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data Schema for the Records and Archive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6, v.16 no.3, pp.99-12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099
서연수 (전북대학교)
남연화 (전북대학교)
박지원 (전북대학교)
엄소영 (전북대학교)
김용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군위안부’ 관련된 문제해결과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해 ‘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은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서는 국가지정기록물로 관리되고 있는 ‘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은 일부에 해당하며 ‘위안부’와 관련하여 다양한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민간기관에서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을 다양하게 소장하고 있다. 민간기관의 수도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이며, 각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기록물들은 문서류뿐만 아니라 시청각 기록물류, 박물류로 다양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민간기관의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통합 메타데이터 스키마 구축을 제안하였다. 먼저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관 및 단체와 기록물의 유형 및 특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여러 기관의 기록물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기준으로 분류하고, 기록물의 유형 및 특징을 참고하여 국가표준인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기반으로 스키마를 제안하였다.

keywords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tegrated management, metadata, schema, multi-level description, 일본군‘위안부’, 통합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 다계층기술

Abstract

Records and archives on military sexual slavery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due to its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s. Currently, the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related to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re managed in various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ome private institutions have diverse collection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hey have a collection of various types of records and archives. This study aims to build an integrated metadata schema for managing the records and archive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nd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cords and archives. Based on the results, a metadata schema was proposed for the records and archives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keywords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tegrated management, metadata, schema, multi-level description, 일본군‘위안부’, 통합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 다계층기술

참고문헌

1.

곽현규. (2015). 일본군 ‘ 위안부 ' 기록물의 수집과정 분석 : 대구 일본군 ‘ 위안부 ' 역사관을 중심으로.

2.

국가기록원. (2012).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v2. 0):국가기록원.

3.

김수정. (2013).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을 위한 FRBR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2), 119-141.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2.119.

4.

남태우. (2014). 정보자원의 기술과 메타데이터:한국도서관협회.

5.

노영희. (2013). 메타데이터 개론:조은글터.

6.

박혜령. (2009). 일본군'위안부'역사관 기록의 관리 : 정리·활용을 중심으로.

7.

양혜정. (2009). 국제표준기록물기술규칙(ISAD(G))의 1판과 2판에 관한 비교연구.

8.

여성부. (2002). ‘ 위안부 ’ 관련 문헌자료집(1):여성부.

9.

여성부. (2002). ‘ 위안부 ’ 관련 문헌자료집(2):여성부.

10.

여성부. (2002). 일본국위안부 문제에 관한 국외자료조사 연구:여성부.

1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위안부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정책토론회:유네스코한국위원회.

12.

윤미향. (2015). 일본군 ‘ 위안부 ’, "다시는 나 같은 아픔을 겪지 않아야 해". 내일을 여는 역사, 60(9), 148-163.

13.

윤은하. (2014). 축제기록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25-51.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1.025.

14.

이호신. (2012). 구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 예술사구술채록사업 결과물을 중심으로. 한국구술사학회, 12(3), 107-141.

15.

조현양. (2013). 개별관리 대통령기록물의 연계관리를 위한 통합 메타데이터 설계 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105-124.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1.105.

16.

현문수. (2013). 민간․공동체 아카이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정보 공유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27-15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127.

17.

Baca, M.. (2003). Practical Issues in Applying Metadata Schemas and Controlled Vocabularies to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6(3-4), 47-56.

18.

Priscilla Caplan. (2004). 메타데이터의 이해:태일사.

19.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사료 관리 지침. http://archives.kdemo.or.kr/intro/pub.

20.

일본군 ‘ 위안부 ’. http://www.nahf.or.kr/?sidx=72&stype=1.

21.

일본군 ‘ 위안부 ’ 피해자 e-역사관. http://www.hermuseum.go.kr/.

22.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http://www.1945815.or.kr/.

23.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ttps://www.womenandwar.net/contents/home/home.nx.

24.

한국정신대연구소. http://www.truetruth.org/index.htm.

25.

Categories for the Description of Works of Art (CDWA). http://www.getty.edu/research/publications/electronic_publications/cdwa/index.html.

26.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https://www.ushmm.org/.

27.
28.

The September 11 Digital Archive. http://www.911digitalarchive.org/.

29.

VRA CORE. VRA Core Schemas and Documentation. https://www.loc.gov/standards/vracore/schemas.html.

30.

416 기억저장소. http://416memory.org/.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