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아카이브, 검색결과: 6
1
장윤미(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0, Vol.10, No.2, pp.53-74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2.053
초록보기
초록

건축도면은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건축 기록물로서, 기술적․물리적․내용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건축도면 기록물을 보존, 활용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인데, 국내에는 아직 건축도면 아카이브 기술을 위한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건축도면의 기술규칙 적용모델이 될 수 있는 표준 및 지침을 통해 기술요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건축도면 아카이브의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rchitectural drawings are the records containing a lot of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s and an architectural drawing has a lot of technical, physical and significant uniqueness. The most important thing required to preserve and utilize architectural drawings is description. However, there is still no standard for the description of architectural drawing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description elements for architectural drawings based upon examining a generic character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analyzing several standards and guidelines that can be used as the description rule application model for architectural drawings.

2
신영란(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12, No.3, pp.93-115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3.0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문헌연구를 통해 인문사회 연구데이터의 의의와 데이터 아카이브의 개념 및 요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기초학문자료센터(KRM)에 대한 분석과 국내외 총 9개 아카이브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문사회분야 연구자 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국내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한국연구재단(NRF)과 인문사회분야의 사업 영역별 데이터 아카이브의 협력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둘째, 데이터 큐레이션을 바탕으로 연구데이터의 생애주기에 따라 협력체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개념적 모형을 설계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data archives in Korea.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to prove the importance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data and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oncept and requirements of data archives. In addition, analysis of the Korean Research Memory (KRM), case surveys for a total of 9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chiv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0 researchers in the field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onducted as well.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data archives in Korea,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and the field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as proposed first for data archives of each project. Secondly, a conceptual model of research data archives wa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archives would perform according to a life cycle of research data in the cooperative system, all based on data curation.

3
구찬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22, Vol.22, No.1, pp.27-41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027
초록보기
초록

공공기관의 역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한국 현대사 연구를 위한 중요한 사료일 뿐만 아니라, 학생이나 대중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기록콘텐츠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350개 기관 중에서 정보공개포털에서 정보공개청구가 가능한 총 33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관사(機關史) 편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326개(96.2%) 공공기관 중에서 217개(67%) 기관이 총 516건의 기관사(機關史)를 편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기관사 편찬 현황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역사 편찬과 이용자의 활용 측면에서 편찬 시기, 대상 기간, 주관 부서, 예산 및 소요기간, 접근성, 규정 등 6개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historical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are not only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for the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y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science, but also important historical content that students and the public may be interested in. In this study, among the 350 institutions designated as public institutions as of 2021, 339 public institutions that can request information disclosure through the information disclosure portal were investigated.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217 (67%) out of 326 (96.2%) public institutions compiled a total of 516 institutional historie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plans in terms of the compilation of history in public institutions and the utilization of user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compilation status of history in public institutions by six elements: compilation time, target period, department in charge, budget and required period, accessibility, and regulations.

4
조혜전(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7, Vol.17, No.2, pp.79-99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2.079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시대로 들어서면서 문화유산기관들의 정보자원 공유 및 통합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여러 나라들이 이러한 기관들의 자원공유를 목표로 통합과 협력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국립국회도서관과 국립공문서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비교한 후 향후 협력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홈페이지와 관련 문헌 및 법령을 중심으로 역사, 체제, 법령, 정책, 그리고 서비스 등을 분석하였다. 양 기관의 협력 방안으로는 소장 자료의 역사 관련 통합 DB와 재난 정보 아카이브의 구축, 공동전시회 개최,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From the beginning of the digital age, the need for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to share information resources and integrate services has increased, causing many countries to make efforts for cooperation and integration. In line with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Japan, seeking ways for furthe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Their websites, articles, and legislation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ir histories, systems, laws, policies, and services. In conclusion, building an integrated database for materials in history and an archive for disaster information, as well as conducting joint exhibitions and learning programs, were drawn as viable ways for collaboration.

5
박현이(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1, Vol.11, No.2, pp.33-55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2.0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검색도구를 공유할 수 있도록 EAD 필수요소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3개의 국외 모범사례인 미국연구도서관협회, 캘리포니아 온라인 아카이브, 미국의회도서관에서 개발한 모범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공공표준 『영구기록물 기술규칙』(2008)과 실제 국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과정을 거쳐 설계원칙과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AD mandatory elements to share finding aids among the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Three foreign EAD best practices for case studies: the EAD Best Practice at the Library of Congress(2008), the RLG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2002), and the OAC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ncoded Archival Description (2005)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Archival Description Rules(2008) as the data content standard of Korea and the descriptive elements which are were being used at Archival Institutions of Korea were analyzed. Based upon the results of comparisons among EAD element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which EAD elements should be included in finding aids as a matter of exchange format.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he rules and EAD elements for the archiv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designed and suggested.

6
이윤정(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20, Vol.20, No.1, pp.27-46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1.027
초록보기
초록

한국의 기록관리교육은 대학원마다 교육과정의 편차가 커서 기록관리 교과과정의 변화에 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기록관리 교육지침서와 인증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을 위한 핵심범주와 요소를 도출하였다. 지침서는 서문, 사명과 목표, 교육내용, 행정적 요소, 결론으로 구성되며,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배워야 할 교육내용의 핵심 지식범주는 ① 레코드와 아카이브의 본질, ② 선별, 평가, 수집, ③ 정리 및 기술, ④ 보존, ⑤ 정보서비스와 접근, ⑥ 아웃리치, 지도, 옹호, ⑦ 관리와 행정, ⑧ 사회적, 문화적 시스템, ⑨ 법적, 재정적 시스템, ⑩ 정보기술로 도출되었다. 향후 지식범주는 학계와 현장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대학원 교과과정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need for changes in archiv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steadily raised because of the wide variation of the curriculum in each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the foreign archival studies guideline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key categories and elements for developing the Korean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The five key categories and elements of the guideline include introduction, mission and goal, knowledge categories, administrative factors, and conclusion. On the other hand, the 10 knowledge categories to be learned by archivists include ① The Nature of Records and Archives, ② 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③ Arrangement and Description, ④ Preservation, ⑤ Reference and Access, ⑥ Outreach, Instruction, and Advocacy, ⑦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⑧ Social and Cultural Systems, ⑨ Legal and Financial Systems, and ⑩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knowledge categories need to be actively reflected by the opinions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archivists to improve the graduate curriculum.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