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collection, 검색결과: 125
21
오정희(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기록관리학)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8, Vol.18, No.4, pp.99-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0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독립 운동 컬렉션에 대한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출처별 분류 체계는 계층별로 구성하였으며 출처별로 분류된 기록물들은 관련 주제어에 따라 2차 분류한 후, 17가지 자료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출처-주제-자료유형’의 인용 순서로 기술하였다. 또한 주제어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컬렉션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이용자가 기록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립 운동 DB 자료의 기록물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체계로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based on the collection of Gonghun Digital Archive based on sources, subjects, and media types. First,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source is organized by hierarchy, and the records classified by source are classified into the second category based on the related keyword. Then, the records are classified into 17 media types. Finally, it is described in the citation order of “source-subject-media type.” In addition, a meaningful collection using inductive methods based on the subject words is derived. Finally, Gonghun Digital Archive collections are categorized by media types, sources, and subjects so that users can easily find the rec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classification system to support records retrieval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and it will become a basis for expand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and the service of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초록보기
초록

대중 매체의 보도는 보도 대상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반영하는 동시에, 그 보도 대상에 대한 공공의 이미지에 영향을 끼친다. 이는 아카이브 관련 직업군, 기관, 장서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공공의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3-2004년간의 국내 주요 일간 신문 보도 내용을 수집하여 그 결과를 기록관리 문화, 기록물의 가치, 기업 및 병원기록관리, 정부기록관리, 아키비스트 직종의 다섯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에 해당하는 기사 내용을 분석하고, 총체적인 보도 유형과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공공 이미지가 아직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며, 단편적인 관심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키비스트의 사기 진작과 기록관리 정착을 위하여 기록관리에 대한 공공의 이미지를 증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의 홍보 활동이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Public image on the Archives is investigated through media coverage of archival profession, institutions and collections in Korea between 2003 and 2004 in this research. News stories under the subject of archives are collected and categorized into archival culture, value of records, business archives, government records and civil rights movement, and archivists and archival advocacy. The patterns of the media coverage are discovered and analyzed from various viewpoints. As a result, ongoing proactive public relations with mass media are necessary in order to enhance currently low public image of archives of Korea.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내 기록유산기관들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Cox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환경에 맞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로컬리티 기록화와 관련한 접근방법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히 공간과 장소를 중심축으로 하는 기록화의 범주를 도출하고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로컬리티가 담긴 기록을 생산․수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methodologies for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reformulation the Cox's documentation model focused on cooperative acquisition of documentary heritage institution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s of locality, space and place, relation of collective memory to archives, and analyzes the four approaches of documentation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the categories of documenting locality, and the directions of archive portal design for collective memory of localit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는 기록정보콘텐츠 중 컬렉션 유형의 특성을 반영한 사용성 평가영역과 항목을 도출하고, 역사 전공자를 대상으로 ‘독립운동관련 판결문’ 컬렉션의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성 평가영역 및 항목이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페이스, 콘텐츠, 검색’ 영역 순으로 전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각 영역 별로 2개 평가항목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검색, 콘텐츠, 인터페이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터페이스 영역의 중요도가 비교적 더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콘텐츠 컬렉션 유형의 사용성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reas and elements of usability evaluation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al contents collection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Decisions Relating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collection for history majors. Through the findings, the relation and importance level that usability evaluation areas and elements have on overall satisfaction can b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reas of content, search, and interface all had positive effects on overall satisfaction. The interface area holds the greatest influence, and the two elements on each area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users selected the order of importance as “search” first, “contents” second, and “interface” third, showing that interface was considered relatively less important. Based on this, we propose improving the usability direction of the archival contents collec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25
도슬기(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강사) ; 박희진(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부교수) 2023, Vol.23, No.2, pp.95-115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2.0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국채보상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기록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위키데이터와 연계하는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메타데이터, 시소러스,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기록물의 내용 분석을 통해 위키데이터와 연계를 위한 데이터 모델의 클래스인 기록물건, 행위주체, 시간, 장소, 사건을 도출하였다. 또한 클래스 간 연결을 위한 관계 속성들을 파악하여, 설계한 데이터 모델을 실제 기록물 사례에 적용해봄으로써, 속성을 중심으로 한 객체 간의 이동을 통해 풍부한 관련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규모 로컬 아카이브에서 위키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의 공유와 활용 체계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esigned a data model linked to Wikidata and examined its applicability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igital archive records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registered as World Memory Heritage,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existing metadata, thesaurus, and semantic network graph. Through analysis of the original text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records, key data model classes for linking with Wikidata, such as record item, agent, time, place, and event, were derived. In addition, by identifying core properties for linking between classes and applying the designed data model to actual records,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abundant related information was confirmed through movement between classes centered on properties. Thus, this study’s result showed that Wikidata’s strengths could be utilized to increase data usage in local archives where the scale and management of data are relatively small.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for application in a small-scale archive similar to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digital archive.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단계인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에 따라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예시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수업에서 통일 교육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를 설계함으로써 앞서 제안한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보고,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s of curriculum-standards analysis and collection analysis. This paper also designs the sample of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based on this methods. This paper intends to verify the methods and to suggest a model of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available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standards by designing the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on national unification in high school classrooms.

