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정리, 검색결과: 75
31
이재영(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8, Vol.18, No.3, pp.25-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0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91년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구술사를 둘러싼 연구 지형을 파악하고 향후 구술사 연구의 방향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구술사로 키워드 검색을 시행하여 1991년부터 2018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논문 총 439건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시기별로 연구 논문 생산량과 주요 학술지, 연구자 및 연구 재원, 연구 분야 및 연구 내용, 국제 협력으로 구분하여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from 1991 to the pres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future direction of oral history research. For these purposes, 439 research articles of domestic oral history researchers from 1991 to 2018 were retrieved by keyword search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ystem (RISS) in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oral history were analyzed by the volume of periodical research papers, major journals, authors and research funds, research fields and research content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and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was provid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을 아카이브 구축시 고려해야 하는 수집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부산 산복도로의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수립한 수집전략을 소개하였다. 먼저 마을 아카이브의 역할을 정의하고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비전 및 목표를 정리하였다. 비전에 따라 산복도로 아카이브에서 지역과 주민들의 삶을 아카이빙하기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과정과 수집방안을 소개하였다. 산복도로 아카이브는 특정한 주제, 사건, 장소 등에 대한 구체적인 수집을 위해 수집연표를 통한 자료수집, 장소정보 수집, 개인이야기 수집의 전략수립 방안과 아카이브 개관 후 운영프로그램을 통한 수집활동인 일반수집으로 구분하여 수집방안을 수립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local archives suggested th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creating your strategy to the corridors of the local archives to Busan Sanbokdoro to build a acquisition of strategies to establish. First, the role of the local archives and organize the vision and goals of the Sanbokdoro archives. The residents of the region from the Sanbokdoro archives depending on the vision of the life orientation commands queue for archiving documentation strategies and acquisition plans were introduced. Sanbokdoro archives for specific topics, events, places, and so on, gather for a specific acquisition strategy and operating program through acquisition activities after the opening of the archives is to establish measures to acquisition the General acquisition.

33
이해영(명지대학교) ; 최영실(명지대학교) ; 이현정(동명대학교) ; 이미영(명지대학교) ; 이은영(명지대학교) ; 이혁준(명지대학교) ; 박미자(명지대학교) 2008, Vol.8, No.1, pp.189-210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189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에서는 대학기록관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통제하여 검색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소러스 구축을 위한 지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중요한 이슈 및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대학 기록관 기록물 정리과정에서 도출된 용어들은 고유명사가 많아 시소러스는 전거파일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개발되어야 했다. 대학의 공식문서에 자주 나타나는 용어를 우선어로 제시하였다. 또한 포함될 인명의 범위는 주요 보직자 및 주제가 된 개인들로 하되, 작성자 및 기증자들의 필드 통합 검색이 가능하면 지나친 범주의 포함은 불필요했다.

Abstract

Some issues and solutions considered for the various situations that we fac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guidelines of thesaurus construction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re were many proper names and proper nouns among the terms considered in the process. The thesaurus needed to include a function of an authority file. Preferred terms were selected based on what the university's official records would use. The scope of the proper names for inclusion was the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in the university and the people who were the subject of the materials. However, when the system allows synthesized retrieval of the field of creator and donor, inclusion of too many names were considered unnecessary.

초록보기
초록

최근 메타데이터 표준의 국제적 흐름은 기록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정보를 개체로 설정하고 이들 각 개체 간의 다양한 관계를 보여주는 다중 개체 모형의 적용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의 표준인 ISO 23081-2, 호주, 뉴질랜드,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주, 퀸즈랜드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표준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은 1) 적용범위, 2) 개체수, 3) 개체 내 카테고리, 4) 요소 설계 방법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다중 개체에 있어서 가장 핵심인 관계(relationship) 개체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앞선 분석을 통해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하여 표준을 제정 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정리해 본다.

Abstract

The multiple entity data model which contains metadata that associate two or more entities is applied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in recent years. This paper described and analyzed the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applying multiple entities such as ISO 23081, Australia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New Zealand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New South Wales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Queensland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South Australia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focusing on scope, the number of entities, category in entity, metadata elements. And shows some examples of relationship entity which is the key of multiple ent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some consideration when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applying multiple entities is revised.

35
김송이(부산시립미술관 기록연구사) ; 설문원(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24, No.1, pp.231-256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2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동시대 미술작가들을 대상으로 개인기록의 생산 및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등 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에 필요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동시대 미술에서 작품활동 기록화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지원 동향을 문헌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둘째,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활용하는 동시대 미술작가 6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작품활동 과정별로 기록 생산 현황을 조사하였고, 기록유형별로 관리실태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작가, 미술관, 아키비스트 등이 작품 기록화를 위하여 협력, 지원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지원 영역은 교육프로그램의 제공, 미술관의 작품활동 기록화, 기록화를 위한 도구 개발 및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s' personal records and propose support measures necessary for documenting their work activities,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importance of documenting contemporary artists' work activities and the support program documentation are analyzed. Second, through interviews with six contemporary artists using various formats and media, records production by artistic process and management by documentation type are investigated. Thir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alysis, the cooperation and support plan to be cooperated by art museums, archivists, and other record professionals for the artwork documentation is recommended. Areas of support are divided into educational program provision, museum artistic activity documentation, and documentation tools development and support.

