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록경영시스템(MSR) 표준 제정에 대비한 기록관리의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the MSR Standards for the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Practice in Korea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0, v.10 no.2, pp.171-192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2.171
정기애 (한국전력기술(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현재 국제표준화기구(ISO)의 TC46/SC11에서 제정을 준비하고 있는 기록경영시스템(MSR) 표준의 개념과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우리나라 기록관리 분야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MSR은 ISO 9001과 같은 경영시스템 형식으로 제정되며, 실무지침의 내용은 ISO 15489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록관리가 조직의 경영과 정책, 시스템 구축 전략과 결합되도록 해 준다. 중앙 행정기관 중심으로 진행되는 현행 우리나라 기록관리 제도의 한계점과 최근 제기된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논란에 대해 MSR은 적절한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keywords
MSR(Management System for Records), record management standards, records management, prospects, MSR(Management System for Records), record management standards, records management, prospects, 기록경영시스템, 기록관리표준, 기록관리, 발전방향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ncepts and main ideas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Records(MSR)' standards which is being prepared by ISO(TC46/SC11) are explained. And the implications and prospects of MSR standards a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records management practice in Korea. The MSR has the same frame with the ISO 9001(QA system) and its main procedures are consistent with ISO 15489. Its methodology of record management can help organizations to integrate their records management with their own management and system development strategies. The MSR can provide good solutions to improve the national archiving policy and to solve the current argument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record managers.

keywords
MSR(Management System for Records), record management standards, records management, prospects, MSR(Management System for Records), record management standards, records management, prospects, 기록경영시스템, 기록관리표준, 기록관리, 발전방향

참고문헌

1.

이상민. (2009). 국제 기록경영표준의 동향과 한국에서의 영향 및 전망 (8-31). 국제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컨퍼런스. 기술표준원.

2.

이소연. (2010). 기록전문직과 전문성 (12-20). 제2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기록학회, 기록관리학회.

3.

이영학. (2009).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제도 운영 현황 (35-49). 제9회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심포지움. 한국기록관리학회.

4.

정기애. (200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KS X ISO 15489 표준에 입각하여. 정보관리학회지, 26(1), 231-257.

5.

정기애. (2009).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와 경영품질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경영평가모델과 기록관리표준에 입각하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1-58.

6.

정기애. (2007). KM기반의 기업 전자기록물 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정보관리연구, 38(3), 161-181.

7.

조송암. (2009). ISO 302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소개 및 인증제도에 대한 국내 대응 (76-94). 국제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컨퍼런스. 기술표준원.

8.

최병구. (2007). 지식경영과 기업성과. in: 산업연구원 정책자료. 산업연구원.

9.

Ellis, Judith. (2009). Better Records-Better Business (38-55). 국제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컨퍼런스. 기술표준원.

10.

Reed, Barbara. (2009). The Status Quo and Prospect of RMS Based on Metadata (7-35). 2009년 기록관리 표준 포럼. 국가기록원.

11.

Shepherd, E.. (2005).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Facet Publishing.

12.

ISO/DIS 3030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Management System for Records-Requirements.

13.

ISO/DIS 30300.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Management System for Records-Fundamentals and Vocabulary.

14.

KS X ISO 15489-1. 문헌정보-기록관리 -제1부: 일반사항.

15.

KS Q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요구 사항.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