27
천호준(우석대학교) ; 양월운(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 최태석(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연구원) 2018, Vol.18, No.4, pp.205-229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2월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 기록의 가치와 기록의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와 국외에서 진행된 메가 스포츠이벤트 사후관리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으로서 3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기록화 대상과 주체, 주제별, 계층별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한 후 사후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제한적인 문헌기록의 보완을 위해 구술기록을 통한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셋째, 홈페이지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후관리에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평창동계올림픽기념관 건립과 국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 전략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collect records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was held in February 2018.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value and types of records of the 2018 Winter Olympics follow-up records were identified, and the cases of mega sports event follow-up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were presented to collect record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irst,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collection methods over time. Secon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object and subject of recording. Thir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subject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study’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a Pyeongchang Winter Olympics memorial hall and to prepare a collection plan for follow-up management after holding a domestic mega sports event.

28
정소안(국민대학교) 2022, Vol.22, No.4, pp.197-203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4.197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은 근현대기록물을 수집하고 있는 기관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기록물의 유형을 살펴보고 기록관의 역할과 범위, 그리고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쓰였다. 수집된 기록물을 대상으로 근현대기록물의 범위를 지정하고 기록관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기록물의 수집과 보존에 대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전문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he types of records gathered for institutions collecting modern and contemporary records, examine the role and scope of the archives, and determine the next steps. By specifying the scope of modern and contemporary records for collection and examining their role as a record repository, I would like to consider approaches to balancing the collection and preserving records and suggest methods for developing professional capabilities.

29
김혜미(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이영학(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Vol.19, No.2, pp.173-191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2.173
초록보기
초록

연구관리 전문기관은 정부부처와 연구수행기관간의 중간자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연구수행기관으로부터 수집되는 연구기록물은 연구과제의 증거적 능력뿐 아니라 연구과제의 지식 정보 공유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에서 수집하는 핵심 연구기록물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핵심 연구기록물의 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 research and management institution plays a middleman role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Research records collected from research institutes are important not only as evidence for research tasks but also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sharing. In this study, the key research records collected by research management institutions are identified, and problems are analyzed to present efficient measures to improve key research management.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리에 대한 미술계의 관심과 염원을 반영하여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 2013년 10월부터 미술관아카이브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미술관아카이브는 기록학적 논의와는 구별되는 흐름을 지니고 있지만, 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의 실체를 지닌 것이기 때문에 그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기록학적인 관점에서의 접근과 진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국립현대미술관 아카이브 가운데 기관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기록물 수집과 정리 방법을 기록학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미술관의 기능과 미술관아카이브의 역할과 미술관아카이브의 기록물 수집 범위와 정리 방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기관아카이브의 기록물 수집의 범위와 정리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began operating the museum archives in October 2013. Although the museum archives have an independent flow that is distinct from discussions of the archival sciences, it is a reality as a record management organization, and therefore, access to and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archival science i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records from the viewpoint of archival sciences from the Institutional Archives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To this end, we theoretically examined the function of the museum, the role of the museum archives, and the scope and method of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museum archiv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analyzed the scope of the collection and the system of arrangement of the institutional archives. Then, we suggested some improvement pla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