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서비스표준, 검색결과: 2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은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변화하여 왔다. 초창기 기록관에서의 업무 수행은 자료의 수집 및 보존에 치중되었지만, 지금은 자료의 보존 뿐 아니라 활용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기록관들은 이용자 중심의 적극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에서 2005년 서비스혁신팀을 신설하여 지난 2년간 수행한 각종 서비스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와 병행하여 선진기록국인 미국립기록관리청, 영국 기록관리청에서 수행하는 기록정보 서비스 내용을 소개하여 향후 벤치마킹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이용자를 창출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 영역의 확대와 기록홍보의 중요성을 제언하면서 선진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표준지침을 수록하여 국내 기록관련 유관기관의 향후 기록정보 서비스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rchival organizations have been evolving to varying users' needs. The main functional focus of earlier archival organizations has inclined to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data, but their current interests expand to utilization of the data collected. Therefore, today's archival organizations endeavor to procure user-orient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highlights the programs initiated in last two years by ‘Service Innovation Team', a special task force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organized in 2005, and presents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programs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archival systems of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of USA and The National Archives in UK. Additionally, the study,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nlarging and diversifying service programs as well as promoting public awareness over archive resources, introduces the service standards of advanced nations as benchmarks for future archival service policies of pertinent organizations.

2
하은미(유니닥스(주)) ; 이수상(부산대학교) 2007, Vol.7, No.2, pp.139-164 https://doi.org/10.14404/JKSARM.2007.7.2.139
초록보기
초록

탐색도구는 이용자가 기록물을 접하는 가장 처음 단계로 이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탐색도구의 전산화 표준인 EAD는 웹을 통해 이용자가 탐색도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기록관간 상호운용성을 촉진한다. 이 연구에서는 EAD 탐색도구를 구축한 국내외 기록관에 대해 살펴보고 EAD 탐색도구의 특징적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대학기록관의 탐색도구 서비스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여기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Finding aids is the first necessary step for users to find records easily. EAD, computerized standardization for finding aids, enables users to access to the finding aids easily and accelerates interoperability between Archives.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where they have built EAD finding aids and to analyze the distinctive feature in the EAD finding aids. And to review and point out the problems in current status of finding aids in domestic university archives. And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is presented in this research.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