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in Korea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2, v.12 no.3, pp.203-232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3.203
설문원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내에서 기록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지 14년을 경과하면서 기록분류와 관련하여 어떤 연구들이 이루어졌고 주요 이슈는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공공기록물관리법과 연구논문에 등장하는 분류 관련 용어를 조사함으로써 분류론의 범주를 정리하였다.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기록분류와 관련된 35편의 논문을 선별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야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논문들의 내용과 특징, 한계를 밝힘으로써 기록분류 연구가 현장의 문제에 어떤 해법을 제시했으며 이론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과 해외 연구 동향, 국내 현장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cords classification, archival arrangement, principle of provenanc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research trends, research issues, records classification, archival arrangement, principle of provenanc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research trends, research issues, 기록 분류, 보존기록 정리, 출처의 원칙, 원질서의 원칙, 기능분류, 연구 동향, 연구 과제

Abstract

The study aims at reviewing research trends of records classification and archival arrangement, analysing issues, and suggesting futures tasks in related research area. It starts with defining research categori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through analysing the term of ‘classification' being foun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Thirty five research papers which are covering classific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and published in 1980's are selected for contents analysis. Considering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and the practical needs, it makes clear the issues and tasks for future research. The study concludes with emphasizing more empirical research for guid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reformulating archival theories in electronic environments.

keywords
records classification, archival arrangement, principle of provenanc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research trends, research issues, records classification, archival arrangement, principle of provenanc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research trends, research issues, 기록 분류, 보존기록 정리, 출처의 원칙, 원질서의 원칙, 기능분류, 연구 동향, 연구 과제

참고문헌

1.

곽건홍. (2010). 노동청 기록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을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23), 141-178.

2.

구자영. (1981). 정부간행물 정리에 있어서의 보존문서 분류법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학회지, 8, 209-232.

3.

김도형. (2001). 일제하 총독부 박물관 문서와 관리체계. 기록학연구, 3, 115-138.

4.

김성희. (2007). 공공기관 업무 기반 기록분류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53-163). 한국비블리아학회 세미나 자료집.

5.

김유리. (2003). 중국의 기록물 정리분류의 원칙과 사례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3), 297-316.

6.

김유리. (2003). 중국의 기록물 검색분류 -<중국당안분류법>(1997)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121-137.

7.

김익한. (1998). 기록물 관리체계론 및 평가분류의새로운 흐름. 기록보존, 11, 61-75.

8.

김정남. (2006).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43-63.

9.

김정하. (2009). 기록물의 개념과 용어의 정의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1), 3-40.

10.

노명환. (2006). 19세기 독일의 역사주의 실증사학과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랑케, 지벨 그리고 레만과 출처주의/ 원질서 원칙. 기록학연구, (14호), 359-388.

11.

마원준. (2004). 한국의 개(個)교회기록물의 기능 분류 방안. 기록학연구, (10호), 145-197.

12.

박성준. (2008). 經理院의 驛屯土 문서 분류와 분류 체계의 변형. 규장각, (32), 213-256.

13.

박성준. (2008). 대한제국기 公文書의 편철과 분류. 서지학연구, (41), 317-354.

14.

박성준. (2009). 통감부~일제 초기 갑오개혁과 대한제국기 공문서의 분류 - 분류도장ㆍ창고번호도장을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22), 115-155.

15.

박성준. (2011).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공문서 편철과 분류. 기록학연구, (28), 3-33.

16.

박성진. (2002). 일제하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분류 방식. 기록학연구, (5호), 179-208.

17.

박용부. (2011).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83-101.

18.

방일권. (2003). 러시아 기록물 분류 체계의 발전 : 러시아국립역사기록보존소(RGIA)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7호), 75-105.

19.

방효순. (2002). 출처주의의 새로운 경향과 적용에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2), 69-92.

20.

방효순. (2002). 기록물 관리를 위한 기능적 단위로서의 단위업무 역할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4, 367-392.

21.

배성준. (2004). 조선총독부 공문서 분류체계의 복원. 기록학연구, (9호), 41-73.

22.

설문원. (2003).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위한 기능분류체계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 457-488.

23.

설문원. (2005).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한 기록의계층 구조 분석 (15-39). 한국기록관리학회․한국비블리아학회․한국문헌정보학회2005년도 3개 학회 공동 학술발표회 자료집.

24.

설문원. (2005). 전자기록철의 구조와 관리방안 : 영국 ERMS 표준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49-72.

25.

설문원. (2011). 예술기록의 분류와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217-247.

