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전자기록관리, 검색결과: 9
1
이상헌(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아카이브) ; 변선영(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육군 기록정보관리단) ; 유현정(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박춘원(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위즈메타 CEO) 2018, Vol.18, No.2, pp.215-242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215
초록보기
초록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은 전통적인 기록관리 이론인 생애주기이론의, 시간적 흐름을 기반으로 하는, 현용-준현용-비현용의 분절된 기록관리를 비판하며 호주에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는 전자기록을 관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여, 기록을 고정된 물리적 객체로만 인식하지 않고, 논리적, 개념적 개체로 인식하며, 기록을 둘러 싼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환경을 고려한 다원화된 기록관리를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레코드 컨티뉴엄이론을 바탕으로 이론 연구자인 업 워드(Frank Upward)의 레코드 컨티뉴엄 도해(圖解, 개념도)의 4개의 축선과 차원에 현재의 ICT기술을 적용하고, 동영상 기록관리 및 이용을 지능화하여 전자기록시대에 적합한 동영상 기록관리 방법론을 현실화 해보고자 한다.

Abstract

The record continuum theory is now being studied in Australia, wherein the segregated record management of current, semi-current, and past records based on the temporal flow of the life cycle theory are being critcized. In addition, it emerged as a new paradigm for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without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Moreover, it is recognized as a logical and conceptual entity rather than as a fixed physical object.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record multiple records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multidimensional environment of records. Based on this record continuation theory, the curr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s applied to the four axes and dimension of the record continuation diagram of theoretical researcher Frank Upward. The researchers aim to realize a video recording management method suitable for the electronic record age.

2
김태영(전북대학교) ; 강주연(전북대학교) ; 김건(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8, Vol.18, No.4, pp.149-182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149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제도적․행정적 측면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기록관리 영역에 신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화 선진 기술을 적용한 국내외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규명한 다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에 기록관 이외에 도서관, 박물관을 포함한 이유는 해당 기관들이 정보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서 하나의 범주로 포괄되기 때문이며, 이들 기관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및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외 사례 비교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관에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을 위한 선결 조건, 적용 시 문제점, 적용방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변화된 전자기록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모델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new technologies have begun to be appli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way from the traditional view that emphasized the existing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statu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applied with advanced intelligent technology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Then, we proposed how to apply intelligen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ason for including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research is that they are covered by a single category as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To achieve our study aims, we conducted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e proposed the application strategies of intelligen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velop intelligent archival service models that are suitable for the changed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3
오진관(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 임진희(서울특별시 정보공개정책과) 2018, Vol.18, No.2, pp.163-188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163
초록보기
초록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급변하는 시스템 개발 환경하에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은 지난 10여 년간 답보 상태로 머물러 있었다. 이런 이유에는 사용자 요구사항 수용, 기록관리 신기술 적용을 하기 어렵게 만들어진 기록관리시스템 구조적 문제가 핵심 원인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기록관리 현황 분석을 통한 차세대 기록관리시스템 재설계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격인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연구(주현미, 임진희, 2017)’ 결과와 선진 기록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술과 해외 시스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방향을 기능적 측면, 소프트웨어 설계 측면, 소프트웨어 배포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기록관리기관 유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기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지향의 기록관리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차세대 기록관리의 지향점이라고 제안한다.

Abstract

How do we create a next genera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Under a rapidly changing system development environment,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has remained stable for the past 10 years. For this reason, it seems to be the key cause of the structural problem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ommodate user requirements and apply a new recording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designed model for a next-genera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analyzing the status of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A Study on the Redesign of the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ocess,” records management technology of advanced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a case of an overseas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analyzed from several aspects: functional, software design, and software distribution.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the creation of a microservice architecture-based(MSA) and an open source software-oriented (OSS) record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the focus of next-generation record management.

4
박준형(전북대학교) ; 류법모(부산외국어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8, Vol.18, No.1, pp.29-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0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전보다 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의 변화 속에서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 관련 학술지 2종과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 4종을 대상으로 1997년부터 2016년까지 기록관리학 관련 논문을 자동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전․후기 10년, 5년 주기로 나누고 각각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5년 주기로 나눈 토픽모델링은 8가지 기록관리학 주제영역과 매핑하여 각 시기별로 특정 영역과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전자기록, 기록정보서비스, 다양한 기록물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size and speed of archives and records information have recent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archives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records management in the country. We collected article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from 1997 to 2016 from two journal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and four journals related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e collected articles from the first and second halves of the decade were subjected to five-year cycle analysis. As a result, research on electronic records, record information services, and archiving methods of various records has been gradually improved.

