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urvey on Archival Appraisal System and Practice in Korea as Well as Its Modification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4, v.14 no.4, pp.153-175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4.153
최재희 (이화여자대학교 기록관리교육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2007년부터 도입된 기록관리기준표 체계에서의 국내 기록물 평가제도와 실무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평가주체, 평가시점, 평가기준이라는 평가의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기록물법령과 제도에 나타난 평가 관련 규정에 모순된 부분이 많았다. 특히 평가기준은 기록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기록물을 생산하는 업무를 대상으로 하는 두 가지 기준이 혼재되어 있었다. 평가정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했다. 이러한 현황을 토대로 기록관 및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소속 기록관리 전문직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금과 다른 형태로 민간전문가가 평가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했으며 일부 평가 실무프로세스의 변화도 제안했다.

keywords
기록물 평가, 아키비스트, 평가기준, 평가이론, 국가기록원, 아카이브, archival appraisal, archivist, appraisal criteria, appraisal theory, National Archives, archive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survey the problems of the archival appraisal system and practice through the appraisal agent, timing, and criteria in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appraisal criteria that contradict each other. This requires an urgent need for an appraisal policy statement. On this survey result, it suggests the trend to shift from passive and neutral appraisal to participatory appraisal by the active and conscious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keywords
기록물 평가, 아키비스트, 평가기준, 평가이론, 국가기록원, 아카이브, archival appraisal, archivist, appraisal criteria, appraisal theory, National Archives, archive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 절차.

2.

국가기록원. 처리과 기록관리 업무처리 절차(v2. 1).

3.

국가기록원. 기록물평가․폐기절차-제1부 : 기록관용.

4.

류신애. (2010). 공공기록물 재평가 제도 보완 방안. 기록학연구, (24), 41-71.

5.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231.

6.

이승억. (2013). 한국 공공기록 평가선별제도 개선방향 (33-44). 한국기록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7.

최재희. (2011).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 회고와 전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7-22.

8.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사전:역사비평사.

9.

Berner, R. C. (1982). Historical development of archival theory and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The Midwestern Archivist, 8(2), 103-118.

10.

Cook, T.. (1992). Documentation strategy. Archivaria, 34, 186-.

11.

Cook, T. (2006). Macro‐appraisal and functional analysis : documenting governance rather than government.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5(1), 5-18.

12.

Cook, T. (2011). ‘We are what we keep; We keep what we are’ : Archival appraisal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32(2), 173-189.

13.

Couture, C. (2005). Archival appraisal: A status report. Archivaria, 59, -.

14.

SAA Task Force on Goals and Priorities. (1986). Planning for the archival profession: a report of the SAA Task Force on Goals and Prioritie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5.

Schellenberg, T. R. (2005). 기록학의 평가론:진리탐구출판사.

16.

국가기록원. (2014). 기록관리기준표. http://www.archives.go.kr/next/manager/archiveStandard.do.

17.

문화체육관광부. (2014).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기록관리기준표. http://www.mcst.go.kr/web/s_data/ordinance/instruction/instructionView.jsp?pSeq=1339.

20.

NARA. (2007). Strategic Directions: Appraisal Policy. http://www.archives.gov/records-mgmt/initiatives/appraisal.html.

21.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http://www2.archivists.org/glossary.

23.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24.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25.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26.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27.

사무관리규정.

28.

안전행정부 고시 제2014-11호.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