26.

심세현. (2012). 모덕사 소장 일제강점기 공문서의기록학적 가치와 정리․기술 방안. 충청문화연구, 8, 83-137.

27.

유재옥. (2005). 문서기록물의 파일링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5-24.

28.

윤주범. (2004). 국가기록원의 기록물 정리․기술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118-162.

29.

이소연. (2011). 국내 전자기록 연구의 동향 분석* - 회고와 전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7-31.

30.

이송순. (2006).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의 분류와 평가. 기록학연구, (14호), 53-91.

31.

이승일. (2006). 국가기록원 소장 조선총독부 법무 문서군의 분류 방안. 서지학연구, (35), 113-143.

32.

이승휘. (2001). 중국의 혁명역사기록물의 목록기술과 검색분류⑴. 기록학연구, 4, 131-144.

33.

이승휘. (2002). 중국의 혁명역사기록물의목록기술과 검색분류. 기록학연구, (5호), 209-253.

34.

이아현. (2002). 조계종 총무원 보존기록물정리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기록학연구, (6호), 121-160.

35.

이영숙. (2005). 시민단체 기록 분류방안 연구 : 환경연합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73-101.

36.

이원영. (2000). 기록물분류의 원리 : 문헌분류와의 비교. 기록학연구, 2, 103-128.

37.

이주연. (2006). 정부기능연계모델(Business Reference Model) 분류체계와 기록분류체계 의 통합 방안 (43-60). 한국기록관리학회 2006년 도 추계학술발표논집.

38.

이현정. (2010). 형사사건기록의 분류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169-197.

39.

장지숙. (2009). 맥락정보를 이용한 기록 자동분류시스템 설계.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151-173.

40.

전명혁. (2003). 매뉴스크립(Manuscripts) 기록물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역사연구, 13, 189-204.

41.

정부기록보존소. 기록물분류기준표 3차조사서 작성지침.

42.

조영삼. (2002). ‘구기록물’ 재편철 방안의 모색. 기록학연구, (5호), 87-109.

43.

채미하. (2004). 근대 일본 역사기록물 분류론의 실제. 기록학연구, (9호), 74-109.

44.

최재희. (2011).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 회고와 전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7-22.

45.

최관식. (2006). 업무기능에 기반한 기록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57-85.

46.

최정태. (2003). 문서분류의 이론과 변천에 관한 연구- 조선조이후 현행 ‘정부공문서분류’까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2), 1-33.

47.

한국국가기록연구원. 기록관리를 위한 ISO 표준해설(교육자료).

48.

지수걸. (2005). 조선총독부공문서종합목록집:한울.

49.

지수걸. (2005). 조선총독부공문서다계층상세목록집:한울.

50.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12). (-). 기록물관리(분류)기준표 정비 워크숍 자료집. 한국기록전문가협회.

51.

한국기록학회. (2010).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아세아문화사.

52.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사전:역사비평사.

53.

한국기술표준원. KS X ISO 15489-1:2007문헌정보-기록관리-제1부 : 일반사항.

54.

한국기술표준원. KS X ISO/TR 15489-2:2007 문헌정보-기록관리-제2부 : 지침.

55.

Alberts, Inge. (2010). Bringing together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Business Process Analysis: Growing Trends in Records Management. http://www.cais-acsi.ca/proceedings/2010/CAIS075_Albertsetal_Final.pdf.

56.

DML Forum Foundation. Moreq 2010(Modular Requirements for the RecordsSystem). http://moreq2010.eu/.

57.

Dryden, Jean. (2005). Standardizing archival arrangement? Are you serious?. Journal of Archival Organization, 3(1), 81-85.

58.

European Commission. (2008). Moreq 2(Model Requirements for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Specification). http://www.moreq2.eu.

59.

Foscarini, Fiorella. (2009). Function-Based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s: An Exploratory Study Of Records Management Practices in Central Banks.

60.

Garrido, Beatriz Garcı´a. (2008). Organising electronic documents: the user perspective - A case study at the European Central Bank. Records Management Journal, 18(3), 180-193.

62.

Orr, Stuart A.. (2005). Functions-Based Classification of Records: Is it Functional? Master’s Thesis of Northumbria University. http://public.archiefschool.net/C8/Publicaties%20door%20derden/Document%20Library/Orr_Functional%20Classification.pdf.

63.

Todd, Malcolm. (2003). Business Classification Scheme Design:The National Archives.

64.

Yeo, Geoffrey. (2010). Debate about description, In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Libraries Unlimited.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