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exhibition, 검색결과: 3
1
이재나(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대학원) ; 유현경(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건(전북대학교) 2015, Vol.15, No.3, pp.87-11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087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기록 및 대통령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을 수집하고 관리하여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특수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및 관련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또한 기록관의 현 과제는 보존과 관리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공유․활용․확산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두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들에게 대통령기록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에 천착하여, 오늘날 각광받고 있는 스토리텔링 전시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하고, 유아 및 초등학생들의 단체 방문을 유도할 수 있으며, 향후 기록물 수집정책이나 전시기획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residential Archives collects and manages both the presidential records and historical archives related to the president which it subsequent provides to the people. Regardless of these special duties that meet the people’s right to know, its awareness and study on the Presidential Archives has not been thoroughly satisfied. It is time to focus on providing service to share and utilize records and archives, as well a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xhibition methods through storytelling, which is well-known, as it pursu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various services for a more efficient usage and promotion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This helps raise awareness about the Presidential Archives, attract group visits of children, and provides a good example for collecting archives and planing exhibitions.

2
권미정(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5, Vol.15, No.3, pp.115-140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115
초록보기
초록

교회기록물은 종교적 의미와 역사 문화적 가치, 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잘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회 기록의 가치와 기록관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이해와 협조, 예산과 인력 지원 등을 받기가 어려운 환경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개신교 기록관의 서비스 사례 조사와 새문안교회 기록관의 현황 분석,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문안교회를 중심으로 한 개신교 기록관 운영 활성화 방안을 환경, 서비스, 역할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교회기록관의 교육, 전시, 출판, 홍보 등의 서비스는 기록관의 역할과 필요성을 재조명하고 모기관인 교회에서 필수적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것이다.

Abstract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church documentary for religious reasons, including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e church archives should be excellently managed. However,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church records and archives makes it very difficult to have an actual grasp of its status and practical supports, such as budget and personnel, for records management. In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and current status of domestic Protestant church archives, user survey of Saemoonan Presbyterian church and interviews of church archives records officer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ree parts of the proposed plan of the Saemoonan Presbyterian Archives were suggested. Education, exhibition, publication, and promotion of the church’s archival services will help redirect the roles and values of the archives, which will make it an essential part of the church.

3
오유진(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육혜인(전북대학교) ; 김수정(전북대학교) 2015, Vol.15, No.2, pp.7-30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007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원은 민간영역의 중요 기록물을 보호하고 기록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매년 ‘기록사랑마을’을 지정하여 지원․운영해오고 있다. 기록사랑마을은 국가 재정지원을 받는 사업인 만큼 예산사용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사업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하여 본래의 사업 목적을 기준으로 현재 현황을 점검하고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사랑마을 중 I군을 방문하여 접근성, 전시내용 및 방법, 시설 및 장비 등을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3명의 지역 관계자, 8명의 마을주민, 1명의 국가기록원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록사랑마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장차 기록사랑마을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사랑마을의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보다 많은 마을에서 그 지역의 민간기록물을 수집․관리 및 활용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In 2008,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itiated the Archive Village project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valuable private records and enhancing the awareness of archival culture. To justify the expense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 and determine its future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ject. To do that, the researchers visited an Archive Village in I county and examined its accessibility, exhibition contents, facilities, equipment, etc.,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ject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well as eight residents and three persons who were involved in building and managing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elp other villages plan acquisi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how to make important private records in local areas available.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