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s, 검색결과: 14
11
유지윤(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2016, Vol.16, No.3, pp.31-67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031
초록보기
초록

최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기록물들이 증가하면서 이를 기술하고 접근을 제공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미국, 호주, 영국 등 해외의 문화유산기관에서는 방대한 양의 기록을 한 눈에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랙티브 시각화를 도입하여 기록물에 접근하는 방식을 다양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시각화 기법을 기록물에 적용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시각화의 필요성을 조명하고 해외 문화유산기관의 인터랙티브 시각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공통된 시각화 요소 및 기법을 적용하여 국가기록원의 기록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하였다.

Abstract

As the amount of digital collections has been increasing, a new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access to records. Interactive visualization allows users to more easily browse and navigate across large collections.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introduced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to diversify ways by which to access archival record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applying interactive visualization to archival collections. It began with an analysis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cases in overseas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Based on the analysis, a visualization of the collections hel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using various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was suggested.

12
이효진(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2021, Vol.21, No.3, pp.187-215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187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에서는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된 사용성이 높은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검색서비스의 사용성을 전문가 평가와 다양한 그룹의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인터페이스 사용성 전문가 평가 중 하나인 휴리스틱 평가 및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정확성 영역에서 심각도가 가장 높았으며 에러대처 영역의 심각도가 가장 낮았다.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에서는 이용자의 배경요인과 도움말 제공 여부가 사용성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기록관리학 전공자, 웹/앱 개발자 및 그러한 배경요인이 없는 일반인 등 총 22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사전 설문조사, 5초테스트, 검색과업 수행 순으로 진행하였다. ISO 9241-11:2018의 사용성 구성요소인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웹/앱 개발자의 검색 효과성이 가장 높았고 기록관리학 전공자의 경우 기록정보콘텐츠 검색에서만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에 있어 배경요인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색도구에 익숙해질수록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도움말 제공은 효과성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 이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검색기능의 제공, 도움말 지원의 확대, 일관성 있는 웹 인터페이스 제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rchives should provide a web-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ith good usabil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sers’ need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usability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website’s search service through expert and usability evaluations for various users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s. A literature review, heuristic evaluation, one of the usability expert evaluation methods, and usability evaluation for user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expert evaluation, the severity rating for the usability problem was highest regarding a match between the system and real world and the lowest in error prevention. In the usability evaluation, it was assumed that the user’s background and whether the website’s help was provided is associated with usability.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22 participants, including those majoring in records management, web/application developers, and people without such backgrounds. Furthermore, a presurvey, a five-second test, and search tasks were conducted in a row. The analysis based on usability components in ISO 9241-11: 2018, i.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showed that web/application developers had the highest search effectiveness, and those majoring in records management showed high effectiveness only in the search for archival content services. Background factors did not affect efficiency, and the more familiar with the finding aids, the better the efficiency. Moreover, providing the website’s help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AK website will offer a user-friendly interface and search function, expand help support, and display a consistent web interface.

13
이지은(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 전공 박사 과정)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23, No.3, pp.1-20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3.001
초록보기
초록

미술 아카이브는 미술계에 속한 작가, 평론가 및 관련 기관, 단체 등이 수행하는 활동 과정에서 생산하고 수집된 기록물로 기관이나 조직에서 생산한 기록도 존재하지만 개인 기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미술 아카이브는 다양한 매체와 형식을 가지며 각각 고유한 특성과 다양한 생산자가 존재하여 개별적인 사안별로 저작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 아카이브 관리 절차를 조사 및 수집, 조직, 보존, 활용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재구성하고 이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대구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서울시립미술관 4개 기관의 실무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 기록 현장에서 발생하는 업무영역별 저작권 현황과 쟁점을 확보하여 분석하고 저작권 사례별로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미술 아카이브 현장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관리적, 법적 영역을 세밀하게 절차화하여 기초자료를 도출하고 기록화한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rt archives are archives that are produced and collected in activities carried out by artists, critic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a large portion consists of individual record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art archives have a wide range of media and formats, each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creators, which can lead to copyright issues in individual case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six art archive professionals from four institutions, secured and analyzed the copyright status and issues that occurred in the art archives field by business area, and suggested applicable measures for each copyright case.

14
이지은(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 전공 박사 과정)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24, No.1, pp.1-29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미술 아카이브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에 필요한 전문인력 구축에 관한 실무자 및 연구자 인식과 의견을 기반으로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술 아카이브 및 정책 관련 실무자와 기록관리 연구자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질적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7개 개념과 27개 하위범주, 13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미술 아카이브 전문인력에 대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으며 영역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 아카이브 전제조건인 전문인력의 중요성을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고 미술관 내 미술 전문 아키비스트가 전문인력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기초 연구로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cultivat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art archives, drawing insights from the perceptions and opinions of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art archives. To achieve this objective,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records management researchers related to art archives and policies were conducte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as used in the analysis of interviews. The outcome yielded 57 concepts, 27 subtopics, and 13 super-topics. Through this, the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persistently emerging challenges related to art archive professionals, and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experts in each field, this research presents effective ways to revitaliz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Ultimately, this study offers valuable implications that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professionals, who are prerequisites in art archives, within society and provide a platform for art archivists in museums to establish themselves as art archive professional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