5
주현미(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 김익한(명지대학교) 2018, Vol.18, No.1, pp.129-154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129
초록보기
초록

지방분권의 흐름에 맞춰 새 시대의 기록관리를 위해 기록 분권을 통한 기록관리 현장에서부터의 내재적 발전을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 중앙집중화되고 있는 기록관리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아카이브가 설립되어 자율적이고 분권적인 기록관리를 실현해야 한다. 본격적인 전자기록관리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인 이관을 전제로 한 처리과-기록관-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3단계 체제는 이관비용 및 업무효율 측면에서 그 적절성과 효율성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기록관은 기관 단위의 연속체적 기록관리 수행과 자율적인 기록관리업무 수행을 위해 기관 아카이브로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의 분권화와 정보거버넌스 지향의 차원에서 기록관이 기관의 아카이브로써 기능을 확장하도록 하는 가능성과 시사점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록관리기관 유형을 다각화하고 현용-준현용-비현용 기록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기록관의 기능이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 도출하였다. 각급 기관은 기관의 상황과 여건에 맞게 기록관을 설립하고 각 기록관 차원에서 정보거버넌스를 지향해야 하며 각급 기록관은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록정보관리의 거버넌스를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It is time to prepare for the imminent development from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through decentralization to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new ag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decentralization. To overcome a centralized record management system, more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to realize autonomous and decentralized records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to a full-scale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three-phase system of processing–archival–permanent record management based on physical transfer should be reviewed in terms of transfer cost and work efficiency. The archives should function as institutional archives to carry out the continuous volume record management and the autonomous record management at the institution level.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the archives to expand their functions as archives of institutions for the decentralization of record management and information governance orientation. In addition, the study diversified the types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s a way to accomplish this and determined a way to design the functions of archives that integrate the current-end-end-end records management. At each level, institutions should set up archives based on their circumstances and aim at information governance at the level of each archive. Moreover, each archive level should establish a horizontal network to govern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6
김희섭(경북대학교) ; 강보라(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8, Vol.18, No.4, pp.183-204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1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당 학회지의 창간호(2001년)부터 최근(2017년)까지 발표된 논문 390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부여한 한글 키워드 875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는 NetMiner V.4를 이용하여 이들 연구 주제의 양적측면, 영향력 측면, 그리고 확장성 측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전자기록물’, ‘역사기록물’, ‘아키비스트’, ‘국가기록원’ 순으로 나타났고, 영향력 측면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전자기록물’, ‘평가’, ‘지역기록물’, ‘검색시스템'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확장성 측면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 ‘아키비스트’, ‘전자기록물’, ‘아카이브’, ‘메타데이터’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hich is one of the main academic journals of archival research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875 author-assigned Korean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390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i.e., 2001) to the current issue (i.e., 2017) in the target journal. The collected keywords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Results showed tha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lectronic Records,” “Historical Archives,” “Archivists,” a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wed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wherea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lectronic Records,” “Evaluation,” “Locality Archives,” and “Retrieval System” were the most influencing research topics. On the other h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rchivists,” “Electronic Records,” “Archive,” and “Metadata” showed the most widely intervening research topics in this research.

7
소정의(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양동민(전북대학교) 2018, Vol.18, No.4, pp.125-148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외에서 발표된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 정책을 조사하여 정책을 세우는 데 필수적인 정책 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자기록물 장기보존 정책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스위스 아카이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5개국의 장기보존 정책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6개의 핵심적인 정책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6개 정책 요소는 보존 범위, 장기보존 전략, 위험 관리, 무결성 검증 방식, 보존 인프라, 참조 모델이다. 본 연구는 정책 요소를 통하여 5개국의 장기보존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로 6개의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시사점은 다양한 전자기록물 유형에 대비하여 기관의 실정에 맞게 장기보존 전략을 세우고, 국외의 장기보존 정책들을 선진사례로서 활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preservation policy of electronic records published abroad to derive and compare the policy elements necessary for policy establishment. The U.S., Canada,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Switzerland archives were selected, which officially announced the e-Record Preservation Policy.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of the five selected countries resulted in six main policy elements. These six policy elements are preservation scope,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risk management, integrity assurance methods, preservation infrastructure, and reference models. We compared and analyzed five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through policy elements and found six implications as a result. The implications were focused on establishing a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in line with the actual state of the institution and using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outside of the country as advanced cases for various types of electronic records.

