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중요도-수행도 분석, 검색결과: 15
11
이지은(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 전공 박사 과정)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24, No.1, pp.1-29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미술 아카이브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에 필요한 전문인력 구축에 관한 실무자 및 연구자 인식과 의견을 기반으로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술 아카이브 및 정책 관련 실무자와 기록관리 연구자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질적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7개 개념과 27개 하위범주, 13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미술 아카이브 전문인력에 대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으며 영역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 아카이브 전제조건인 전문인력의 중요성을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고 미술관 내 미술 전문 아키비스트가 전문인력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기초 연구로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cultivat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art archives, drawing insights from the perceptions and opinions of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art archives. To achieve this objective,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records management researchers related to art archives and policies were conducte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as used in the analysis of interviews. The outcome yielded 57 concepts, 27 subtopics, and 13 super-topics. Through this, the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persistently emerging challenges related to art archive professionals, and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experts in each field, this research presents effective ways to revitaliz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Ultimately, this study offers valuable implications that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professionals, who are prerequisites in art archives, within society and provide a platform for art archivists in museums to establish themselves as art archive professionals.

12
여진원(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문위원) ; 윤지수(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문위원) 2021, Vol.21, No.2, pp.69-92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2.069
초록보기
초록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복합문화예술기관으로 아시아문화의 조사연구, 자원 수집, 자료보존과 열람, 전시⋅공연 등의 콘텐츠 창제작과 유통, 국제 교류, 문화예술 교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 중에서도 특히 조사연구와 아카이브는 아시아문화를 연구⋅수집하고, 이를 아카이빙 하여 그 자료를 연구자, 창제작자, 일반인들에게 제공하는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연구 및 아카이브 업무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각 업무 간 연관성의 중요도 및 필요성에 따라 전당에서 추구해야 할 연구 자료의 가치와 아카이브는 무엇인지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나아가 전당 발전전략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도출된 과제로 ‘정체성 및 방향성 확립’, ‘연구 및 수집 대상의 주제와 범위 설정’, ‘선순환 체계를 위한 개선방안 필요’, ‘네트워크 구축 확대’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① 조사연구 및 수집 대상의 정체성 및 방향성 확립, ② 주제 및 범위 설정과 표준 체계 마련, ③ 선순환 구조 체계를 위한 활용성 제고 및 활성화 방안 마련 ④ 연구 및 아카이브 네트워크 확장을 향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sia Culture Center (ACC) is a complex culture and art institution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the special law regarding establishing a cultural hub city of Asia. The ACC plays the central role in studying, collecting, and archiving Asian cultures to provide relevant materials and data to researchers, creators, producers, and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aforementioned survey, research, and archive works and establish paths to improvement through the integrated determination of the values and archives of the research materials that the ACC should pursue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levance between each task. Furthermore, the center aims to utilize the study’s findings as to the foundation for its advancement strategy. Tasks deduced for these purposes included “establishing an identity and directionality,” “establishing a topic and scope of the subjects of research and collection,” “needing the mean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cycle system,” and “expanding network establishment.” Based on these tasks to be pursued, ① establishing the identity and directionality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research, and collection, ② setting the topics, and establishing a standards system, ③ establishing the means of enhancing and activating the utilization for the virtuous cycle-structure system, and ④ expanding the research and archives network that were presented are the means for future improvements.

13
나영선(한국외국어대학교) 2008, Vol.8, No.2, pp.89-104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2.089
초록보기
초록

