카라. KARA 정기대의원총회자료집.

2.

사)동물보호시민단체카라. (2013). 동물, 아는 만큼보인다:(사)동물보호시민단체카라.

3.

봉준호. (2017). 옥자 [영화]:넷플릭스.

4.

설문원.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09-251.

5.

유선봉. (2008). 動物權 論爭: 哲學的, 法學的 論議를 中心으로. 중앙법학, 10(2), 435-468.

6.

유선봉. (2010). 현대적 동물권 운동과 동물해방전선에 관한 고찰. 法學論文集, 34(1), 231-262.

7.

유철인. (2004). 구술된 경험읽기: 제주 4.3 관련 수형인 여성의 생애사. 한국문화인류학, 37(1), 3-39.

8.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9.

윤은하. (2016).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기록학연구, (47), 131-159.

10.

이승억. (2013). 경계 밖의 수용 :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록학연구, (38), 189-223.

11.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12.

이영숙. (2005). 시민단체 기록 분류방안 연구 : 환경연합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73-101.

13.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213-243.

14.

조은성. (2013). 기록학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기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7), 75-142.

15.

조중헌. (2013). 활동가들의 경험을 통해 본 동물권운동의 의미 변화 과정.

16.

조중헌. (2013). 동물 옹호의 논의와 실천을 통해 본 동물권 담론의 사회적 의미. 법학논총, 30(1), 111-132.

17.

Cox, J.. (2007). Industrial animal agriculture, part of the poverty problem.

18.

Crooke, E.. (2010). The politics of community heritage : motivations, authority and control. Int J Herit Stud, 16(1-2), 16-29.

19.

(2014). Toward a survivor-centered approach to records documenting human rights abuse: lessons from community archives. Archival Science, 14, 312-.

20.

Dunbar, A.. (2006). Introducing critical race theory to archival discourse: getting the conversation started. Arch Sci, 6, 109-129.

21.

Kumbier A. (2012). Make your own history: documenting feminist and queer activism in the 21st century:Litwin Books.

22.

(2014). Toward a survivor-centered approach to records documenting human rights abuse: lessons from community archives. Archival Science, 14, 313-.

23.

Flinn, A.. (2009). Community archives: the shaping of memory:Facet.

24.

Michelle Caswell. (2014). Toward a survivor-centered approach to records documenting human rights abuse : lessons from community archives. Archival Science, 14, 313-.

25.

Flinn, A.. (2009). Whose memories, whose archives? Independent community archives, autonomy and the mainstream. Arch Sci, 9, 71-86.

26.

Michelle Caswell. (2014). Toward a survivor-centered approach to records documenting human rights abuse: lessons from community archives. Archival Science, 14, 307-322.

27.

Peter Singer. (2012). 동물해방:연암서가.

28.

Peter Singer. (2012). 동물과 인간이 공존해야 하는 합당한 이유들:시대의 창.

29.

Terry Cook. (2013).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Four Shifting Archival Paradigms. Archival Science, 13, 95-120.

30.

조중헌. (2013). 활동가들의 경험을 통해 본 동물권운동의 의미 변화 과정.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