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통합관리체계, 검색결과: 3
1
봉지현(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남영준(중앙대학교) 2019, Vol.19, No.1, pp.225-250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1.225
초록보기
초록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구술기록은 중요한 증거로써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의 피해상황이나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와 여러 기관의 구술자료에 대한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구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는 총 16개의 상위요소와 각각 그에 따른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상위요소들은 6개의 ‘필수요소’와 10개의 ‘선택요소’로 구성하였다. 필수요소는 기록물의 제목(Title), 면담날짜(Date), 기록물의 형태(Format), 구술기록을 생산한 구술자(Creator), 구술기록의 면담내용(Content), 기록물의 권한(Rights) 요소이다.

Abstract

The oral record related to the sexual slavery by Japan’s military is considered important evidence as it can grasp the damage situation and actual condition at that time. Therefore, systematic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s oral records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d metadata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oral records. The metadata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16 upper elements and subelements, respectively. The suggested upper elements consist of 6 “essential elements” and 10 “optional elements.” The essential elements are “title,” “date,” “format,” “creator,” “content,” and “rights.”

2
남영준(중앙대학교) ; 서만덕(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2009, Vol.9, No.1, pp.175-196 https://doi.org/10.14404/JKSARM.2009.9.1.175
초록보기
초록

정부 및 공공기관은 현재 사회, 문화, 복지, 교육 등 국가 전 영역에 걸쳐 과학적인 정책결정을 도출하는 수단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생산되는 정부 여론조사자료는 정부부처별로 산재하여 관리되고 있으나 수집 및 관리체계 부재로 인하여 일부자료가 누락되거나 소실되고 있다. 왜냐하면, 정부 여론조사자료가 대부분 인쇄자료 형태로 분산관리되기 때문에 통계적 활용이 불가능하며 자료접근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여론조사자료의 장기적인 보존․활용을 위해 여론조사자료의 관리․보존현황에 대한 국내외 사례 분석, 문헌연구, 관련 표준분석을 실시하여 수집정책, 평가기준, 통합메타데이터, 자료변환절차, 보존포맷으로 구분하여 아카이브 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re conducting public-opinion surveys as means of drawing the scientific policy decisions throughout the country's whole sectors ; society, culture, welfare, education, etc. The Government Survey Data have been under management by each governmental department, but the improper ways of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have led to omissions and losses of some data. Also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tatistic usage and access to the data due to the fact that the data are managed dispersedly in the form of printed materials. Accordingly, to make the survey data available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and usage, this study suggests collection policy, standard of evaluation, metadata, the procedure and method of converting materials, preservation format.

3
이범형(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전공) ; 남영준(중앙대학교) 2019, Vol.19, No.3, pp.71-96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071
초록보기
초록

북한인권기록은 가해자 처벌 및 피해자 보상의 목적으로 수집되며, 다양한 기관에서 생성되는 만큼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인권기록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국내외 3개 기관과 2개의 인권기록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인권기록 관리를 위한 공통요소와 필요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UN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였다. 메타데이터는 총 15개의 상위요소와 그에 따른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상위요소는 각각 13개의 필수요소와 2개의 해당요소로 구성하였다.

Abstract

Various organizations generate and collect human rights records in North Korea for the purpose of punishing perpetrators and compensating victims; hence, a systematic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n such records is needed. As such, the study aims to propose metadata for the human rights records in the country. Furthermore, the study derived common and necessary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human rights records and referred deficiencies to the United Nations’ (UN) guidelines by analyzing three loc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wo human rights record software. Overall, the metadata consists of 15 upper elements in total with their corresponding subelements. Each of the proposed upper elements consists of 13 essential and 2 optional element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