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화유산기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기록관·도서관·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ervices to Collaborate between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4, v.14 no.2, pp.31-60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2.031
한희정 (전북대학교)
육혜인 (전북대학교)
오유진 (전북대학교)
김용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기록관·도서관·박물관은 각자가 다루는 자원은 다르지만 서비스 부문에서는 여러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다양한 자료와 관점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서비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향후 각 문화유산기관들은 효율적인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력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국외와 국내에서 문화유산기관이 협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한 사례를 분석했다. 특히 각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그 공통점과 특화된 영역을 제시하여 향후 교육서비스 모형을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문화유산기관의 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ADDIE모형을 적용한 개발 프로세스를 통해 교육서비스 모형을 제시했다.

keywords
교육서비스, 문화유산기관, 협업, 협력, ADDIE모형, educational services,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 collaboration, cooperation, ADDIE model

Abstract

Traditionally,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have been known to have common responsibilities in providing public service, despite of their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holdings. Recently, these institutions, which are keeping archival materials, increasingly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o provide effective integrated user service in educational program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mong cultural institutions and analyzes the exemplary cases inside and outside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al services conducted by the institutions, focusing on weaknesses and strengths, the authors mention that the analysis results can be referred to them when developing a model of educational servic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finally offers a plan to activate the collaboration of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develop a model for educational services using the ADDIE model.

keywords
교육서비스, 문화유산기관, 협업, 협력, ADDIE모형, educational services,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 collaboration, cooperation, ADDIE model

참고문헌

1.

곽건홍. (2013). 문화유산기관의 발전 전략 비교 연구. 기록학연구, (36), 3-33.

2.

국립중앙도서관. (2001). 도서관협력망 협력사업 표준모델 개발연구.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KRILI). IFLA전문보고서: 공공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협력동향①, ②. http://wl.nl.go.kr/?p=11684.

4.

김건. (2013).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다중지능이론 기반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99-125.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099.

5.

김유리. (2014).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활용 사례와 개선방안.

6.

김유승. (2012). 국회 라키비움의 전망에 관한 연구 - 기억기관 협력 정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93-115.

7.

박성진. (2008). 근대 공문서 소장 현황과 협력 과제 - 박물관 · 기록관 · 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75-88.

8.

박재용. (2004). 도서관/박물관 협력체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315-333.

9.

백령. (2007). 박물관교육의 새로운 개념과 범위 설정. 박물관교육연구, 1, 49-63.

10.

서혜경. (2010). 국가기록원의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141-167.

11.

서혜란. (2005). 기록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25-41.

12.

이소연. (2012). 함께 만드는 미래: 디지털 융합과 문화유산기관의 협력. 정보관리학회지, 29(3), 235-256.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3.235.

13.

조윤희. (2008).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문화유산기관 협력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5-21.

14.

채경진. (2013). 문화정책 분야 협업의 성공 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27(2), 8-29. http://dx.doi.org/10.16937/jcp.27.2.201308.8.

15.

최영실.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57-477.

16.

최재희. (2008). 국가차원의 문화유산기관 협력체 구성사례 및 시사점 - 영국 MLA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61-74.

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을 위한 콘텐츠 개발 지침․콘텐츠 질 관리 지침 콘텐츠 질 관리프로그램.

18.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역사비평사.

1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국립박물관 교육의 방향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2006). e-Learning의 사회적 관리체계: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한정선. (2004). 교육공학 : 인포맵을 통해 찾아 본 뿌리와 줄기:교육과학사.

22.

황금숙. (2008).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73-94.

23.

Andre Desvallees. (2009). Key Concepts of Museology:ICOM.

24.

ASU Lodestar Center. (2009). Models of Collaboration. https://lodestar.asu.edu/research/aim-alliance/images/coll_models_report-2009.

26.

Evans, G. E. (1995). Developing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Collections:Libraries Unlimited.

27.

GAO. (2012). Report to Congressional Requests. http://www.gao.gov/assets/650/648934.pdf.

2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08). Public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Trends in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

29.

ISO. ISO-15489-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records management.

30.

Nancy Chaffin Hunter. TWO LIBRARIANS, AN ARCHIVIST, AND 13,000 IMAGES: COLLABORATING TO BUILD A DIGITAL COLLECTION.

31.

Rayward, W. B. (1998). History and Electronic Artefacts.

32.

The County Archivist. (2011). Leading the Nation's Archives : The National Archives Sectoral Role. http://www.norfolk.gov.uk/view/norfrec181111item8pdf.

33.

Walker, Christopher. (2004). Partnerships for Free Choice Learning: Public Libraries, Museums and Public Broadcasters Working Together. The Urban Institute and Urban Libraries Council.

34.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35.

도서관법.

36.

박물관 및 미술관진흥법.

40.

University of Pennsylvania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Center. http://www.archives.upenn.edu.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