캐나다 거시평가제도의 궁극적인 목표는 당대의 사회상을 기록을 통해 형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기록물이 생산되는 그 시대의 사회구조 속에서 기록물이 갖게 되는 의미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렇게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받는 조직체는 ‘정부’라는 유기체로 파악하고, 이를 문서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능분석을 강조한다. 따라서 거시평가 제도는 기능분석을 통해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서인 OPI를 식별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국가와 시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거버넌스 연구를 진행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로소 거시평가 가설이 형성되고, 기록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는 단계가 거시평가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대 평가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거시평가 방법론에 주목하여, 캐나다에서 실제로 실행되고 있는 거시평가의 제도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캐나다 국립기록청에서 발행한 정부기록처분프로그램 관련 문건과 논문을 분석함으로서, 실제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평가 제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밝히고, 캐나다의 평가제도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는 부분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final goal of the macro appraisal model of Canada is that the figure of society of the day is made by the record. The goal is that we evaluate the meaning documentary have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day to produce records. The organization to be affected much the society is recognized as the organism, ‘Government’ and the function analysis of the government is emphasized in order to be the documenta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in the macro appraisal model that OPI, the department to carry out the very important function is identified. Also the research of governance about interaction of country and citizen is studied. Based on these studies, the macro appraisal theory is made and it can be macro appraisal methodology that these theory is verified through records. the government of Canada have operated macro appraisal model reflected the figure of the society since 1990's, on adapting the change of the record production of modern. This model of Canada is systemized concretely and the government of Australia introduced the model benchmarking the Canada's. The England and the Holland is bringing up the result of the project introduced the macro appraisal method. Therefore the macro appraisal is the method and the theory noticed globally in the field of appraisal of modern. Throughout the analysis of the macro appraisal system of Canada, how to select the record reflected the figure of the society is proposed, and concrete practice is also present, and concrete practice is also present. Also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appraisal system in Korea is considered.

14
박윤미(한국기계연구원)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2021, Vol.21, No.4, pp.137-162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4.1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계공학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생산과 관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고 해당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기계공학 분야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연구데이터, 책임있는 연구수행과 연구윤리 준수, 연구데이터 관리의 효용성 및 효과성, 연구데이터 공유의 가치’ 등 4개의 주요범주로 연구데이터 생산과 관리에 대한 인식과 행태를 분석하였다. 기계공학분야 연구데이터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서는, 생산과정과 유형, 형태에 대한 데이터 조사를 실시하여 명시적 메타데이터와 암시적 맥락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며 데이터학술지에 데이터 논문을 출판함으로써 연구실적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안전한 데이터 관리와 연구자들간의 소통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등의 인프라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 현장의 다양한 관계자들이 조직적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와 서비스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배분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on research data creation and management,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ervices in the field.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ervice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nstitutes were investiga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searchers belonging to domestic mechan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conduction of research data creation and management according to four major categories: “research data, accountable conducting of research and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utility and effectivenes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the value of sharing research data.” To ensure effective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ervices in mechanical engineer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data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type, and form of production to collect explicit metadata and implicit contextual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ropose a plan to recognize research results using the publication of data journals and to prepare infrastructure such as a cloud-based system that supports safe data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various officials in the research field to allocate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ervic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15
서채영(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석사) ; 이해영(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교수) 2024, Vol.24, No.1, pp.205-230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20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통합된 기관에서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요구가 커짐에 따라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과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갖춘 ‘라키비움’이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통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웹 정보서비스가 라키비움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라키비움 웹사이트에서 어떤 정보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지 자세히 분석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일반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와는 차별화된 라키비움의 특성을 반영한 웹 정보서비스 평가지표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접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3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를 통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라키비움의 웹사이트에서 기본적인 업무 소개 및 인터페이스의 내비게이션 등은 잘 제공되고 있으나, 정보 검색 영역의 검색 결과 활용 등이 미흡하였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점을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운영되면 효과적일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새로 설립될 라키비움의 웹 서비스 구성 및 제공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앞으로 이 연구 평가지표가 적용되고, 보완되어 잘 활용되길 바란다.

Abstract

Recently, as user demand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one integrated institution has increased, “Larchiveum,” which integrates the functions and service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has been established. Thus, web information services are provided in an integrated manner through the Larchiveum websit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services on the Larchiveum website in detail. To this end, the researchers developed a web information service evaluation index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archiveum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information services offered by websites of general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the researchers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s, and an evaluation of the three institutions’ websites was conducted. The assessment showed that the currently operating Larchiveum website provides ample basic business introduction and interface navigation, but the use of search results in the information search area was insufficient. Complementary points were presented in these areas, and measures that would be effective if additionally operated were also suggested. This research sought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in configuring and providing web services for the newly established Larchiveum in hopes that the evaluation indicators us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supplemented, and utilized well in the future.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