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Web Archiving of Disaster Records: Focusing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OASIS Disaster Archiv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7, v.17 no.2, pp.27-56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2.02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preserving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web is constantly increasing. In addition to traditional types of records, the web contains communication records displaying various people’s diverse viewpoints and connecting an event to its context. In particular, information resources produced during a disaster must be collected for long-term preservation. The “OASIS Disaster Archive” is a service provided through OASIS, which was developed and is manag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o collect and preserve online information resources related to the recent disaster event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the contents of the Disaster Archive to make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s.

keywords
OASIS(Online Archiving and Searching Internet Sources), Disaster Archive, Disaster records, Web archiving, Social memory, 오아시스, 재난아카이브, 재난기록, 웹 아카이빙, 사회적 기억

Reference

1.

(2015). 416기억저장소. http://416memory.org.

2.

국립중앙도서관. (2015). 2015 국립중앙도서관 연보:국립중앙도서관.

3.

(2006). 국립중앙도서관. OASIS. http://www.oasis.go.kr.

4.

권용찬. (2014). 4․16 참사 기록관리의 현황과 방향 (257-260).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5.

김광영. (2011). 웹 자원 아카이빙을 위한 웹 크롤러 연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9), 9-16.

6.

김명훈. (2014). 기억과 기록 -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 기록학연구, (42), 3-35.

7.

김유승. (2007). 웹 아카이빙의 법제도적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20-24.

8.

김유승. (2008). 복합적 웹 아카이빙 정책에 관한 고찰 - 프랑스국립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159-179.

9.

김진성. (2015). 세월호 참사에 관한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사회적 역할. 기록학연구, (44), 199-215.

10.

김진열. (2014). 4․16 참사 기록활동의 의미 (253-256).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11.

김한국. (2011). 재해 발생 시의 소셜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131-13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

김희정. (2003). 디지털 아카이빙 최근 연구동향 및 OAIS 참조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1), 23-42.

13.

김희정. (2010). 웹 아카이빙 인터페이스 유형 및 특성 분석 - 국가주도 웹 아카이빙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147-170.

14.

남성운. (2001).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방안 연구 :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 101-120.

15.

노영희. (2012). OASIS의 선정지침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05-137.

16.

박태연. (2016).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평가 - 노근리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예비분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121-15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1.121.

17.

서혜란. (2004). 웹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5-22.

18.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19.

송민정. (2016). 416기억저장소 기록수집활동의 특징과 의미.

20.

송주형. (2015).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155-197.

21.

신동희. (2016).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1.041.

22.

신동희. (2016).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3.001.

23.

심성보. (2016). 재해․재난지역과 공동체 아카이브: 4․16 세월호참사 기록을 중심으로 (125-129). 한국비블리아학회․한국기록관리학회 2016년도 춘계 공동학술대회.

24.

안병우. (2015).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기록학연구, (44), 217-241.

25.

오상훈. (2008). 디지털 자원의 웹 아카이빙을 위한 납본 프로세스 개발 및 기능 설계. 정보관리학회지, 25(4), 5-23.

26.

오윤택. (2014). 세월호 참사 아카이빙 활동 경험과 아키비스트의 성장(1) (231-235).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27.

윤은하.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2.057.

28.

윤정옥. (2010). 웹 아카이브 OASIS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5-27.

29.

윤정옥. (2011). 웹 아카이브 OASIS의 현황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2(3), 95-116.

30.

윤정옥. (2014). 웹 아카이브 OASIS 수집 콘텐츠의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45-65.

31.

이미영. (2009). 재해 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 한신·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21), 85-116.

32.

이소연. (2008). 믿을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인증기준: OASIS 적용사례. 정보관리학회지, 25(3), 5-25.

33.

이소연. (2013). 국내 디지털 보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47-283.

34.

이연수. (2013). 대규모 웹 기록물의 원격수집을 위한 콘텐츠 중복 필터링 개선 연구. 기록학연구, (35), 133-160.

35.

이재윤. (2016).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4), 103-124.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4.103.

36.

정혜지. (2016). 9/11 컬렉션을 통해 본 재난 기록의 관리 (157-161). 한국비블리아학회․한국기록관리학회 2016년도 춘계 공동학술대회.

37.

정혜지. (2016). 미국 9․11 메모리얼의 재난기록물 수집에 관한 연구.

38.

조용성. (2010). 구술기록의 수집과 아카이브 정책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233-278.

39.

조혜영. (2015). 일본의 기록물 재난 및 복구대책에 관한 연구 (55-63).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0.

차승준. (2008). 웹기록물 아카이빙 기반기술 연구 개발 (359-368). 지식정보산업연합학회 창립기념 학술대회.

41.

차승준. (2009). 공공기관 심층 웹기록물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4(4), 181-193.

42.

최형섭. (2014). 재난의 기록: 재난 보고서의 사회적 기능. Future Horizon, 21, 24-27.

43.

홍원화. (2014). 재난의 기록(백서)과 교훈. 건축, 58(10), 14-18.

44.

Dougherty, Meghan. (2014). Community, tools, and practices in web archiving:The state-of-the-art in relation to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need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11), 2195-2209.

45.

김희정. (2007). 선택적 웹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 정보관리학회지, 24(2), 143-160.

46.

Library of Congress. (2013). Library of Congress Collections Policy Statements Supplementary Guidelines: Web Archiving. https://www.loc.gov/acq/devpol/webarchive.pdf.

47.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2016). About the Memorial. https://www.911memorial.org/about-memorial.

48.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2016). Inside the Collection. https://collection.911memorial.org.

49.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2016). Explore the Registries. https://registries.911memorial.org.

50.

North American Coordinating Council on Japanese Library Resources. (2016). Guides to the Digital Archive of Japan’s 2011 Disasters: Home. http://guides.nccjapan.org/jdarchive.

51.

Reischauer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Japan Disasters Digital Archive. http://jdarchive.org/en/abou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