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s office, 검색결과: 2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개항장에 한시적으로 설치되었던 감리서의 설치과정 및 관련 기록을 부산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감리서가 요구되는 시대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항이 개방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감리서 기록이 생산되는 맥락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감리서의 직제와 설치와 폐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감리서가 업무를 수행하면서 생산하거나 접수한 기록을 감리의 기능에 따라 교섭기록, 재판기록, 경무기록, 통상기록, 목민기록, 일록의 여섯 유형으로 나누어 각 기록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부산항의 개방과 관련한 조약과 감리서의 설치와 폐지에 관한 칙령들은 『고종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연대기 자료와 『한말근대법령자료집』에 게재되어 있다. 감리서에서 생산하거나 접수한 원본 문서는 대부분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데, 목록이나 해제만 제공되고 있으며, 일부는 『각사등록』과 『구한국외교관계부속문서』에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감리서 관련 기록들 가운데 『고종실록』만 국역되어 있으므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역과 원문 서비스 제공이 시급하다.

Abstract

The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Japan began signing procedures from February 1876. Thus, Busan port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This has resulted in Busan port becoming the greatest port in Korea. Because of this, the Superintendent Office (Gamriseo, 監理署) was established at 1883 but was later abolished in 1906. In this thesis, the author explored the opening procedure of Busan Port as an open port,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s in the Superintendent Office, and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types, and contents of records of Gamriseo that were created or received. Record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classified into diplomatic records, judge records, police records, customs records, administrative records, and the daily records of the institution. Most of the original document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while some wer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Asiatic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niversity.

초록보기
초록

기록연구사들이 기록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무가 조직화되고, 직무환경에서는 동기가 부여되며 근무여건은 실제의 업무와 관련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을 조사하여 지방기록연구사의 업무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록연구사들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초자치단체의 개념,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배치 현황 및 업무,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관의 현황과 업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록연구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요인, 직무환경요인, 근무여건 등의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관장 및 상사와 동료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에 대한 기관 차원의 지원, 기록관리업무를 담당할 인력충원 혹은 기록연구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분담의 필요성,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업무환경에 맞는 행정적 지원 등이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rs who are in archives of autonomous districts,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management of duties for local records managers, and deduce the improvement methods that could help records managers more efficiently perform their du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basic autonomous districts, the allocated summary and duties of records managers through with basic autonomous districts, 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duties of the archives through autonomous Gu offices that were in study. Based on the theori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factors, the study drew up a survey that encompasses the present demographic summary, job characteristics, job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