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historical records management, 검색결과: 34
1
이지은(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2021, Vol.21, No.1, pp.97-116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097
초록보기
초록

군 기록관리는 꾸준한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조직문화로 정착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는 조직에 기록관리제도 정착의 주요 한계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규율을 중시하는 조직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구성원의 기록관리 인식의 원인을 제도적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구성원의 기록관리 행위를 제약하고 있는 관련 제도를 비교⋅분석한 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과 해석현상학적 분석기법(IPA)을 적용하여 제도의 내용, 권력관계, 조직특성, 구성원 인식을 주요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육군 구성원들은 업무수행절차를 규정하는 여러 제도 간의 비일관성으로 혼선을 느끼고 있으며 제도 및 조직에서 추구하는 책임성과 효율성의 가치가 조직목표와 제대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도의 법적 정당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의 필요가 있으며, 책임성과 효율성을 조직목표와 올바르게 연계하여 교육을 통해 구성원에게 내재화해야 함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록관리 인식개선 및 제도정착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vel of members’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within the institutional context extensively. According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stitutional systems that restricted the members’ record management activitie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mbers were confused by the inconsistency among the systems that defined the work procedures, and that the value of responsibility and efficiency i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does not match the organization’s goals. Therefore, the legal justification of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harmony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efficiency and to match them with the organization’s objectives. Moreover, the improved system should be internalized by the members through instructions that are relevant to the content of the system. This study intends to increase awareness i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 the system as well.

2
이은비(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정책과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21, Vol.21, No.2, pp.49-68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2.049
초록보기
초록

구술기록의 보존과 관리는 국가 유산의 지식 창출과 활용이면서 지역 문화의 가치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공공도서관은 구술사를 통해 국민의 삶을 재조명하고 그들의 기록을 수집, 활용, 보존해야 하는 사명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에 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연구와 현재 구술기록을 수집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담당자의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술기록물 관리를 위한 정책과 매뉴얼 수립, 공공도서관 업무 담당자들의 구술기록물 수집⋅활용⋅보존⋅관리에 대한 전문 능력을 고양시키는 개별 교육프로그램 마련, 지역의 구술사를 활용한 홍보 전략의 개발, 구술기록물 보존을 위한 장기적 환경 마련 및 활용 다각화, 구술기록물의 수집⋅활용⋅보존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전문인력 배치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ral historical records are for creating and utilizing knowledge of national heritage and promoting the value of local culture. Furthermore, one of the missions of the pubic libraries is to realize the general utilization of records by reexamining people’s lives and employing oral historical records to preserve their rights and benefit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y staff to gather detailed opinions on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discussions concluded in this study, establishing policies and manuals for oral records management, sufficient professional workforce,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staff development in collecting, preserving, recording and managing oral historical records, public relations strategies, and preparation of a long-term preservation environment for thorough digitalization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lection, utiliza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3
이유진(전북대학교) ; 윤은하(전북대학교) 2017, Vol.17, No.1, pp.1-30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1.001
초록보기
초록

기독교의 기록은 개별교회와 관련된 기록뿐만 아니라, 기독교 단체 및 개인, 그 외 언론사에서 발간한 기독교 관련 기록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기독교 기록은 교회내․외의 다양한 기관에 산재되어 있고 그에 따라 관리방식 역시 상이하다. 다양한 관리방식 및 기록이 산재함으로 인한 열악한 접근성은 이용자들로 하여금 기록의 활용을 어렵게 만든다. 본 연구는 기독교 역사기록 기술(記述)규칙을 개발하여 산재된 기록들을 통합적으로 관리,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 영구기록물 기술표준 ISAD(G)와 국가기록원의 영구기록물 기술규칙을 바탕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료관, 미국 북장로회 아카이브 기술규칙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기독교 역사기록물의 특징을 고려하여 기독교 역사기록 기술규칙을 제안하였다.

