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Collective Memory, 검색결과: 14
1
신동희(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 김유승(중앙대학교) 2016, Vol.16, No.1, pp.41-5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041
초록보기
초록

기록학에서 집단 기억, 사회적 기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그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기억이 가지는 포괄성이 기록이 가지는 제한된 역사기술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많은 학자들은 아키비스트가 문자화된 기록뿐만 아니라 도처에 만연해 있는 기억을 수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키비스트의 사회적 역할에는 공유되고 전승되는 기억을 통해 한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재구성해야 함이 포함된다. 기억이 가지는 사회적 특성은 주류문화 위주 기록문화의 한계성에 도전하고, 비주류문화, 비기록문화의 역사를 포함하고 전승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억의 담론에서 아키비스트는 기록관에 수집하고 보존할 역사의 내용이 문자화된 지배집단의 기록에만 한정할지, 소외받고 배제되는 사회집단을 포함할 것인지 결정하는 역사의 중요한 권력자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역사와 기록이 기억의 담론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설명되는지 살펴본다. 결론에 갈음하여, 기억의 담론에서 기록관과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논의한다.

Abstract

In archival discourse, social memory has been discussed for some time. Despite this, however, theoretical studies have not been prolific at all in the Korean archival community. Many Western scholars have argued that archivists should consider memory rather than records for archival preservation because the inclusiveness of the former will fill the gaps in the latter. Social memory that is shared and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in society would include the stories of marginalized groups of people who are often neglected in official documents. Archivists can reconstruct the diverse narratives of a variety of social groups based on social memory, and this would b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it is archivists who exercise power regarding how history will be written in the future because they determine what would be preserved in archives: mainstream culture with official records or a broader spectrum of diverse stories of people in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intends to understand how memory is discussed in archival discourse and to review how archives and history are associated with memory in theories and practices.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내 기록유산기관들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Cox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환경에 맞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로컬리티 기록화와 관련한 접근방법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히 공간과 장소를 중심축으로 하는 기록화의 범주를 도출하고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로컬리티가 담긴 기록을 생산․수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methodologies for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reformulation the Cox's documentation model focused on cooperative acquisition of documentary heritage institution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s of locality, space and place, relation of collective memory to archives, and analyzes the four approaches of documentation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the categories of documenting locality, and the directions of archive portal design for collective memory of locality.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 large part of the vast amounts of information produced in the world is born digital, and comes in a wide variety of formats: text, database, audio, film, image. During the meeting of the Organization's Executive Board in May 2001, Member States agreed on the need for rapid action to safeguard digital heritage. The interest of UNESCO in this situation comes as no surprise. UNESCO exists in part to encourage and enable the preservation and enjoyment of the cultural, scientific and information heritage of the world's peoples. The growth of digital heritage and its vulnerability could hardly go unnoticed. Our societies have witnessed the end of the paradigm of the written archive, a paradigm that had developed over hundreds of years.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new media have wisely and modestly joined this prestigious tradition. This paradigm has already been transformed, and the devices in place are unable to deal with the brutal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quantitative inflation which they cause. This goes beyond those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the management of memory: a whole new regime of information will have to be constructed, and quickly, completely transforming old memory and archiving systems. If this shift does not take place, our societies will suffer irremediable damage in their collective social memory.

4
천호준(우석대학교) ; 양월운(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 최태석(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연구원) 2018, Vol.18, No.4, pp.205-229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2월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 기록의 가치와 기록의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와 국외에서 진행된 메가 스포츠이벤트 사후관리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으로서 3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기록화 대상과 주체, 주제별, 계층별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한 후 사후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제한적인 문헌기록의 보완을 위해 구술기록을 통한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셋째, 홈페이지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후관리에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평창동계올림픽기념관 건립과 국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 전략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collect records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was held in February 2018.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value and types of records of the 2018 Winter Olympics follow-up records were identified, and the cases of mega sports event follow-up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were presented to collect record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irst,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collection methods over time. Secon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object and subject of recording. Thir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subject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study’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a Pyeongchang Winter Olympics memorial hall and to prepare a collection plan for follow-up management after holding a domestic mega sports event.

