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직무환경, 검색결과: 5
초록보기
초록

기록연구사들이 기록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무가 조직화되고, 직무환경에서는 동기가 부여되며 근무여건은 실제의 업무와 관련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을 조사하여 지방기록연구사의 업무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록연구사들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초자치단체의 개념,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배치 현황 및 업무,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관의 현황과 업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록연구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요인, 직무환경요인, 근무여건 등의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관장 및 상사와 동료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에 대한 기관 차원의 지원, 기록관리업무를 담당할 인력충원 혹은 기록연구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분담의 필요성,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업무환경에 맞는 행정적 지원 등이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of records managers who are in archives of autonomous districts,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management of duties for local records managers, and deduce the improvement methods that could help records managers more efficiently perform their du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basic autonomous districts, the allocated summary and duties of records managers through with basic autonomous districts, 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duties of the archives through autonomous Gu offices that were in study. Based on the theorie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factors, the study drew up a survey that encompasses the present demographic summary, job characteristics, job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2
서혜란(신라대학교) ; 옥원호(경남대학교) 2008, Vol.8, No.1, pp.235-256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235
초록보기
초록

정부기관에 근무하는 기록연구사들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 제도운영의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특성은 Hackman과 Oldham의 직무특성요인을 포함하여 전문성, 역할갈등, 스트레스, 이직의사의 9가지 항목으로 조사하였다. 직무환경은 의사소통, 참여, 인간관계, 상급자, 교육훈련의 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직무만족은 일반적 만족도, 보람, 소명감의 3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는데 모든 항목에서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제도운영의 개선을 위한 과제로는 조직편제, 업무분장, 인사관리,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 기록관의 협력을 중심으로 의견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resent study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identify a solution to the issues concerning the work conditions, job satisfaction, and operational systems of archivists working in the Korean government agencies. Job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the five-factor structures of Hackman and Oldham's(1976) Job Characteristic Models,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Job environment was measured in terms of communication, participation, social relations with coworkers and superiors, and job training.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job meaningfulness, and commitment. Operational systems was analyz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arrangement, role assignment, personnel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centers. These analyses produced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n personnel management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3
박소리(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이성민(전북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 김용(전북대학교) ; 김종혁(전북대학교) 2016, Vol.16, No.4, pp.31-53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4.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국가기록원에서 실시하는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실제 전문요원의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현직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와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기록 관리에 관한 지식이나 기술의 충족과 더불어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국가기록원의 교육프로그램은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을 향상시키면서 기록물관리전문요원에게 요구되는 전문 분야에 대해 보다 확장된 전문성을 획득할 수 있고,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incumbent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raining program execut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ctual record manag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training program that could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requirements of record managers and archivists, while fulfilling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demand for records management. The training program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proposed b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can acquire more professional skills that their field require them while feeling satisfied with their duty and becoming more immersed with their organization. In addition, they can also actively enhance their ability to cope with the variable environment.

4
이주현(경북대학교 기록학과) ; 이성신(경북대학교) 2018, Vol.18, No.3, pp.97-123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0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사립대학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직무를 분석하여 직무의 중요도와 실제 업무 수행의 성취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자격을 갖춘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법령과 지침 등을 통해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도출한 후 실제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검증을 거쳐 세부 업무를 확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사립대학 기록물관리업무 담당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업무의 중요도와 실제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전문요원이 아닌 경우 모두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도에 대한 이해는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실제 성취에 있어서 기관의 인식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job importance awareness and actual job achievement of archivists of private universities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certified and noncertified archivists about the above two factors. To achieve the purpose, the detailed job activities were drawn through a review of laws, regulations, and policies. The detailed list of job activities was confirmed by a few current archivists, Using the confirmed list of detailed job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archivists of private universities. The collected data in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IPA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two groups of archivists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jobs; however,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 actual achievement of the jobs.

5
이을지(경기도립포천도서관) ; 이호신(한성대학교) 2016, Vol.16, No.3, pp.131-156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1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의 직무를 분석하여, 그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 환경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조사와 운영규정 분석을 통해서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를 5개 업무영역 24개 업무요소로 도출하였으며, 업무영역별, 업무요소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수행 빈도, 중요도와 난이도를 교차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업무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tasks of record managers in offices of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details of their work; analyz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tasks; and investigat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roblems of record management in offices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related conditions, this study drew out 5 task domains and 24 detailed record management tasks in offices of education. To investigate the level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 drawn-out task domains and task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record managers working in offices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survey results using the IPA technique by crossing the level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performance frequenc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improve the tasks of record managers in offices of education, and strengthen their task competency, a plan for improvement was suggested.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