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Freedom in Korea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3, v.13 no.3, pp.173-197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3.173
최정민 (서강대학교)
김유승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정보공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정보공개제도와 연계된 복수 학문분야의 연구논문을 추출하여 최종 9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학술 논문의 학문적 배경, 연구자 및 연구체제를 살펴보는 한편, 연도별, 연구주제별 분석을 수행하고, 시기별 연구주제의 변화와 흐름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학문분야로 정보공개 연구가 확산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확인한 반면, 연구 방법, 목적, 대상 등이 편향되어 있어 정보공개의 여러 측면을 볼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정보공개가 기록관리, 법제도, 데이터 활용 등 다양한 이슈를 내포하는 복합적 영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확장된 정보공개 개념의 다학제적 융합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정보공개, 기록관리, 기록물 공개, 정보공개법, 연구동향 분석, freedom of information, records management, open records, freedom of information act, research trend analysis

Abstract

The study aims at providing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freedom in Korea. A total of 97 articles, which deal with issues on freedom of information from multidisciplinary area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se articles are analyzed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s, research subjects, disciplinary characteristics, and each research period. The study found that the articles, which review various aspects of freedom of information, are conducted by a number of different disciplinary fields as time passed. However, there was a certain tendency that research methods, purposes, and subjects in this area are limited and bias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expanded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needed and that the complex nature of issues related to freedom of in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keywords
정보공개, 기록관리, 기록물 공개, 정보공개법, 연구동향 분석, freedom of information, records management, open records, freedom of information act, research trend analysis

참고문헌

1.

강경근. (1986). 헌법상 정보공개와 한국법․제도의 현실. 법학논총, 2, 101-125.

2.

강경근. (1993). 헌법상 정보공개청구권의 주체와 대상. 법학논총, 6, 133-176.

3.

강경근. (1994). 정보공개제도. 법학논총, 7, 133-207.

4.

강근복. (1990). 지방자치와 정보공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1), 13-29.

5.

강근복. (1994). 한국의 정보공개 제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 277-298.

6.

경건. (1998). 독일 정보공개법제의 개관. 행정법연구, 2, 42-59.

7.

경건. (1999). 독일 환경정보공개소송(UIG-Klage)의 특성. 행정법연구, 5, 89-108.

8.

경건. (2002). 정보공개의 새로운 지향-전자정보공개제도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 111-148.

9.

경건. (2007). 미국 정보공개법제의 개관. 서울법학, 15(1), 115-154.

10.

구중억. (2009). 대학도서관의 정보공개 및 공시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27-351.

11.

김만기. (1990). 정보공개와 한국의 행정문화. 한국행정학보, 24(2), 773-787.

12.

김미경. (2008). 굿 거버넌스와 정보공개 - 지방행정종합정보공개시스템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203-220.

13.

김배원. (2000). 일본의 정보공개제도. 공법학연구, 7(1), 23-25.

14.

김배원. (2006). 미국의 역정보공개소송에 관한 고찰. 공법학연구, 7(1), 403-435.

15.

김석준. (1991). 정보공개와 민주행정. 한국행정학보, 25(1), 221-244.

16.

김성배. (2010). 정보공개제도와 국가비밀보호의 문제. 법학논고, (34), 87-114.

17.

김세규. (1999). 독일의 정보공개제도와 환경정보법. 동아법학, 26, 1-26.

18.

김승태. (2009). 정보공개제도의 성과와 한계. 한국공공관리학보, 23(4), 119-147.

19.

김승태. (2009). 전자적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정보공개시스템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3), 51-82.

20.

김승태. (2010).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성과 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4), 25-52.

21.

김영근. (2012). 환경책임법의 도입과 정보공개청구권. 법학연구, 22(2), 241-274.

22.

김영운. (1998). 정보공개제도와 국민의 권리보장. 법학논총, 4, 39-74.

23.

김영이. 행정정보공개조례 청주시 취소소송.

24.

김용섭. (2013). 검사의 불기소사건기록에 대한 정보공개를 둘러싼 법적 쟁점 ―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1두2361 전원합의체 판결 ―. 행정법연구, (35), 1-28.

25.

김유승. (2010). 거버먼트 2.0 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197-232.

26.

김유승. (2013).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를 둘러싼 쟁점과 제도적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7-30.

27.

김유승. (2011). 거버먼트 2.0 기반의 공공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국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47-66.

28.

김재홍. (1998). 알 권리와 정보공개제도. 사회과학, 10, 219-236.