Abstract

Christian records are greatly diversified as they are scattered in various institutions inside and outside of the church, which include records of Christian organizations, individuals, and the media. Given this, their management methods also vary. Because of this diversification of methods,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access and make use of these recor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rules for the archival description of Christian historical records to provide a foundation that will allow users to have an integrated system where they can access all Christian records from different institutions including the church. For this purpose, the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and those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were compared, and from this comparison, features of each institution were identified. Using the features based on ISAD(G)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and Christian historical records, the rules for the archival description of Christian historical records were develop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근현대 기록관리 제도사의 결락을 메우기 위하여 USAMGIK와 당시 생산된 기록 등 문헌검토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미군정기 행정체계를 확인하였고 행정체계 속에서 나타나는 기록관리 조직과 업무를 검토하였다. 미군정기 기록관리 조직과 업무는 행정체계의 이원화와 인적 구성의 동일성으로 인하여, 조선총독부와 미 육군의 기록관리체계가 혼용된 형태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행정조직과 의회 기록관리체계가 정비되기도 하였으며, 군정기구와 민정기구, 중앙행정기구와 지방행정기구, 의회의 경우 개별적 기록을 관리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한편 미군정기에는 미 육군의 기록관리 방식이 도입되어 국한문과 영문을 혼용하여 공문서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글 전용화가 요구되면서 공문서 작성방식 변화에 대한 주장이 이어지기도 하였다. 역사기록관리체계 또한 이 시기 시작되어 국사관을 설립하는 등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US military government’s record management system to fill the gaps in Korea’s record management history. The US military government’s record management system adopted the concept of “mixed use”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US Army because of the dualized administration and constituency of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he US Army’s record management method was introduced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to manage historical records and produce official documents that mix Chinese and English letters.

5
장현종(부산대학교) ; 이은주(동의대학교) 2022, Vol.22, No.3, pp.143-150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3.143
초록보기
초록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후 국내 공공기관 등의 공적인 영역에서 기록관리 체계가 확립되었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업무과정에서 생산된 공공기록물의 관리에 초점이 맞춰지다보니 비전자기록관리시스템으로 관리되는 대학기록관의 역사자료 관리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활용하여 비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개선 과정을 시도한 부산대학교 기록관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비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부서관리 기능을 개선하고 자원의 특성을 반영한 목록을 작성한 뒤 서가편성을 수행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부산대학교 기록관의 비전자기록관리시스템 기능 개선사례 결과가 향후 유사한 어려움에 직면한 관련 기관에게 긍정적인 방향제시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With the enact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in 1999 and its revision in 2020, a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However, as the focus is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there are difficulties in manag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university archives controlled by the non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looked at the cas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Archives, which attempted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non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In particular, it is a case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non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improved, catalog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were produced, and then the shelves were organized. It is hop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non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Archives will provide a positive direction for related organizations facing similar difficulties in the future.

6
김성우(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이해영(명지대학교) 2020, Vol.20, No.3, pp.99-118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3.099
초록보기
초록

기업의 기록관리를 통한 가치창출과 편익제고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와 견주어도 부족함이 없는데 우리나라의 기업기록관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가이드라인도 제정되어 있지 않다. 글로벌 기업들은 업무과정의 산출물인 기록을 정보자산으로 축적하고 이용하여 업무의 시행착오를 줄이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기록관리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현용기록관리보다는 사사편찬이나 사료관리 등 비현용기록관리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성공적으로 기록관리를 하고 있는 K사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현용기록 축적과 이용을 통한 가치와 편익을 찾아보고, 기업기록관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시대의 중요한 자원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용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기업기록관리를 조명하며 기업기록관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reation of value and the enhancement of benefits through records management by enterprises are comparable to those by public institutions. However, Korea has yet to establish guidelines on corporate records management. Global companies are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rial and error in their work through the accumulation and use of records as information assets, which serve as the output of their work processes. While Korean companies agree on the necessity of corporate records management, most of them are concerned with archival (noncurrent records) management, such as historical compilation and historical data management, rather than records (current record) management. Therefore, through a case study of a K-company with effective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identifies methods to promote the accumulation, use, and management of corporate records in line with the search of value and benefits. Moreover, the company emphasizes the management of corporate records as a big data platform that accumulates and uses data, which is an important resourc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poses measures for their revitalization.

7
조민지(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6, Vol.6, No.2, pp.157-184 https://doi.org/10.14404/JKSARM.2006.6.2.157
초록보기
초록

한 나라의 중심에 서 있는 대통령과 관련하여 생산해 낸 기록물은 대통령직 수행의 증거이며 역사적 핵심기록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역사가 그들 활동의 증거를 토대로 심판할 수 있도록 이 핵심 기록을 제대로 생산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잘 관리해야할 책무가 있다. 역사적 평가는 증거 없는 기억만으로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2007년 초 현재, 대통령기록물의 메카가 될 대통령 기록관 설립에 관한 의무조항을 포함한 대통령기록물관리법률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대통령 기록관은 기록관 기능에 박물관, 교육 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적 국가기관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이용도와 사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수요자 지향적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 편의보다는 이용자 위주의 대통령기록관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 대통령 기록 박물관의 프로그램을 선진 사례로 먼저 살펴본 후, 한국 대통령 기록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적용 가능한 예를 제시하였다.

