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로컬리티의 기록화, 검색결과: 11
1
설문원(부산대학교) 2015, Vol.15, No.4, pp.151-171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5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새로운 기록관리 패러다임에 맞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다른 영구기록물관리기관과 다른 고유하면서도 다차원적인 업무영역과 역할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공공기록물관리법에 규정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은 중앙 중심적이고 협소하다. 이 연구에서는 서구에서 지난 150여 년간 변천을 거듭해온 보존기록관리의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주는 시사점에 근거하며 지방기록관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재규정할 수 있도록 공공기록물관리법의 개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formulate the roles of local archives, reflecting the new archival paradigm. Archives management of local authorities is different basically from that of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This paper analyses four stages of archival paradigm shifts in Western archival communities, and finds some implications for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ocal archives and local archivists. Finally, it suggests the directions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and revision of related articles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2
이주연(부산대학교) ; 김희영(부산대학교) 2011, Vol.11, No.1, pp.299-326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2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부산지역 철도역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들을 조사하여 그 현황을 밝히고, 이 기록들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에 있어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17개의 철도역을 방문하여 소장 기록을 조사한 결과, 1) 공공영역의 기록관리에서 이탈된 기록이다. 2) 주요 기록 유형은 역사(驛史)와 역세보고서, 운수운전설비카드, 사진 자료, 기타 자료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3) 폐기나 분실 등의 이유로 각 역마다 소장 기록의 규모에는 차이가 있다. 4) 각 유형별 기록들은 대체로 비슷한 서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역사(驛史)나 역세보고서 등에 담긴 서술과 이미지는 역의 모습, 역 주변의 경관, 지역민들의 생활상과 경제상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도역 소장 기록과 함께 각 기관에 흩어져 있는 공기록, 사기록의 잔존양태를 파악하여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해야 하며, 구술기록을 통해 결락을 메울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This paper surveyed records and archives which the railroad stations in Busan possesses and illustrated the status of them. Also we examined whether records and archives of railroad stations contain the memories of localities or not. We visited 17 railroad stations in Busan and we found that 1) the archives in railroad station are fugitive archives 2) the records or archive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tation's history', ‘report on station-adjacent area', ‘report of drive and transport', ‘photos’, and ‘other materials’ 3) the volume of such archives in 17 stations are different because of disposal or missing 4) Each archives in same category have same form. Especially the descriptions and images in ‘station's history', ‘report on station-adjacent area' represent much to memories of locality, but we also must examine the public records, private records related railroad station in Busan for documenting localities. To bridge the gap we suggest to collect oral records by relevant persons.

초록보기
초록

근대는 시공간의 압축 시대다. 근대 부산의 시간을 압축시킨 중심축은 기차와 전차다. 기차와 전차 등 근대교통의 발달은 근대도시의 시공간적 성격을 변화시켰다. 근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기차와 전차를 통해 근대도시 부산의 로컬리티를 찾으려고 하였다. 근대도시 부산의 발달은 근대성과 식민지 수탈성을 담보하고 있다. 로컬리티 기록은 로컬과 관련된 인간의 경험을 읽어낼 수 있는 자료이다. 근대교통과 관련된 ‘로컬리티의 기록화’는 근대도시 부산의 로컬리티를 읽어내기 위한 작업이다. 교통이 지역사회, 지역사람들의 일상, 공간변화와 어떻게 상호 연관을 가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것을 위한 작은 시도다.

Abstract

The modern age is such an era of time and space compressed. The central axis having compressed the time of the modern Busan city was the very trains and trams. The development of the means of modern transportation, such as trans and trams, came to change the time-space characteristics of cities in the modern age. Through trains and trams regarded as symbols of modern c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localities of Busan as a modern city.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Busan city was actually based on modernity and colonial exploitation. Documents of localities provide data to read humans' local-related experiences. ‘Documenting localities' related to the means of modern transportation is a work process to read the localities of Busan in the modern age.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means of transportation can be correlated with a local community, local residents' daily lives and spatial change. Overall, this study is such a small attempt for this concern.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내 기록유산기관들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Cox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환경에 맞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로컬리티 기록화와 관련한 접근방법을 4가지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히 공간과 장소를 중심축으로 하는 기록화의 범주를 도출하고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로컬리티가 담긴 기록을 생산․수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methodologies for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reformulation the Cox's documentation model focused on cooperative acquisition of documentary heritage institution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s of locality, space and place, relation of collective memory to archives, and analyzes the four approaches of documentation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the categories of documenting locality, and the directions of archive portal design for collective memory of locality.

