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Digital Image Archiving Methodology on the Port of Busan: A Case Study Using an Open-Source Archiving Software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4, v.14 no.3, pp.127-151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127
송정숙 (부산대학교)
허정숙 (부산대학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이예린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항구도시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 부산항은 부산의 대표적인 로컬리티 공간이므로 부산항과 인근지역의 경관에 관한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을 중심으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재현방법론을 확산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 즉 사진기록의 특성을 문자 위주의 텍스트 기록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미지 기록의 대중 친화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항에 관한 사진, 엽서 등의 이미지 기록을 수집하여 오픈소스 기록관리 소프트웨어 가운데 사진의 전시에 적합한 오메카(Omeka)를 이용하여 사진 아카이브를 실험적으로 구축해 보았다. 그 과정과 방법을 보면, 먼저 아카이브 구축 목적에 따른 개발 원칙을 세우고, 기록 수집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항 관련 기록 소장기관과 개인소장가 등의 저작권 동의를 얻어서 원본 또는 파일을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기록은 더블린코어에 따라 기술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컬렉션을 구성하고 기록을 정리하였다. 부산항의 공간적 성격을 교통공간, 역사공간, 산업공간, 생활공간으로 구분하고, 11개 전시주제를 구상하였다. 전시의 보기로 교통공간의 부관연락선을 제시하였다.

keywords
부산항, 디지털 사진 아카이브, 로컬리티 아카이브, 아카이브 구축 방안, 오픈소스 기록관리 소프트웨어, Port of Busan, image digital archive, locality archive, archiving methodology, open source archiving software, Omeka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hare a methodology for locality reproduction by concretely explaining the theoretical model, procedure, and practice of constructing the Port of Busan Image Digital Archive, based on the photographic and postcard images of the Port of Busan, the representative place of Busan. Among the open-source record management programs, Omeka was chosen in implementing the digital archive because of its suitability for image exhibition. After establishing the principles for archive implemen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archive, a basic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the record collection. With the consent of the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that possess the related records on the Port of Busan, such a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Busan Museum, and the City of Busan, original image artifacts were thus collected. The collected artifacts were then described using the Dublin Core metadata and categorized by time period. The Port of Busan was classified through four distinctive spatial characteristics (transportation, historic, industrial, and living spaces). A total of 11 themes for the exhibition was then suggested. The Busan-Shimonoseki Ferry Boat was chosen as an example exhibition of transportation space.

keywords
부산항, 디지털 사진 아카이브, 로컬리티 아카이브, 아카이브 구축 방안, 오픈소스 기록관리 소프트웨어, Port of Busan, image digital archive, locality archive, archiving methodology, open source archiving software, Omeka

참고문헌

1.

권순명.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

2.

권용선. (2009). 세계와 역사의 몽타주,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그린비출판사.

3.

김동철. (2011). 근대 부산의 교통 발달과 기록 - 기차와 전차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53-271.

4.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부산항 130년.

5.

김지현. (2010). 교수들의 셀프 아카이빙 저작물의 종류와 저장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53-74.

6.

이한석. (2013). 항만과 도시:블루앤노트.

7.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8.

마뉴엘 카스텔. (2003).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한울.

9.

배석만. (2014). 한국전쟁 전후 부산항 연구의 성과와 과제. 港都釜山, 30, 1-35.

10.

부산광역시.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11.

부산시립박물관. (2007). 사진 엽서, 부산의 근대를 이야기하다:부산시립박물관 학예연구실.

12.

부산시사편찬위원회. (1974). 釜山市誌:부산시사편찬위원회.

13.

송정숙. (2011).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73-298.

14.

송정숙. (2012). 부산의 기억과 로컬리티 -<부산의 인물>과 <부산의 문화재>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43-364.

15.

손택. (2005). 사진에 관하여:도서출판 이후.

16.

양흥숙. (2012). 개항 후 초량 사람들과 근대 공간의 형성. 한국민족문화, (44), 211-249.

17.

이보람. (2014).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ICA AtoM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9), 194-229.

18.

이인미. (2008). 사진을 통해 재현된 부산 이미지 연구.

19.

이종덕. (2013). 교육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리포지토리 설계 및 구축 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6), 95-102.

20.

부산일보. (2009). 일제강점기, 부산의 근대 건물과 거리. 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90000&newsId=20090902000145.

21.

정윤희. (2013). 흐름의 공간과 비장소로서의 도시 형상과 세계화 - 안드레아스 구르스키의 사진 고찰. 뷔히너와 현대문학, 41, 247-270.

22.

조민지. (2014).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기록학연구, (39), 73-100.

23.

조성태. (2009). 부산항 해안선의 변천과정 분석 - 근대기 이후 시계열적 접근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0(4), 249-266.

24.

한국기록관리학회. (2010). 기록관리론 : 증거와 기억의 과학:아세아문화사.

25.

현문수. (2013).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6), 195-231.

26.

홍연진. (2007). 부관연락선과 부산:논형.

27.

인간과 기억아카이브 omeka. http://omeka.hmarchives.com/.

28.

Bridges NYC Postcards. http://bridgesnyc.com/postcards/.

29.

Greenwich Village History. http://gvh.aphdigital.org/.

30.

Mary Washington Images Throughout the Years. http://projects.umwhistory.org/imag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