29.

김창조. (2006). 정보공개법상 비공개사유. 법학논고, 25, 115-141.

30.

김창조. (2009). 정보공개법상 정보존부의 확인거부. 법학논고, (31), 369-396.

31.

김태호. (2002). 국가비밀과 정보공개―정보공개법 제7조 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비공개사유와 그 운용을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8, 319-354.

32.

남궁근. (1994). 정책혁신으로서 행정정보공개조례 채택. 한국정치학회보, 28(1), 101-121.

33.

노영보. (1991). 현대 사회에 있어서의 정보공개와 인권보장. 저스티스, 24(2), 28-45.

34.

문종욱. (1997). 情報化社會에서의 프라이버시權과 情報公開. 법학연구, 8(1), 129-151.

35.

박종관. (2004). 지방정부 정보 공개제도에 대한 인식과 과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2), 447-465.

36.

박진우. (2009). 정보공개법상 법령에 의한 비공개정보에 관한 고찰. 동아법학, (43), 29-56.

37.

박흥식. (2001). 투명성 가치: 개념적 구조와 의미.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2(3), 103-118.

38.

배인명. (2009). 우리나라 지방재정정보공개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지방재정공시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3), 83-103.

39.

배정근. (2009). 정보공개법을 통한 알권리 실현의 한계 : 비공개조항 관련 대법원 판결 분석. 한국언론학보, 53(1), 368-390.

40.

변재옥. (1991).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정보공개와 인권보장. 저스티스, 24(2), 7-27.

41.

변주연. (2008). 공공기관의 회의록 생산공개 제도화 연구 - 미국의 회의공개법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17), 203-245.

42.

서재호. (2012). 국내 공동체(커뮤니티) 연구에 대한 종합적 메타분석과 행정학에 대한 함의:연구분야, 방법, 목적 및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4), 155-182.

43.

서원경. (2006). 우리나라의 비밀기록 관리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93-112.

44.

설문원. (2001). 공개활성화를 위한 전자기록물 관리정책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1), 65-86.

45.

성낙인. (1997). 정보공개제도의 실시와 문제점. 황해문화, 5(2), 169-183.

46.

성낙인. (1999). 프랑스의 정보공개법제. 행정법연구, 5, 1-23.

47.

성도경. (2001). 행정정보공개제도의 효율적 추진의 영향요인 분석: 대구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2(2), 281-294.

48.

송희준. (2012). 한국과 일본의 정보공개 제도와 운영실적의 비교 연구: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1), 289-312.

49.

안병철. (2009). 정부관료제의 정보공개행태 분석 - 43개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2002-2007)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3), 133-160.

50.

안지현. (2006). 비공개 기록의 관리와 활용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3), 135-185.

51.

양석진. (2009). 정보공개법과 개인정보보호법의 법체계 정합성 고찰. 법학연구, (33), 429-454.

52.

오관석. (2003). 전자민주주의와 분권▪정보공개. 정치·정보연구, 6(1), 113-144.

53.

윤여진. (2009).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공개제도 운영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51-75.

54.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55.

이구현. (2006). 기본권으로서의 알 권리와 정보공개제도에 관한 고찰. 언론과 법, 5(2), 45-90.

56.

이기식. (1999). 전자정보 공개촉진을 위한 제도적 측면의 연구. 한국행정학보, 32(4), 119-136.

57.

이명진. (2010). 공공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정보공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4(1), 121-146.

58.

이명희. (2004). 중앙 행정부처 웹사이트의 정보서비스 평가: 정보공개와 이용자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2), 195-218.

59.

이보람. (2013). 정보공개제도에서 공개 기록정보의 제도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5), 41-91.

60.

이상천. (2010).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1호의 법체계적 정합성. 법학연구, 13(2), 343-374.

61.

이승종. (1991). 지방정부의 행정정보공개: 행정통제론적 접근. 한국행정학보, 25(3), 891-916.

62.

이승종. (1995). 행정정보공개조례의 효과에 대한 공무원의 평가분석: 청주시 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29(4), 1275-1289.

63.

이승종. (2004). 지방차원의 정책혁신 확산과 시간: 지방행정정보공개조례의 사례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6(1), 5-25.

64.

이용우. (2004). 行政情報公開制度의 法的 課題. 공법학연구, 5(1), 405-430.

65.

이원규. (2005). 행정정보 및 보존기록물 공개의 운영과제. 기록학연구, (12), 81-135.

66.