초록보기
초록

전통적으로 부산 일대에서 전통적인 정치․행정의 중심지는 정주공간인 동래이고, 부산은 동래부 동평현 부산포라는 어촌이었다. 개항 이후 일본과의 연이은 조약으로 일본인의 조선 내에서의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조선에서 일본인의 상업행위가 허용됨에 따라 일본인의 이주가 급증하였다. 일본은 조차나 임대, 매입 또는 매축을 통해 전관거류지와 서쪽 방면 일대, 북항 일대의 부지를 확보하고, 북항 일대에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항만시설을 구비하여 경부철도와 관부연락선이 바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부산이 한일간 교통의 요충지가 되자 부산은 통상 중심의 상업이 발달하고, 부산항은 조선 최대의 무역항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조선이 일본에 병합된 이후 조선총독부는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조선의 임야와 거대한 농지를 확보하고, 소작농이 도시 임금노동자로 전락하게 되었다. 회사령을 통해 조선 자본의 성장을 억제하고 일본 자본이 침투하여 일본인 기업이 대거 설립되었다. 1914년에 시가지는 부(府)로, 농촌은 군(郡)으로 지방행정조직이 개편됨에 따라 부산포 일대의 일본인이 개발한 지역은 부산부로, 그 외의 농촌지역은 동래군으로 바뀌었다. 새로 신설되는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항만시설은 부산부에 집중적으로 들어섬에 따라 변방이었던 이곳이 정치․행정의 중심지로 탈바꿈하였다. 부산이 교통과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함에 따라 경상남도의 도청이 진주에서 부산으로 이전하였다. 이로써 부산이 경상남도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토지조사사업으로 대규모 노동력을 확보하고, 회사령 철폐로 일본이 대자본이 식민지로 진출하였다. 부산진 방면의 매립으로 조선방직 등 대규모 공업시설이 설립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부산의 도시 정체성, 즉 로컬리티도 어촌에서 통상 위주의 상업도시로, 나아가 상공업 도시로 변모하게 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growth of Busan from a fishing village to the capital city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central city of transportation and commerce, and an industry with rec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fter the port opened in 1876, there has been a decline in settlement spaces in Dongnae;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migration spaces around the port of Busan. Waegwan(倭館) nearby Yongdusan Mountain(龍頭山) was changed to the Japanese concession; thus, the number of Japanese moving into Busan had rapidly increased.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 carried out reclamation work for securing available lands for the construction of port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The Japanese government built public offices and houses, as well as production facilities for daily necessities around the port of Busan. The opening of the Seoul Busan railway(京釜線) and the cross-channel liner between Busan and Shimonoseki(釜關連絡船) led to the growth of Busan and the development of its status. At this time, as the main industry of Busan was trade, Busan had grown as a commercial city. As Busan had grown as a central city of transportation and commerce,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of Gyeongsangnam-do(慶尙南道) moved to Busan. Thus, Busan became the central city of local politics and administration. After the Land Survey Project, a large scale of farmers were recruited for low-wage work in the new port. Because of the abolition of the corporation law, Japanese capitalists moved into their colony in Busan. There, large-scale factories, such as the Joseon cotton textile factory,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the locality of Busan was changed from a fishing village to a commercial city and, finally, to a city of commerce and industry.

6
김선미(울산항만공사) ; 송정숙(부산대학교) 2020, Vol.20, No.1, pp.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울산의 로컬리티를 살펴보기 위해 울산항과 관련된 고문헌⋅고문서⋅고지도⋅구술기록 등 다양한 기록물을 찾아 분석하고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키워드를 시계열 순으로, 공간 순으로 구분하여 조선시대 울산항과 울산의 로컬리티를 재현하였다. 조선 전기 국방과 왜관을 통한 교역 기능을 수행한 염포, 조선 중기 임진왜란과 전란의 피해를 받은 개운포와 서생포⋅도산성, 조선 후기까지 국영목장과 봉수 등 국방시설을 운영했던 방어진, 내황나루와 달천철장, 포경기지의 역할을 수행한 장생포까지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고, 조선시대 울산의 궤적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울산항의 로컬리티의 변모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울산의 로컬리티 이해와 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Ulsan locality during Joseon by searching and analyzing various records related to the Ulsan port including old literature, documents, and maps, and oral records relating to traditional knowledge, as well as extracting keywords arranged by the time series and space to reenact Ulsan Port and Ulsan during Joseon.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Yeompo, which served defense and trade functions through Waegwan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Gaewoonpo, Seosaengpo, and Dosanseong, which underwent damage during Imjinwaeran and other wars in middle Joseon, and Bangeojin, which operated state-owned ranches and defense facilities including signal fires through to the latter half of Joseon, Jangsaengpo, which played the role of a whaling zone, and neahwang-naru, iron mine of Dalcheon, trying to reproduce the trajectory of the Ulsan during Joseon. Research on the locality transfiguration process of the port will help establish the locality of the entire Ulsan.