초록보기
초록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배치가 이루어지면서 기록물관리는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법률에 따른 기록물관리를 이루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록물관리는 기록물의 생산 · 분류 · 정리 · 이관 · 수집 · 평가 · 폐기 · 보존 · 공개 · 활용 및 이에 부수되는 제반업무를 말한다. 이중에서도 기록물 이관은 해당 기록물이 처리과에서 기록관으로 관리주체가 변경되는 최초 단계를 수행하는 중요한 업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16개 기초자치단체의 이관현황을 살펴보고, 기관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들의 인터뷰를 통해 이관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비전자기록물 이관업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s records managers are assigned in accordance with act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the record management has settled down a bit, and also much effort is put to perform the record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law. The record management includes all the works like production, classification, organization, transfer, collection, evaluation, disuse, preservation, opening to the public and application. Among them, the record transfer is an important work that performs the initial stage in which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is changed from administration department to record center.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non-electronic record transfer after examining the current transfer state of 16 local governments in Busan region and also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ransfer through interviews with institutional records managers.

37
정숙영(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순희(충남대학교) 2021, Vol.21, No.1, pp.231-247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231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의 기록관리 환경은 전자기록관리 시대를 맞이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기록전문직은 끊임없이 변화⋅발전하는 기록관리 환경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야 한다. 이에 따른 계속교육은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기록전문직의 전문성을 제고시킴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기록전문직이 계속교육을 통하여 습득한 최신지식과 경험은 또 다른 기록관리 이론과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 냄으로써 기록관리 문화에 선순환적 구조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변화하는 기록관리 환경에 따른 계속교육의 필요성을 정리하고, 기록전문직 계속교육 프로그램 및 개선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후 사례분석을 통하여 미국과 영국의 기록 보존소 및 기록관리 협회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국내 기록전문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In the era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oday’s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is rapidly evolv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continuing education that allows archivists to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in the dynamic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nalyzed an archivist’s work characteristics and proved the necessity of continuing education in a changing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Furthermore, the United States’ continuing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United Kingdom’s Archives and Records Association (ARA)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s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iculum of continuing education locally and abroad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continuing education suitable for local records professionals.

38
권희경(대구가톨릭대학교) 2006, Vol.6, No.1, pp.5-42 https://doi.org/10.14404/JKSARM.2006.6.1.005
초록보기
초록

고려 개인발원사경에 나타난 발원문은 고려불교사 정리를 위해서 중요한 연구 자료이지만 사학, 서지학 미술사학을 위해서도 중요한 자료라 아니 할 수 없다. 특히 개인발원 사경에서는 발원자들이 자신들의 관직을 밝히고 있어,「고려사」백관지에 나타난 관제와 비교함으로서 고려관제사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발원문에 나타난 내용에는 사경의 성격이 나타나고 있어, 불교사상사 쪽에서도 주목할 만한 자료이다. 또한 발원문을 통해 시재자와 발원문을 쓴 사경의 발원주체인 고승대덕들의 원을 구명 할 수 있어, 고려사회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Abstract

The personal praying sentence in personal praying scripts of Koryo Dynasty should be very important source for study of Koryo buddhism's history as well as historics, bibliographics and art historics. Especially it would be good source for study of official position in Koryo Dynasty because in the personal praying scripts the prayers expressed their own official position when compared to the official positions presented in Bekguanji(all officer's magazine) in Koryosa(history of Koryo Dynasty). As the characteristic of script is presented in the contents of personal praying sentence, it would be remarkable source for study on the history of buddhism's thought. Through the personal praying sentence it is possible to make clear the hopes of donor and high monks who were the key members for writing praying script. Also study on the personal praying sentences in Koryo scripts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rofile of society of Koryo Dynasty.

초록보기
초록

연구기록의 생산 및 관리는 연구 품질 확보를 위한 필수전제조건이다. 연구품질보증 시스템은 연구노트를 포함한 연구기록의 품질 요건 강화를 기반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분야가 성장하고 전자연구노트 도입이 추진됨에 따라 연구의 품질보증을 위한 연구기록의 관리 방안 수립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구개발기관들이 연구품질을 확보하는 기반으로서 연구기록을 생산, 관리하는 과정에서의 현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기록의 품질 특성을 정리하고 국내 연구기관의 연구기록 관리현황 및 현안을 살펴본 다음 GLP(Good Laboratory Practice)를 벤치마킹하여 연구기록의 관리 요건 강화를 위한 과제를 제언하고 있다.

Abstract

The research and laboratory records management is the prerequisite for quality research. Quality research assurance system can work out on the sound basis of quality research records management. It is an important task that establishing a proper research and laboratory records system for obtaining quality of research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 in Korea and the trend of electronic laboratory note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ssues and find a direction for solution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laboratory records management systems. For this after analysing previous studies and current status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s management and GLP(Good Laboratory Practice) is benchmarked as a best practice for quality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research records management are given as a resul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록관리학, 문헌정보학, 역사학 학술논문의 서지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기록분야 연구주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173편의 학술논문을 수집한 뒤, 저자키워드 데이터로부터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고 초록 데이터로부터 토픽모델링을 진행하고 분석 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다. 저자키워드로부터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요 법령과 정책의 변화에 따라 연구주제 네트워크가 적극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초록으로부터의 토픽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전체 학술논문의 주제는 ‘레코드매니지먼트’, ‘아카이빙’, ‘국가기록정책’으로 구분된다. 2002~2009년 동안은 ‘레코드매니지먼트’와 ’국가기록정책‘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으나 2009년부터 균형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며 2019년에 정점을 이루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opics within the domain of archival studies by examin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academic papers in archival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history. After collecting 1,173 academic papers,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author keyword data,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from abstract data,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organized over time.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based on author keyword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topic network actively changed according to variations in major laws and policies. Moreover, topic modeling from the abstract showed that the subjects of the entire academic paper were divided into “Records Management,” “Archiving,” and “National Records Policy.” Notably, from 2002 to 2009, “Records Management” and “National Records Policy” were relatively dominant, but it has achieved balanced quantitative growth since 2009, peaking in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