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archival description, 검색결과: 35
1
박현이(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1, Vol.11, No.2, pp.33-55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2.0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검색도구를 공유할 수 있도록 EAD 필수요소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3개의 국외 모범사례인 미국연구도서관협회, 캘리포니아 온라인 아카이브, 미국의회도서관에서 개발한 모범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공공표준 『영구기록물 기술규칙』(2008)과 실제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과정을 거쳐 설계원칙과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AD mandatory elements to share finding aids among the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Three foreign EAD best practices for case studies: the EAD Best Practice at the Library of Congress(2008), the RLG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2002), and the OAC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2005)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Archival Description Rules(2008) as the data content standard of Korea and the descriptive elements which are were being used at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were analyzed. Based upon the results of comparisons among EAD element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which EAD elements should be included in finding aids as a matter of exchange format.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he rules and EAD elements for the archiv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designed and suggested.

2
하은미(유니닥스(주)) ; 이수상(부산대학교) 2007, Vol.7, No.2, pp.139-164 https://doi.org/10.14404/JKSARM.2007.7.2.139
초록보기
초록

탐색도구는 이용자가 기록물을 접하는 가장 처음 단계로 이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탐색도구의 전산화 표준인 EAD는 웹을 통해 이용자가 탐색도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기록관간 상호운용성을 촉진한다. 이 연구에서는 EAD 탐색도구를 구축한 국내외 기록관에 대해 살펴보고 EAD 탐색도구의 특징적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대학기록관의 탐색도구 서비스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여기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Finding aids is the first necessary step for users to find records easily. EAD, computerized standardization for finding aids, enables users to access to the finding aids easily and accelerates interoperability between Archives.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where they have built EAD finding aids and to analyze the distinctive feature in the EAD finding aids. And to review and point out the problems in current status of finding aids in domestic university archives. And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is presented in this research.

3
이은주(동의대학교) ; 노지현(부산대학교) 2020, Vol.20, No.4, pp.129-146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4.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조직의 의미와 지식 범주에 대해 고찰하고, 기록조직과 관련된 그간의 연구성과를 분석하여 학문적 공과(功過)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록조직의 범주로 간주되는 150편의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이들로부터 정제된 키워드를 추출한 다음, 이를 대상으로 기록조직에 사용된 용어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용어 분석에서는 기록조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키워드와 그 관계를 통해 통시적인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내용 분석에서는 용어 분석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맥락과 의미 등 연구의 실제적인 내용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조직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함께 방법론이나 연구대상, 연구주제가 갖는 한계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studies on records and archives organization published in Korea. In particular, it will serve as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contribution of this area of research to the improvements and changes in the country’s records management field. To this end, 150 journal articles related to the records and archives organization were gathered. After extracting refined keywords from the titles and author-assigned keywords, terminology analysis and contents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one hand, terminology analysis (frequency and network analysis) identified frequently discussed top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study revealed the detailed contents regarding the two main topics and their meanings.

4
장윤미(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0, Vol.10, No.2, pp.53-74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2.053
초록보기
초록

건축도면은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건축 기록물로서, 기술적․물리적․내용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건축도면 기록물을 보존, 활용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인데, 국내에는 아직 건축도면 아카이브 기술을 위한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건축도면의 기술규칙 적용모델이 될 수 있는 표준 및 지침을 통해 기술요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rchitectural drawings are the records containing a lot of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s and an architectural drawing has a lot of technical, physical and significant uniqueness. The most important thing required to preserve and utilize architectural drawings is description. However, there is still no standard for the description of architectural drawing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description elements for architectural drawings based upon examining a generic character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analyzing several standards and guidelines that can be used as the description rule application model for architectural drawings.

5
한상은(성균관대학교) ; 박희진(한성대학교) 2022, Vol.22, No.1, pp.201-217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2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위키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 자원에 대한 접근을 높이고 구축한 데이터를 공유,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기록 자원의 기술(description) 표준과 디지털 아카이브의 데이터 관리 및 공유와 관련된 연구들을 통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 데이터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위키데이터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고 위키데이터를 적용한 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위키데이터 기반의 기록 데이터 개방, 공유와 재사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위키데이터를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할 때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최근 데이터 개방, 공유 관련 기술의 동향을 이해하고 실제 아카이브 현장에서 위키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se Wikidata to increase access to archival resources and see ways to share and reuse constructed data. To this end, the status of digital archives locally and abroad was identified using the description standard of archival resourc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discussed in the archival science field and the research related to data management and sharing of digital archiv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ikidata were identified, and cases of digital archives applying Wikidata were investigated. The case analysis suggested implications for data sharing and reuse as well as th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Wikidata to digital arch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services using Wikidata in the actual archive field by understanding the recent trends in data open and sharing related technologies in constructing digital archives.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기록의 생산과 이관으로 인해 파일 단위 기반의 기록물 기술체계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록관리 환경에서 기록물의 지적 통제를 유지하고, 지속적인 이용자의 기록물 접근을 지원하기 위한 기록물 기술 방식을 TNA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TNA는 ISAD(G)를 바탕으로 보존기록을 기술해 왔으며, 디지털 기록의 기술을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기술 관행을 수정하였다. 디지털 기록으로 인해 이제는 기존의 ISAD(G) 방식만을 고수할 수 없게 되었고, ICA에서도 차세대 표준인 RiC을 개발하는 중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움직임 외에도 우리 환경에 맞는 기록물 기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2000년 이후 TNA의 온라인 목록체계는 변했고, 이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ISAD(G)를 변형하였다. TNA의 사례는 기관이 당면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자생력 강화의 필요성을 일깨워 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방식의 기록물 기술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아날로그 기록과 디지털 기록의 통합적 접근 제공, 불확실한 디지털 미래를 향한 실험과 협력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Abstract

