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Functions of a Business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Organizatio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6, v.16 no.2, pp.81-112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81
오진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조윤희 (한국남동발전 기록연구사)
임진희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3.0에 추진에 따라 기록관리와 정보공개 체계를 수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정부산하공공기관들이 설명책임 강화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면서 동시에 업무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관리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기능과 개발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기록관리와 정보공개 체계를 도입하는 정부산하공공기관들 중에 전자결재 기능 위주의 전자문서시스템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기록물분류기준표를 개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다종다양한 업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정부산하공공기관들이 기록관리와 정보공개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는 문서 결재 외에도 과제관리 및 통제,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는 ‘업무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체 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전사적 기능분류체계를 구축한 후 기관 맞춤형 ‘업무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자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한 A기관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전자기록생산시스템의 도입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업무관리시스템, 과제관리, 업무효율성, 설명책임성, 정부산하공공기관, business management system, task management, business efficiency, accountability, public organization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adoption of a business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suggest the function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public organizations, which are required to establish the record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under Government 3.0, rapidly respond to the needs for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ies for explanation, and improve work efficiency. Recently, some of the public organizations that introduced the record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dopted the Electronic Document System, which focuses on the function of electronic approval, and developed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system.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ase of A organization, which recently developed an in-hous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ed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to adopt a customized business management system after establishing a business reference model throughout the organization,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the electronic record production system for public organizations.

keywords
업무관리시스템, 과제관리, 업무효율성, 설명책임성, 정부산하공공기관, business management system, task management, business efficiency, accountability, public organizations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15). 전자기록생산시스템 기록관리 기능요건 - 제 3 부 : 업무관리시스템.

2.

류한조. (2012). 업무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능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79-94.

3.

설문원. (2013).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 구조 및 운용 분석-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51.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3.24.4.023.

4.

이보람. (2013). 정보공개제도에서 공개 기록정보의 제도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5), 41-91.

5.

임준형. (2010). 정부업무관리시스템의 활용실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사용자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2), 131-170.

6.

임진희. (2013). 전자기록관리론:선인.

7.

정윤수. (2009). 공공․민간 정보공유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MyGov 구축방안을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8.

정책기획위원회. (2008). 온나라 정부업무관리시스템:정책기획위원회.

9.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역사비평사.

10.

한국남동발전. (2016). 정부 3. 0 실현을 위한 업무관리시스템 개발 설계. .

11.

행정자치부. 온 - 나라 시스템과 행정혁신의 방향.

12.

행정자치부. 행정기관의 전자문서시스템 규격.

13.

행정자치부. 원문정보공개시스템 3 차 구축사업.

14.

황진현. (2015). 체계적인 원문정보공개를 위한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연구. 기록학연구, (46), 325-363.

15.

DLM Forum Foundation. (2011). MoReq 2010 (-). DLM Forum.

16.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Universal Declaration on Archives.

17.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18.

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19.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http://glaw.scourt.go.kr/.

20.

정보공개포털. https://www.open.go.kr/.

21.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22.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2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24.

사무관리규정.

25.

전자정부법.

26.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