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방안

A Study on Managing Dataset Records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7, v.17 no.3, pp.23-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3.023
왕호성 (국가기록원)
설문원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조사에 의하면 공공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전체 행정정보시스템의 수는 18,000여 종이 넘는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모든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를 기록이라고 선언하고 있지만, 현행 전자기록관리정책으로 데이터세트 기록을 관리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논문은 데이터세트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세트 기록의 진본성은 기록의 내용, 구조, 맥락뿐 아니라 외형과 기능을 함께 보존함으로써 확보되며, 데이터세트를 전자객체가 아니라 전자기록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데이터세트 기록의 재현 및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모형과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electronic records, dataset, long-term preservation, emulation, cloud, representation of appearance, representation of behavior,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전자기록, 데이터세트, 장기보존, 에뮬레이션, 클라우드, 재현성, 외형 재현, 기능 재현, 행정정보시스템

Abstract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over 18,000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have numerous different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Although every dataset that is created and maintained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is declared as a collection of records according to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curr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cannot cover dataset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s for dataset records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It emphasizes the necessity to preserve the appearance and behavior (function) of database systems to ensure the authenticity of dataset record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emulation” as a representation and long-term preservation methodology for dataset-type records. It also suggests a dataset records model.

keywords
electronic records, dataset, long-term preservation, emulation, cloud, representation of appearance, representation of behavior,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전자기록, 데이터세트, 장기보존, 에뮬레이션, 클라우드, 재현성, 외형 재현, 기능 재현, 행정정보시스템

참고문헌

1.

곽정. (2016). 전자기록의 진본성 확보를 위한 공공기록관리 개선방안 연구.

2.

국가기록원. (2016).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방안:국가기록원.

3.

김명훈. (2013). 전자기록 장기보존 전략으로서의 에뮬레이션 사례 분석. 기록학연구, (38), 265-309.

4.

김경식. (2010). 씬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업무과정 정량화에 대한 연구 (114-118). 한국정보과학회2010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5.

박성진. (2013). 제17대 대통령기록물 이관현황 (-). 한국기록학회 3월 월례발표회(발표문).

6.

박옥남. (2016). 전자기록관리에 대한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InterPARES 3와 ITrust 성과물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89-12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1.089.

7.

설문원. (2005). 기록의 품질 기준 분석 :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가용성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1), 41-90.

8.

왕호성. (2016). 미국 SAA 연례회의 참가 국외출장 결과보고서. 국가기록원.

9.

이규철. (2016).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세트의 이해와 기록관리 고려사항 (72-78). 기록관리 표준 거버넌스 포럼자료집.

10.

이승억. (2017).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11.

이영준. (1997). 웹환경에서의 학술 CD-ROM 네트워킹 검색시스템 구축 기술 (57-67). 한국도서관․정보학회디지털도서관 시스템 구축기술 워크샵.

12.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론:선인.

13.

임진희. (2014). 전자기록 에뮬레이션 서비스 개발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55-82.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3.055.

14.

정용찬. (2012). 빅데이터 혁명과 미디어 정책 이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5.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역사비평사.

16.

한국데이터진흥원. (2017). 2017 데이터산업 백서:한국데이터진흥원.

17.

KS X ISO 16175-3: 2010. 문헌정보-전자사무환경에서 기록에 대한 원리 및 기능요건-제3부: 업무시스템의 기록관리지침 및 기능요건.

18.

Dollar, C. M.. (2002). Authentic electronic records : Strategies for long-term access:Cohasset Associates Inc.

19.

이미화. (2006). 전자기록의 유형별 보존기법: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

ICA. Electronic records : A workbook for archivist(ICA Study 16).

21.

Marciani, C.. (2015). Save your databases using SIARD. Swiss Federal Archive - Using SIARD. http://www.eark-project.com/resources/specificationdocs/32-specification.

22.

McDonald, J.. (2014). Whither the retention schedule in the era of big data and open data?. Records Management Journal, 24(2), 99-121.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