Because of the creation and transfer of born-digital records, file unit-based record description practices have changed fundamental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rchival description pract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TNA) to maintain intellectual control in the digital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and to support the access to records of users. TNA has created an archival description based on ISAD(G) but, for describing born-digital records, it changed the guideline for descriptive cataloging practices. As the method of ISAD(G) cannot adhere to born-digital records, the next-generation descriptive standard, Records in Contexts (RiC), is still being developed by ICA. In addition to international efforts, we need to build an archival description system that fits our environment, especially because since the year 2000, TNA's online cataloging system has changed and ISAD(G) has been modified in this process. This study also proposed continuous monitoring of digital archival descriptions, provides an integrated approach to analog records and digital content and strengthens experimentation and cooperation toward an uncertain digital future.

초록보기
초록

일상 아카이브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관심이 소규모 민간 아카이브 설립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들 민간 아카이브의 소재를 확인하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만들 수 있다면 다양한 현재상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국내 소규모 민간 아카이브의 컬렉션 기술정보를 공유하고 통합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기술정보 공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수집형 민간 아카이브의 소장물 기술 현황을 파악하고, 해외 아카이브 네트워크와 게이트웨이에서의 기술요소 공유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국내 민간․공동체 아카이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필요한 기술요소 공유 체계 마련에 바탕을 제공할 목적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Abstract

Growing interest in everyday-life archives and community archives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small-scale archives in the private sector. Interoperability of descriptive information is necessary to be able to have a link between these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escriptive information can be interoperable in private archives, which participate in the archives network, and to suggest a direction in organizing the private and community archives network. For this purpose, it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archival description in small-scale private archives in Korea, especially in terms of collection, and analyzed descriptive information applied to four foreign archives networks. Based on the analysis, it gives some suggestions for sharing descriptive information in Private and Community Archive Network (PCAN)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ICA EGAD의 RiC-CM 초안을 분석하고 ISAD(G)의 기술요소와 맵핑하였으며, RiC-CM 기반의 기록물군 기술정보를 시범적으로 구축해 보았다. 이는 기록물 기술표준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기존의 기술표준과 연계할 때의 고려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RiC-CM과 ISAD(G)의 맵핑 유형에는 속성 간 맵핑, 속성-개체 맵핑, 속성-관계 맵핑이 있었다. 그리고 기술요소간 맵핑 외에 RiC-CM의 개체와 속성, 관계를 통해 기록레코드를 구축할 수 있는 프레임을 프로테제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예시 데이터를 시범적으로 입력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기술 정보를 RiC-CM을 통해서도 대부분 표현할 수 있었다. 게다가 RiC-CM에서는 기록 기술 정보가 상세히 구분되어 있고, 개별 개체 간의 관계를 브라우징할 수 있는 특징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RiC-CM (Records in Context-Conceptual Model) draft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Expert Group on Archival Description (ICA EGAD) was analyzed, mapped with the descriptive elements of ISAD(G), and the archival description of the record group based on RiC-CM was piloted. This was done to identify trends in the archival descriptive standards and to derive considerations in relation to improving existing descriptive standards. The mapping types of RiC-CM and ISAD(G) include inter-attribute mapping, attribute-entity mapping, and attribute-relation mapping. In addition to the mapping between descriptive elements, a frame for the archival information that can construct a record through the objects,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RiC-CM is constructed using the protege, and the example data is inputted for trial.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express most of the existing descriptive information of ISAD(G) through RiC-CM. In addition, in RiC-CM, the recording descriptiv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 detail, and the characteristic of browsing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objects is enhanced.

10
김민지(신라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판준(신라대학교) 2014, Vol.14, No.2, pp.7-30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의 박물을 대상으로 통합검색을 위한 기술 요소의 선정과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물 관리법과 연구문헌을 검토하였고 관련 기관의 담당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여러 국제 표준(ISAD(G), DACS, RDA, CCO)과 국내 대학기록관들의 박물 관련 기술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대학기록관 박물의 통합검색을 위한 기술 요소 및 내용과 이를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d apply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integrated search of archival objects in university archives. For this purpose, the act of public archives management and the research literature were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lated institutions. Moreover, this paper made a comparison by using the archival description of ISAD(G), DACS, RDA, and CCO and referred to the descriptions that are being used at university archives. Based on these analyses, we suggested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integrated search of archival objects in university archives and presented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 for it.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