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장소성, 검색결과: 2
1
정지나(전주대학교) ; 김건(전북대학교) 2017, Vol.17, No.4, pp.109-126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109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갈수록 그 중요성이 높아져가는 영상 아카이브 연구의 시론적 성격을 가지며, 일차적으로 영상 아카이브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영상 아카이브의 바탕이 되는 영상 개념의 역사적 흐름을 검토하며 영상 아카이브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기록물로서의 영상 아카이브 그리고 장소와 기관으로서의 영상 아카이브를 다루면서 기존 종이문서 위주의 타 아카이브들(수집/보존/활용 등), 즉 공공기록보존소, 도서관, 박물관과 차별되는 영상 아카이브의 특이성들을 드러낼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디지털 시대의 영상 아카이브의 쟁점 중 디지털 포맷 및 복원 문제를 한정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향후 국내에서 정책적인 실천적 차원에서 설립되어야 할 다양한 영상 아카이브와 아직 걸음마 단계인 영상 아카이브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important audiovisual archives, specifically regard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iven theme. The study will featur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cept, which is the basis for audiovisual archive research, followed by the specificities of audiovisual archives in sharp contrast to public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Audiovisual archives will also be covered primarily regarding documentaries as well as places and institutions. The study will conclude with various issues of audiovisual archives in today’s digital age. The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audiovisual archive research in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audiovisual archives that will be addressed on a national level both in policy and in practice.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은 사회의 기록을 저장하고 이용토록함으로써 사회를 지탱하는 기반이 되는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록관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제안 모델은 기존의 기록관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영향은 성과의 한 영역이자 축적된 성과의 발현이라는 점에서 대표적인 성과평가 모델중의 하나인 논리모형을 적용하여 개발되었다. 실제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광범위한 사회적 영향 중에서 지역사회 강화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모형을 제안했다. 초기, 중기, 장기 성과를 포함하는 제안모형은 기록관 이용을 통해 지식, 태도, 기술의 변화가 만들어 내는 사회적 참여활동의 증가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민의 사회참여의 증가로 인한 지역사회 강화를 최종 성과로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모형을 기반으로 한 양적/질적 연구가 진행된다면 기록관의 사회적 영향이 분석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rchives identify and preserve records created by society. By making them available to people, archives can be a means of support to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to measure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Reviewing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on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this study’s model is based on the logic model, an outcome-based evaluation model, given that impact is not only followed by outcomes but can be the outcome itself. The scope of social impact is limited to community empowerment in terms of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model. The model, which includes short-, medium-, and long-term outcomes, could be used to measure changes i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archive users, and the social engagement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those changes in the community. The proposed model could include final outcomes that indicate the increase of community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civil society eng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is validated through apply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