5
최혜영(제암리 3.1운동 순국기념관 연구원) ; 이승일(강릉원주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주임교수) 2019, Vol.19, No.3, pp.97-121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0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회 기록물관리 제도를 분석하여, 기록관리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회 조직 및 업무 분석을 바탕으로 국회 의정활동 기록물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국회기록보존소와 헌정기념관의 국회기록물 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국회기록물 관리제도의 구조적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이하 ‘공공기록물법’)의 특별법으로서 국회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안)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국회에 유한보존 기록물을 전담하는 중간기록물 관리기관 설치 및 헌정기념관의 수집기능을 국회기록보존소로 이관하여 의정활동 기록물의 통합 관리를 목표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의정활동 기록물이 국회기록물 관리 체제 내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lternative strategies by analyzing the current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study also defines the concept of parliamentary activity recor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arliamentary organization and its work, and checks the status of such system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the Constitutional Memorial Hall. In addition, the study derives institutional problems of the National Assembly records management structure by examining the current law.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National Assembly Records, referred to as the Special Act on the Records Management Act, as an improvement measure. Furthermore, the Act aims to establish an intermediate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transfer the collection function of the constitutional memorial to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parliamentary activities records.

6
오정희(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5, Vol.15, No.1, pp.89-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1.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하여 역대 대통령기록물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대통령이 국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 대통령기록물 수집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외 사례분석, 미국과 한국 대통령기록물 수집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국내 대통령기록물 수집과 관련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반구조화 질문지로 구성하였고, 대상기관은 기관별로 재단 및 기념 사업회, 중앙행정기관, 대학부설기관 등 15개 기관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는 총 15개 기관 17명(100%) 중에서 12개 기관 14명(82%)이며 인터뷰 결과는 질적 연구방법론의 근거이론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수집하는 방안으로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하여 수집 전략을 설계하고, 운영하며, 홍보하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of the presidential records using the documentation strategy and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for collecting presidential records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references in country governan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literature reviews, foreign case studies, and the presidential records collec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relation to the presidential records collecti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15 target organizations, such as a foundation and memorial affairs agency,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university-affili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 total of 14 records collectors of 12 organizations (82%) of all 17 records collectors of 17 organizations (100%) participated in these interviews,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accumulated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model in designing collection strategy and operating and collecting presidential records through the use of documentation strategies.

7
이주연(부산대학교) ; 김희영(부산대학교) 2011, Vol.11, No.1, pp.299-326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2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부산지역 철도역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들을 조사하여 그 현황을 밝히고, 이 기록들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에 있어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17개의 철도역을 방문하여 소장 기록을 조사한 결과, 1) 공공영역의 기록관리에서 이탈된 기록이다. 2) 주요 기록 유형은 역사(驛史)와 역세보고서, 운수운전설비카드, 사진 자료, 기타 자료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3) 폐기나 분실 등의 이유로 각 역마다 소장 기록의 규모에는 차이가 있다. 4) 각 유형별 기록들은 대체로 비슷한 서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역사(驛史)나 역세보고서 등에 담긴 서술과 이미지는 역의 모습, 역 주변의 경관, 지역민들의 생활상과 경제상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도역 소장 기록과 함께 각 기관에 흩어져 있는 공기록, 사기록의 잔존양태를 파악하여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해야 하며, 구술기록을 통해 결락을 메울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This paper surveyed records and archives which the railroad stations in Busan possesses and illustrated the status of them. Also we examined whether records and archives of railroad stations contain the memories of localities or not. We visited 17 railroad stations in Busan and we found that 1) the archives in railroad station are fugitive archives 2) the records or archive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tation's history', ‘report on station-adjacent area', ‘report of drive and transport', ‘photos’, and ‘other materials’ 3) the volume of such archives in 17 stations are different because of disposal or missing 4) Each archives in same category have same form. Especially the descriptions and images in ‘station's history', ‘report on station-adjacent area' represent much to memories of locality, but we also must examine the public records, private records related railroad station in Busan for documenting localities. To bridge the gap we suggest to collect oral records by relevant persons.

