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Data analysis, 검색결과: 5
1
한상은(성균관대학교) ; 박희진(한성대학교) 2022, Vol.22, No.1, pp.201-217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2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위키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 자원에 대한 접근을 높이고 구축한 데이터를 공유,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기록 자원의 기술(description) 표준과 디지털 아카이브의 데이터 관리 및 공유와 관련된 연구들을 통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 데이터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위키데이터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고 위키데이터를 적용한 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위키데이터 기반의 기록 데이터 개방, 공유와 재사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위키데이터를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할 때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최근 데이터 개방, 공유 관련 기술의 동향을 이해하고 실제 아카이브 현장에서 위키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se Wikidata to increase access to archival resources and see ways to share and reuse constructed data. To this end, the status of digital archives locally and abroad was identified using the description standard of archival resourc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discussed in the archival science field and the research related to data management and sharing of digital archiv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ikidata were identified, and cases of digital archives applying Wikidata were investigated. The case analysis suggested implications for data sharing and reuse as well as th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Wikidata to digital arch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services using Wikidata in the actual archive field by understanding the recent trends in data open and sharing related technologies in constructing digital archives.

2
이경희(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기록연구사) ; 권선영(한남대학교) 2022, Vol.22, No.3, pp.1-19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3.001
초록보기
초록

최근 박물관 분야의 변화 속에서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흐름은 박물관이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자료의 수집과 보존에서 한발 더 나아가 활용과 재창출이라는 역할로의 영역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박물관데이터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아카이브 개념의 도입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대학박물관 체험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자료는 그 규모가 더욱 커지고 활용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까지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기록물관리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운영되는 곳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박물관 체험프로그램 기록관리 방안을 위해 국내외 대학박물관 체험프로그램의 운영현황 조사와 체험프로그램 담당자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된 기록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학박물관 체험프로그램 기록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the recent changes in the museum industry, one trend that can be observed is museums’ attempt to expand their role scope from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ly valuable materials to utilization and recre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an archive for museum data management and utilization. Data generated by the experience program at the university museum is expected to grow in size and increase the value of use, but there has been no area where records management for the experience program has been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operate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operation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museum experience program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proposed a method for handling the records of the university museum experience program to systematically collect related records and manage them efficiently.

3
하은미(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설보연(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현진(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2022, Vol.22, No.3, pp.83-102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3.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로써 지역 아카이브의 검색서비스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함께 국내 지역 아카이브에서 제공하고 있는 검색도구와 기록콘텐츠 및 컬렉션을 분석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가요소 및 항목의 검증을 위해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요소 및 고려사항을 통해 기관의 검색서비스를 객관화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실무자들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검색서비스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search services in local archives. In this study, evaluation areas and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of finding aids and archival contents in local archives. Afterwar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experts to verify the developed evaluation area and factors. Through the evaluation factors and considera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objectively identify the search service of the institu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practitioners can use it as basic data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it will help improve the search service.

4
김혜영(사단법인 한국기록전문가협회 교육연구반) ; 이경남(한신대학교) ; 김장환(국회도서관) 2022, Vol.22, No.1, pp.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관리 전문직의 경험 이면에 있는 인식과 그 의미를 해석하여 현재 처한 상황과 핵심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가단체의 교육 서비스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석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한 질적 데이터 분석 결과, 본 연구는 기록관리 현장의 요구 상황, 기록관리 전문직 핵심 역량, 교육 서비스 방향의 3개 범주와 10개 상위주제, 30개의 하위주제와 82개의 의미단위를 생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단체의 교육 서비스 방향으로, ‘업무 혁신을 위해 외부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기관 간 소통 및 공론화를 위한 학습 기회 제공’, ‘새로운 파트너십과 실질적인 학습 기회 제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기록관리 전문직이 처한 상황 속에서 실질적으로 요구 받고 있는 핵심 역량을 파악함으로써 전문가단체가 집중하여 지원해야 할 주요한 교육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through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perception and its meaning behind their experiences and, based on them, to seek the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using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three categories of field need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as well as 10 super-topics, 30 sub-topics, and 82 semantic units. Based on this,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secure external driving forces for work innovation, the provision of learning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nd public discussion among institutions, and the provision of new partnerships and practical learning opportun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aving derived the main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that professional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and suppor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5
나연휘(한성대학교) ; 박희진(한성대학교) 2022, Vol.22, No.4, pp.175-196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4.1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부여한 논문의 키워드 분석을 통해 기록보존 분야의 연구동향을 밝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록보존 분야 연구 주제의 변천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기록보존 연구 463편을 중심으로 NetMiner V.4를 통해 연결 중심성 분석과 매개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연구논문을 학술지 게재 시기에 따라 제1구간(2000년~2007년), 제2구간(2008년~2014년), 제3구간(2015년~2021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 구간에서는 ‘전자기록’과 ‘장기보존’, 제1구간에서는 ‘OAIS참조모형’, 제2구간에서는 ‘전자기록’, 제3구간에서는 ‘기록관리기준표’과 ‘장기보존’이 핵심 주제 키워드로 영향력과 확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1구간에서 ‘디지털 보존’, ‘디지털화’, ‘OAIS참조모형’ 등 기록보존을 위한 개념적 틀과 이론 중심 연구, 제2구간에서 ‘전자기록’, ‘평가’, ‘DRAMBORA’ 등 보존 활동과 관련된 절차와 실제 적용 중심 연구, 제3구간에서 ‘데이터세트’, ‘행정정보시스템’, ‘소셜미디어’ 등 기록관리 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적 구현 연구 주제로 진행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search trends in archival preservation through keyword analysis,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identify the research topics’ changes over time. The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es were conducted and visualized on 463 “archival preservation studies”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21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using NetMiner 4.0. The collected research papers were divided into three time periods according to when they were published: the first period (2000–2007), the second period (2008–2014), and the third period (2015–2021). The subject keywords for the research papers on archival preservation in Korea that have influence and expandability are as follows. Across all periods, these were “electronic records” and “long-term preservation.” In addition, if taken separately per period, the “OAIS reference model” and “electronic records” dominated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respectively, while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long-term preservation” both dominated the third period.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eory-oriented study for archival preservation, such as “digital preservation,” “digitalization,” and the “OAIS reference model,” dominated the first period. During the second period, more research focused on procedur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related to conservation activities, such as “electronic record,” “appraisal,” and “DRAMBORA.” In contras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in the third period was on technical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uch as “data set,”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and “social media.”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