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Archival service, 검색결과: 1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록원의 이용자가 실제 이용하는 기록물 유형과 이용목적을 파악하고, 이용에 기반한 기록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가기록원의 기록 이용 및 제공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 연구에서는 탐색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현황과 쟁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통계자료를 통해 국가기록원 이용자의 기록열람 실태를 확인한 후 인터뷰를 통해 기록유형별 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인력(서비스 제공자의 역량), 도구(검색도구), 기록(적절성과 충분성)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록제공서비스의 성공요인과 위험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가기록원 기록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권리보호의 무기고’이자 ‘학술정보원’이라는 아카이브 역할을 고려하여 각기 다른 서비스 전략을 수립할 것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use-based policies for archival reference service by investigating the actual archival uses and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Considering tha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overall archival reference service by NAK, an exploratory research method is ado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ervice. In this study, the use of archival records in NAK is investigated from statistical data, and service cases by record type a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archival service professionals of NAK. Then, the success and risk factors of the archival reference service are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of human resources (reference archivists’ competency), tools (finding aids), and records (appropriateness and sufficiency). Based on these analyses, archival reference service policy directions a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two different archival roles as “arsenal of rights protection” and “academic information provider.”

22
김소연(동의대학교) ; 이은주(동의대학교) 2022, Vol.22, No.4, pp.87-107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4.0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정보서비스의 의미와 범주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성과를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서비스의 정의, 유형, 대상을 검토하여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183편의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내용분석은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양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전반적인 연구추이 분석과 더불어 노드엑셀을 활용하여 확대된 내용분석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가 2006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점차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 패러다임이 적용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논의의 대상과 연구방법, 게재 학회지 등이 편중되어 있는 한계 또한 확인하였고, 향후 논의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categor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analyze its research results. To this end, the research scope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as set by reviewing the definition, types, and subjects. A total of 183 journal articles were gathered,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stages. In addition to the overall research trend analysis bas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an expanded content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attempted using Node Excel.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began in earnest after 2006 and that the user-centered paradigm is gradually being applied. However, limitations confirmed that the subject of discussion, research methods, and journals were biased,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future discussion was suggested.

23
정회명(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학과 박사과정, 국토연구원 행정원) ; 김순희(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23, No.2, pp.1-26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미권 국립보존기록관 인스타그램의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기록물관리기관에서의 기록정보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 인스타그램의 개설일, 콘텐츠 수, 팔로워 및 팔로잉 수 등 기본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팔로워와 해시태그, 이용자 호응도가 높은 콘텐츠의 내용과 상호작용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모바일 기반 SNS라는 인스타그램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와 숏폼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고, 주 이용자층의 관심을 끌고 다른 이용자와 공유하며 관계를 형성할 만한 정보적 소통 목적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웹사이트, 유튜브, 블로그 등 기관이 보유한 기존 온라인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해시태그의 활용, 유관기관 계정에 대한 팔로잉, 팔로워와 콘텐츠 댓글에 대한 피드백 등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기관 인스타그램 계정의 노출 및 검색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연구하고 적용 사항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기록 문화 확산을 위한 기록정보콘텐츠의 기획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of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in Korea by analyzing cases of the archival content on Instagram of the national archives in the Anglospher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earch target’s Instagram account, including the creation date, content, and the number of followers, was investigated, and the posts’ contents and interaction types with high user respon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o spread the records information service using Instagram, producing images and short-form content that can be intuitively checked through mobile screens and creating content that will attract the attention of primary users are requir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 for informative communications that can be shared with other users. There is also a need to enhance the exposure and searchability of the institution’s Instagram account by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the institution’s existing online resources and enabling communications, such as using hashtags, following related institutional accounts, and providing feedback on the contents’ comments with follo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cases of archival content for Instagram and suggested their applications,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plan archival contents to spread the archival culture.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aims for the above mentioned. After all, through the analysis of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to understand a user’s demand under online circumstances, groping for the method to provide an appropriat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is, in this study, it researched the users interviews and the research related to users as a precedence study, and the studies having examined the state of demanding information by users through analyzing the e-mail actually. Additionally, by looking over the stud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at is activated in a field of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rather than Archival Science, as a matter of fact, the study has come up with the standard for analyzing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And based on the precedence study, the instances for the National Archives from USA, England, Australia and Canada were analyzed, and the chance of activat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ere tried to grope for in the study. This study might be one of methodologies in examining the users study that is not activated yet in Archival Science. Therefore, the users study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ethods as well as Electronic Archives/Answering Service. This study might be the important information in providing far bette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t is desirable that based on this opportunity, the study related to the various users by examining not only Electronic Archives/Answering Function but also Question/Answering of the users and the Archivists in the filed to the larger extend will be activated for Archival Science.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관은 국가적 보존가치가 높은 중요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곳이며, 교육과 연구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통해 기록물에 대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한다면 현재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잠재적 이용자를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관 웹사이트 평가에 적합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 지표를 이용하여 국내외 국가기록관 웹사이트를 평가해봄으로써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의 개선안을 영역별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national archives websit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schemes for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s website. As the first step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national archives and features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it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national archives websites to evaluate the website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composed of 3 evaluation areas, 10 evaluation items, and 42 evaluation questions. Third, evalu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i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ustralia, Canada and Korea.