Abstract

Presidential records which have produced during a presidency as a national center are the evidence of the presidency and main historical records. We have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fundamental systems to produc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and to manag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which could help people and history to judge the presidency based upon the evidence of their activities. The historical appraisal could be achieved not by memory but by evidence. A draft of a proposed law on the management of presidential records which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libraries for the presidential records Mecca is being moored at the National Assembly now. The presidential library is to be considered as a multi-functional national institution which is carrying out the role as an Archives, Museums and Center for the education.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for a presidential library to provide user-oriented services to enrich the usability and the value of records, recognizing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paradigm from a supplier-oriented system to a customer-oriented system.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develop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focusing on customers rather than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reviewed programs of the U.S. presidential libraries as a developed case and proposes guidelines and applicable sampl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초록보기
초록

우리의 우수한 기록문화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공기록물 관리 실태의 수준이 열악한 원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공공기록물 관리과정을 모색하기 위해 1948년 정부수립 이후 2006년 현재까지 시행된 공공기록물의 관리에 관한 법규인 ‘정부처무규정’, ‘정부공문서규정’, ‘사무관리규정’,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공공기록물의 개념, 관리기관과 기록물 생애주기에 따른 접수와 등록, 분류와 편철, 보존, 열람, 폐기와 서고관리를 중심으로 기록물의 관리제도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ourse of legislations on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analyse the transition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systems on the basis of the life cycle of records, and eventually provide an effective measure reflecting the environment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in Korea.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may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records management systems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legislations with relation to public records management.

9
이승일(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Vol.10, No.1, pp.31-53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1.031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법원에서 생산되는 행정기록과 재판기록의 관리체제가 어떻게 수립되었고 그 특징은 무엇이었는지를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법원은 대한민국 국민의 법적인 권리 및 의무관계를 확정하는 등 사법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법원기록물은 일반 행정기록과는 다른 특수성을 가진다. 특히, 법원기록물은 법원에서 생산하는 재판서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민사사건기록 및 형사사건기록 등 다양한 출처의 기록들이 함께 관리된다. 법원기록관리체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생산출처가 다른 기록물들이 재판절차를 거치면서 보존 관리되는 방식을 파악해야 한다.

Abstract

This paper historically examines how the management system of administrative records and court records generated in court were established, and what it's features are. Because the court exercises jurisdictional rights such as confirming the leg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Korean nationals, the court records have a unique characteristic compared to general administrative records. In particular, court records are not composed only of rulings generated in courts, but also of various records such as civil case records and criminal case recor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gal records management system, we must first identify the method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fter these records, which have different provenance, pass the court procedures.

10
김현태(전북대학교) ; 전한역(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배성중(전주교육대학교 기록연구사) ; 오효정(전북대학교) 2022, Vol.22, No.2, pp.75-93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2.075
초록보기
초록

현재 우리나라는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다수의 학교들이 폐교될 위기에 직면해있으며 지역사회에서는 교육기관을 통폐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 교육문화의 변화를 보여줄 역사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다수의 교육 관련 기록물들이 멸실⋅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교육 행정박물은 과거 교육기관의 운영에 따른 이력과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자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행정박물이 가진 특성을 기록학적 관점과 문화유산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도출하기 위해 현재 공공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특수유형 기록물 관리시스템, 사료 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비교⋅검토하였다. 나아가 J 교육대학의 행정박물 보유현황 및 관리 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 행정박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필수 기능과 이에 따른 메뉴 구성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Many Korean schools are in danger of closure because of a decreasing school-age population, and cases of consolid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are on the rise. A number of educational records, particularly educational administrative artifacts (hereafter “Edu Artifacts”), are accordingly in danger of disappearing. Despite their histor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systematic management is far from satisfactory. This study thu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du Artifacts from the archival and cultural heritage perspectives and compares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special type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historical manuscripts management system, which are currently used in public institutions, to see what is required to manage them effectively. By analyzing the Edu Artifacts possession status and management system of J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the research outcome’s effectiveness by presenting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Edu Artifacts and the corresponding menu structure.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