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만족도, 검색결과: 3
1
심한울(전남대학교 대학원협동과정 기록관리학과) ; 장우권(전남대학교) 2021, Vol.21, No.2, pp.173-201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2.17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직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을 반영한 설문조사(159부)를 하였다. 설문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 ANOVA 분석, 상관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1)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 총 평균은 2.60으로 나타났다. 2)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연령별, 고용형태, 학력, 급여, 근무기관, 근속기간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3)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직무요구와 직무만족, 상사갈등과 직무불안정, 동료갈등과 직무불안정, 직무불안정과 보상부적절, 직무불안정과 직무만족 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4)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인 직무요구요인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같이 올랐다. 그러나 직무스트레스의 동료갈등요인과 보상부적절요인이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낮아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iffer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in public institutions and how their job stress affects job satisfaction. A survey that employs the use of questionnaires gathering data about participants’ job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given to 159 participant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in analyzing the data through the surve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average of the total job stress of professional personnel was 2.60.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personnel depending on their age, employment type, education, salary, working institution, and service period. Third, the effect of job stress of professional personnel on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 with all factors, excluding job demand and job satisfaction, boss conflict and job instability, peer conflict and job instability, job insecurity and inadequate compensation, and job in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Fourth and last, there is a higher job satisfaction when there is a higher job demand factor, which is the job stress of professional personnel. However, except for those with significant results, the higher the factors of peer conflict and inadequate compensation of job stres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except for showed significant results.

2
이효진(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2021, Vol.21, No.3, pp.187-215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187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에서는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된 사용성이 높은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검색서비스의 사용성을 전문가 평가와 다양한 그룹의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인터페이스 사용성 전문가 평가 중 하나인 휴리스틱 평가 및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정확성 영역에서 심각도가 가장 높았으며 에러대처 영역의 심각도가 가장 낮았다.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에서는 이용자의 배경요인과 도움말 제공 여부가 사용성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기록관리학 전공자, 웹/앱 개발자 및 그러한 배경요인이 없는 일반인 등 총 22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사전 설문조사, 5초테스트, 검색과업 수행 순으로 진행하였다. ISO 9241-11:2018의 사용성 구성요소인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웹/앱 개발자의 검색 효과성이 가장 높았고 기록관리학 전공자의 경우 기록정보콘텐츠 검색에서만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에 있어 배경요인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색도구에 익숙해질수록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도움말 제공은 효과성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 이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검색기능의 제공, 도움말 지원의 확대, 일관성 있는 웹 인터페이스 제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rchives should provide a web-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ith good usabil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sers’ need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usability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website’s search service through expert and usability evaluations for various users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s. A literature review, heuristic evaluation, one of the usability expert evaluation methods, and usability evaluation for user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expert evaluation, the severity rating for the usability problem was highest regarding a match between the system and real world and the lowest in error prevention. In the usability evaluation, it was assumed that the user’s background and whether the website’s help was provided is associated with usability.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22 participants, including those majoring in records management, web/application developers, and people without such backgrounds. Furthermore, a presurvey, a five-second test, and search tasks were conducted in a row. The analysis based on usability components in ISO 9241-11: 2018, i.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showed that web/application developers had the highest search effectiveness, and those majoring in records management showed high effectiveness only in the search for archival content services. Background factors did not affect efficiency, and the more familiar with the finding aids, the better the efficiency. Moreover, providing the website’s help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AK website will offer a user-friendly interface and search function, expand help support, and display a consistent web interface.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아카이브는 디지털 자원을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자화된 저장소이다.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도메인의 디지털 자원을 기록하기 위한 아카이브가 구축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아카이브의 자원은 디지털화라는 본래의 목적은 만족할 수 있지만, 자원의 검색과 재사용에 있어 여전히 제한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FAIR 데이터 원칙을 자세히 살펴보고,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하기 위한 성숙도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FAIR 데이터 원칙은 디지털 자원을 기계가 읽고 처리할 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지침으로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FAIR 데이터 원칙의 평가 모델은 계획 수립과 적용 단계를 구분해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원칙의 적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모호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분야를 위한 평가 기준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FAIR 데이터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향후 적용을 위한 이슈를 논의한다.

Abstract

Digital archives are electronic storages used to preserve and utilize digital resources sustainably. Theoretical research on digital archives is being conducted actively, and digital archives for recording various resources in heterogeneous domains are being built and serviced. However, although the original purpose of digitizing the resources of digital archives is achievable, the discovery and reuse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examines the Findable, Accessible, Interoperable, and Reusable (FAIR) data principles in detail and proposes a maturity assessment framework for digital archives. The FAIR Data Principles is a set of guidelines that enable machines to read and understand digital resources that are applied to any online resource. The evaluation model of the FAIR data principle defines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stages separately. However, criteria for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principles are still ambiguous, and discussions on evaluation criteria for the field of digital archiv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for applying the FAIR data principle to digital archives and discusses issues for future application.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