초록보기
초록

경기도사이버도서관은 경기도 지역의 문화자원 기록을 광범위하게 수집, 디지털화하여 누구나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 디지털 아카이브인 ‘경기도메모리’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4년부터 도서관의 디지털 정보서비스를 확장하면서 ‘경기도메모리’를 시작하였으며 도내 각종 문화기관들과 협력을 기반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경기도 안에서 생산하거나 경기도를 다루고 있는 기록을 보존하는 저장소이자, 연구자와 시민들과 함께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Abstract

“Gyeonggi-do Memory,” established and operated by Gyeonggi-do Cyber ​​Library, is a local digital archive aiming to broaden the access to Gyeonggi-do’s cultural resource records. Since 2014, the library has been expanding its digital information service, starting with the said archive. Through cooperation with various cultural institutions in the province, it builds the digital archive by collecting numerous records. In particular, the archive is expected to establish itself as a repository that stores records of production or dealing in Gyeonggi-do and a platform to share with researchers and citizens.

9
최태석(명지대학교) ; 임진희(명지대학교) 2016, Vol.16, No.3, pp.157-177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야구기록 활용에 기반하여 ‘한국야구명예의전당’을 운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에 의한 미국과 일본 명예의 전당 사례 분석과 한국 야구기록의 종류와 관리현황, 현업에서 종사 중인 야구 관계자들의 면담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종합 방안으로서 ‘한국야구명예의전당’에서 수집, 관리, 활용해야 할 관련 아카이브 컬렉션 구성과 야구 영웅의 기억을 보존하기 위한 구술 확보의 필요성, 야구 경기기록의 DB화와 데이터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direction for operating the “Korea Baseball of Fame” based on baseball records. To clarify problems, a literature review on the case analysis of the “Hall of Fame”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 assortment and management of Korean baseball records, and a consultation with officials who work in the baseball industry were progress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building an archive database to operate the “Korea Baseball Hall of Fame” effectively. First, archives will be collected, and then managed and utilized at the “Korea Baseball Hall of Fame.” Second, to preserve the memories of baseball heroes, an oral archive will be constructed. Third, baseball records will be assorted and stored in a database.

10
김유승(중앙대학교) ; 류반디(중앙대학교) 2015, Vol.15, No.4, pp.173-19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노근리사건 관련 기록의 평가, 선별 방법으로 삼고, Hackman와 Wornow-Blewett이 제시한 실행 모델에 근거하여 그 첫 단계인 예비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이론 연구로서 노근리사건의 개요를 연혁적으로 정리하고,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특징을 ‘협력 수집’, ‘특정 영역의 수집’, ‘결락 기록의 생산’, ‘기록화 계획’, ‘자문조직’ 등 5가지로 규정한다. 또한 전략의 발전과정과 실행 모델을 논하고, 전략에 대한 비판과 의의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을 실시하여 노근리사건 초첨 그룹을 ‘생존 피해자 및 희생자 유가족’, ‘정부’, ‘시민사회’, ‘학술연구’, ‘언론’, ‘문화예술’ 등을 구분하는 한편, 도큐멘테이션 범주를 사건기록, 진상규명활동기록, 추모기록으로 분류한다.

Abstract

The study reports a preliminary analysis for the No-Gun Ri massacre documentation strategy based on Hackman and Wornow-Blewett’s implementation model, as an appraisal and selection method for No-Gun Ri Digital Archives. It intends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process, inlcuding a history of the No-Gun Ri massacre and the development of documentation strategy. From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No Gun Ri documentation strategy processes in 5 categories: “cooperative collecting”, “collecting in specific areas”, “identifing missing areas” and “advisory group”. With these 5 categories, this study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the Hackman and Wornow-Blewett’s implementation model in the No Gun Ri case and reviews the strategy’s pros and cons. As a result, firstly, we classfy focusing groups into “victims and bereaved family”, “government”, “civil society”, “the press” and “literature and art”. Secondly, we also classify documentation categories into “massacre records”, “investigation activity records” and “cherish memory”.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