초록보기
초록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 업무에 QR코드의 도입사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업무만족감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QR코드의 정의와 기록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이용자서비스에 대해 살펴보았고 QR코드를 이용한 도입사례를 살펴보았다. 기록관에 QR코드를 적용하려는 이유는 현재 공공기관에서는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1인체제이다. 직원 수와 기록물의 양은 방대해지고 있다. 모든 업무의 내용을 숙지하여 정확하게 설명해야하고 기록관리 생애주기 이해가 부족한 직원들에게 전문적인 내용을 무한반복 설명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도입사례로는 비전자 기록물등록 방법 안내, 중요기록물 및 행정박물 위치 및 이력 안내, 표준기록관리 교육 제공으로 나눴다. 이를 연구자가 제작한 ‘기록관리 안내서’(QR코드 유무)를 부산광역시 S구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기록관리안내 만족도는 QR코드 활용 유무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2017년 12월, 1차 조사와 2018년 3월 2차 조사를 비교분석하였을 때 실험집단의 경우 1차 조사에서 평균 2.94였으나 2차 조사에서 3.75로 결과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이는 기존의 활자로 제공하는 안내보다 QR코드를 도입하여 안내 하는 것이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QR코드를 활용한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도입사례와 이용자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지만 기록관리시스템(RMS)과 문서생산시스템에 접목시켜 완성도가 높아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Abstract

The act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introductory cases of the use of quick response (QR) codes in records management by public institutions and propose measures to enhance user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This study looked at the definition of the QR codes and the user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records depository and reviewed the introduction cases using the codes. The reason QR codes are used by records depositors is that public institutions currently have a single-person system that specializes in records management. With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number of records becoming more extensive, explaining the contents of all tasks accurately as well as other professional contents to employees who lack understanding of the records management life cycle is becoming more difficult. The introductory cases were divided into information on how to register nonelectronic records, information on location and history of important records and administrative museum, and education on standard records manage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research team’s “Records Management Guide” (QR code status)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for officials of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cords management guida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QR codes were used. When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were compared in December 2017 and March 2018,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averaged 2.94, but the second survey showed high results at 3.75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an be said to be more satisfactory by introducing QR codes than guidance provided by existing type. Although this research examines introductory cases of records management by public institutions using QR codes and user satisfaction, future tasks are to be applied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document production systems so that completion can be improved.

9
김명훈(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학과) 2018, Vol.18, No.4, pp.45-68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045
초록보기
초록

최근 ISO 15489 개정판에서는 기록의 평가에 관한 표준화를 시도하였다. 어떠한 기록이 중요하며 어떠한 방식으로 선별할지는 국가 및 지역, 조직마다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그동안 표준화된 원칙 및 방법론 적용이 어려웠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평가를 둘러싸고 수많은 이론 및 방법론이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ISO 15489 개정판에서는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기반으로 최근의 기록생산 환경에서 전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평가의 표준화 기반을 마련하였다. ISO 15489는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을 기초로 전자기록 환경에 부합하는 기록관리의 원칙 및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ISO 15489 개정판에서 제시하는 평가 원리 및 방식은 심층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의 전자기록 환경에 부합하는 평가 상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일환으로, ISO 15489 개정판에서 제시하는 평가의 개념 및 논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ISO 15489 개정판의 평가 논리가 도출된 배경 파악을 위해, AS 4390의 제정부터 ISO 15489 개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 연원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ISO 15489 개정판에서 제시하는 평가 개념 및 논리를 고찰한 후, 중요기록 선별의 전제가 되는 평가의 준거 및 절차를 분석하였다.

Abstract

In recent years, ISO 15489-1:2016 has attempted to standardize the appraisal of records. It is difficult to apply standardized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to the appraisal of records because it is different for each country, region, and organization to distinguish what kind of records are important and how to select them. For this reason, numerous theorie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around the appraisal of records. ISO 15489-1:2016, on the other hand, has laid the groundwork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appraisal of records that are applicable globally in recent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s based on a new perspective on the appraisal of records. ISO 15489 presents the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records management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 based on the record continuum theory, and the principles and methods on the appraisal of records presented in ISO 15489-1:2016 need to be analyzed in depth.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 and the logic of the appraisal of records presented in ISO 15489-1:2016 to find an improvemen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it reviewed courses from the enactment of AS 4390 to the revision of ISO 15489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appraisal principles of ISO 15489-1:2016. Based on this, the appraisal concepts and principles presented in ISO 15489-1:2016 were examined, and the process of the appraisal was analyzed.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