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AD 기반 영구기록물 통합검색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AD-based Integrated Retrieval System for the Archives in Korea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4, v.14 no.1, pp.101-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1.101
박상현 (경북대학교)
김희섭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검색시스템을 하나의 통합된 검색과 상호 데이터 교환으로 그 사용성을 높이고자 새로운 통합검색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검색 시스템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EAD의 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EAD 요소를 기반으로 새로운 검색시스템(가칭 한국영구기록물 통합검색시스템, KAIRS)을 설계하였고, 기존의 두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시스템을 에뮬레이션을 통하여 새로운 검색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사용성 평가결과 새롭게 구현된 KAIRS가 기존 시스템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keywords
EAD, 영구기록물관리시스템, 기록물 통합 검색, 기록물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EAD,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Archives, Integrated Archival Retrieval, Archival Retrieval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implement an integrat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the archives in Korea. Particular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usability of the system.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retrieval systems of national archives and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A new integrated retrieval system, called KAIRS, is designed based on the EAD elements,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emulation technic between two retrieval systems. KAIRS showed higher of us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two retrieval systems in their usability test.

keywords
EAD, 영구기록물관리시스템, 기록물 통합 검색, 기록물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EAD,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Archives, Integrated Archival Retrieval, Archival Retrieval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참고문헌

1.

강소연. (2003). EAD의 구조와 적용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8), 181-211.

2.

공공데이터포털. http://www.data.go.kr.

3.

국가기록원. 영구기록물 기술규칙.

4.

국가기록원. 영구기록물 정리․기술 지침.

5.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 http://contents.archives.go.kr.

6.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http://www.pa.go.kr.

7.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8.

김지현. (2013). 대통령기록관의 검색, 열람 및 연구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01-225.

9.

박은경. (2002). EAD를 이용한 기록자료 자동화방안-Online Archive of California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2), 93-106.

10.

박지영. (2007). EAD를 이용한 기록정보의 기술 및 활용: 4월 혁명 연구반 컬렉션을 중심으로. 지식처리연구, 8(1-2), 17-57.

11.

박현이. (2011). 국내 영구기록물의 EAD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33-55.

12.

설문원. (2010). 기록 검색도구의 발전과 전망. 기록학연구, (23), 3-43.

13.

장희정. (2012). 국가기록관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51-70.

14.

조윤희. (2001). XML/KORMARC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4), 217-233.

15.

Brown, G. (2007). Adding archival finding aids to the library catalogue: Simple crosswalk or data traffic jam?. the Canadian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and Research, 2(2), 1-18.

16.

Pitti, D. V. (1997).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The development of an encoding standard for archival finding aids. American Archivist, 60(3), 268-283.

17.

SAA. (2003).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Tag Library Version 2002: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8.

Stockting, B. (2004). Time to settle down? EAD encoding principles in the access to archives programme (A2A) and the research libraries group's best practice guidelines.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2(3), 7-24.

19.

Thurman, A. C. (2005). Metadata standards for archival control: An introduction to EAD and EAC.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0(3), 183-212.

20.

Hensen, S. L. (1997). NISTF II and EAD: The evolution of archival description. American Archivist, 60(3), 284-296.

21.

한국. 안전행정부. 나라기록포털의 검색시스템의 기술적(technical)사항.

22.

한국.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 계층별 검색의 기술요소.

23.

한국. 안전행정부. 대통령기록관의 기록물 기술요소.

24.

한국. 안전행정부. 대통령기록관의 검색시스템의 기술적(technical)사항.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