이윤식. (1991). 정보공개제도의 한국적 모형정립을 위한 시론. 공법학연구, 25(1), 245-272.

67.

이인호. (2011). 공영방송사의 방송의 자유와 정보공개법의 충돌 - KBS 추적60분 정보공개청구 사건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12(3), 269-306.

68.

이자성. (2004). 정보공개제도와 정부의 책무성에 관한 한국과 일본 비교: 시민단체의 예산지출 청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5), 171-195.

69.

이자성. (2005). 일본 지방정부의 정보공개제도를 통해 본 시민과 정부간 관계-알 권리와 설명책임을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8(1), 68-97.

70.

이재완. (2011). 행정정보 공개청구의 연관요인 탐색 - 16개 광역시ㆍ도(2004~2009)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0(3), 291-324.

71.

이재완. (2011). 정보공개청구 수용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3(4), 1077-1104.

72.

이준형. (1991). 정보공개와 프라이버시. 한국행정학보, 25(1), 273-290.

73.

이진영. (2003). 한국 정부기록보존소의 역사기록물 공개에 관한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1), 129-140.

74.

이철환. (2008). 업무추진비에 대한 정보공개의 방법 ― 대상판결 : 대법원 2003. 3. 11. 선고 2001두6425 판결 【행정정보비공개결정처분취소】―. 법학논총, 28(2), 363-383.

75.

이철환. (2008). 정보공개소송에서의 쟁점. 법학논총, 28(1), 441-467.

76.

이한성. (1998). 미국의 행정정보공개제도. 행정법연구, 2, 17-41.

77.

이헌석. (1996). 교육정보공개와 PRIVACY權에 관한 시론. 사회과학연구, 9, 71-109.

78.

임진수. (2006). 행정기관의 행정정보공표 현황 및 기준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87-111.

79.

임진희. (2009). 정보공개 및 공시 대응을 위한 대학의 설명책임 메커니즘 고도화. 정보관리학회지, 26(1), 107-124.

80.

임진희. (2009). 우리나라 공공기관 행정감시자의 정보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4), 249-275.

81.

임진희. (2010). 정보공개에 대응한 공무원의 업무정보 제공행동 연구. 기록학연구, (23), 179-225.

82.

장경원. (2008). EU 행정법상 정보공개제도 ― EU 옴부즈맨의 역할을 중심으로 ―. 행정법연구, (21), 75-96.

83.

장지원. (2004). 행정정보공개의 관련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행정연구, 13(1), 170-202.

84.

전대성. (2011). 정보공개의 효과분석 - 서울시 종합병원, 병원, 의원의 감기항생제 처방률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0(2), 109-142.

85.

정연욱. 지방의회 2년 평가와 전망(8) 「행정정보 공개」 큰 수확.

86.

정충식. (1997). 전자적인 정보공개를 위한 정책방안: 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개혁의 관점에서. 한국행정학보, 31(1), 163-179.

87.

정하명. (2009). 전자정보공개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공법학연구, 10(3), 259-282.

88.

정하명. (2010). 행정정보공개대상 정보의 적정 범위: 대법원 2008. 11. 27. 선고 2005두15694판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51(1), 49-70.

89.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 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

90.

채우석. (2003). 일본정보공개법의 의의와 과제. 법학논총, 13, 181-194.

91.

채우석. (2004). 최근의 정보공개판례: 일본의 최고재판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6, 265-275.

92.

최병문. (2012). 교정기관 정보공개의 허용한계. 矯正硏究, 54, 35-81.

93.

최정민. (2013). 관료의 정보공개행태 영향 요인 연구.

94.

최창섭. (1982). 정보공개의 요구권. 관훈저널, , 74-87.

95.

최창호. (2001). 정보공개법상 비공개정보에 관한 일고찰. 저스티스, 34(4), 121-164.

96.

최창호. (2007). 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소고. 법학논총, 18, 35-71.

97.

최호택. (2010). 대학의 행정정보공개와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0(11), 371-379.

98.

한귀현. (1999). 정보공개제도와 환경보호. 공법학연구, 1, 337-373.

99.

한규인. (1994). 일본에 있어서 정보공개의 제도화와 한국에서의 제도도입전략. 한국행정학보, 27(4), 1415-1436.

100.

홍일표. (2009). 정보공개운동의 ‘이중적 전환’과 시민참여 :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비교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2), 37-76.

101.

홍준형. (1998). 문서열람청구권과 정보공개청구권. 행정법연구, 2, 1-16.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