26
신예진(대구경북지방병무청) ; 최재황(경북대학교) 2015, Vol.15, No.3, pp.193-217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1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고안한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활용 수업 결과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험법을 통해 검사하고,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국내외 사례를 역사적 사고력의 증진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얻은 시사점을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인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사후검사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생들은 사후검사에서 보다 고른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historical thinking contents through the experimentation methodology.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ill review foreign and domestic historical thinking cases of archival contents for history education; derive some implications from the review; and apply the implications to classes targeted for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It can be said that classes utilizing historical thinking contents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subcategories of historical thinking, that is,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historical inquiry ability, historical imagination, and historical judgment ability. The average between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results show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obtain better scores after examination than before.

27
오유진(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육혜인(전북대학교) ; 김수정(전북대학교) 2015, Vol.15, No.2, pp.7-30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007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원은 민간영역의 중요 기록물을 보호하고 기록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매년 ‘기록사랑마을’을 지정하여 지원․운영해오고 있다. 기록사랑마을은 국가 재정지원을 받는 사업인 만큼 예산사용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사업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하여 본래의 사업 목적을 기준으로 현재 현황을 점검하고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사랑마을 중 I군을 방문하여 접근성, 전시내용 및 방법, 시설 및 장비 등을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3명의 지역 관계자, 8명의 마을주민, 1명의 국가기록원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록사랑마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장차 기록사랑마을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사랑마을의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보다 많은 마을에서 그 지역의 민간기록물을 수집․관리 및 활용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In 2008,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itiated the Archive Village project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valuable private records and enhancing the awareness of archival culture. To justify the expense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 and determine its future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ject. To do that, the researchers visited an Archive Village in I county and examined its accessibility, exhibition contents, facilities, equipment, etc.,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ject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well as eight residents and three persons who were involved in building and managing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elp other villages plan acquisi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how to make important private records in local areas available.

28
하은미(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설보연(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현진(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2022, Vol.22, No.3, pp.83-102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3.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로써 지역 아카이브의 검색서비스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함께 국내 지역 아카이브에서 제공하고 있는 검색도구와 기록콘텐츠 및 컬렉션을 분석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가요소 및 항목의 검증을 위해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요소 및 고려사항을 통해 기관의 검색서비스를 객관화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실무자들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검색서비스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search services in local archives. In this study, evaluation areas and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of finding aids and archival contents in local archives. Afterwar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experts to verify the developed evaluation area and factors. Through the evaluation factors and considera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objectively identify the search service of the institu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practitioners can use it as basic data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it will help improve the search servi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웹을 통한 설문과 면담을 통해 기록관에서 제공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해보았다. 기록관에서는 아직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지 못하나 그래도 내부 이용자들에 SNS 등을 통한 기록의 제공도 많이 이뤄지고 전시 등도 이뤄지는 등 서비스들이 일부에선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요구되는 기록들의 종류는 증빙과 업무 참고자료들이 많았고, 제공되는 검색도구도 검색기능 등에 한계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용자 서비스를 제대로 시행하는 데에는 기록전문가가 기관에서 혼자 모든 기록관리업무를 시행함에 따라 인력 부족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할 여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장벽이었으며, 기록의 정리가 잘 안되어 있는 상황, 시스템의 미비에 의한 한계 등이 제시되었다.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시스템 개선과 인력의 보충이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and archives centers using the Web to survey and by interviewing archivists and professionals. Services offered are not various, but some actives services including offering records via SNS and provising exibitions using records are offered. Many of the requested records are for evidence and reference for works, and the finding aids are limited in their functions. Also, the barriers in offering services were mostly due to the fact that the duties of managing records are mostly performed by one profession, and they have not enough time to provide services with the lack of manpower. Also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level is not enough and the records systems have limitations including lack of search functions. For better services, improvement of the systems and the supplement of manpower is considered to be most urgent.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