7
하은미(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설보연(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현진(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2022, Vol.22, No.3, pp.83-102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3.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로써 지역 아카이브의 검색서비스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함께 국내 지역 아카이브에서 제공하고 있는 검색도구와 기록콘텐츠 및 컬렉션을 분석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가요소 및 항목의 검증을 위해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요소 및 고려사항을 통해 기관의 검색서비스를 객관화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실무자들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검색서비스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search services in local archives. In this study, evaluation areas and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of finding aids and archival contents in local archives. Afterwar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experts to verify the developed evaluation area and factors. Through the evaluation factors and considera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objectively identify the search service of the institu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practitioners can use it as basic data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it will help improve the search service.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기반으로 한 지역기록의 구조화 가능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공간은 지역기록의 이용과 이해를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 맥락으로 여겨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공간을 독립 개체로 추가한 공간 중심의 기록 모형을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례 지역과 기록을 대상으로 구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CIDOC CRM 6.0 버전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사례 공간인 부산항을 거점으로 확인된 기록 중 5개 유형을 사례로 구조화하였다. 실험을 통해 공간은 기록을 포함한 다양한 개체와 다양한 연관 관계로 구조화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공간은 지역기록 구조화에 있어 독립 개체로 정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기록의 맥락 이해를 지원하는 주요 개체로 다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organizing local record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pace can be a useful context of records. Accordingly, it designed a records model on additional space entity. It attempted to organize five sample records based on the space of the port of Busan (Busanhang) using CIDOC CRM (6.0). In conclusion, it presented that a space entity provides relations across other entities. As such, it is possible to propose a defining space entity when designing records model that can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records' contexts.

9
송정숙(부산대학교) ; 허정숙(부산대학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 이예린(부산대학교) 2014, Vol.14, No.3, pp.127-151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1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항구도시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 부산항은 부산의 대표적인 로컬리티 공간이므로 부산항과 인근지역의 경관에 관한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을 중심으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재현방법론을 확산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 즉 사진기록의 특성을 문자 위주의 텍스트 기록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미지 기록의 대중 친화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항에 관한 사진, 엽서 등의 이미지 기록을 수집하여 오픈소스 기록관리 소프트웨어 가운데 사진의 전시에 적합한 오메카(Omeka)를 이용하여 사진 아카이브를 실험적으로 구축해 보았다. 그 과정과 방법을 보면, 먼저 아카이브 구축 목적에 따른 개발 원칙을 세우고, 기록 수집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항 관련 기록 소장기관과 개인소장가 등의 저작권 동의를 얻어서 원본 또는 파일을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기록은 더블린코어에 따라 기술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컬렉션을 구성하고 기록을 정리하였다. 부산항의 공간적 성격을 교통공간, 역사공간, 산업공간, 생활공간으로 구분하고, 11개 전시주제를 구상하였다. 전시의 보기로 교통공간의 부관연락선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hare a methodology for locality reproduction by concretely explaining the theoretical model, procedure, and practice of constructing the Port of Busan Image Digital Archive, based on the photographic and postcard images of the Port of Busan, the representative place of Busan. Among the open-source record management programs, Omeka was chosen in implementing the digital archive because of its suitability for image exhibition. After establishing the principles for archive implemen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archive, a basic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the record collection. With the consent of the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that possess the related records on the Port of Busan, such a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Busan Museum, and the City of Busan, original image artifacts were thus collected. The collected artifacts were then described using the Dublin Core metadata and categorized by time period. The Port of Busan was classified through four distinctive spatial characteristics (transportation, historic, industrial, and living spaces). A total of 11 themes for the exhibition was then suggested. The Busan-Shimonoseki Ferry Boat was chosen as an example exhibition of transportation space.

10
설문원(부산대학교) ; 최이랑(부산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 김슬기(부산대학교) 2014, Vol.14, No.4, pp.7-36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4.00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오픈소스 Omeka를 이용하여 환경 갈등사건의 기록화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례로는 장기간 지속되었고 아직도 진행형인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사건을 설정하였다. 먼저 국내외에서 오메카를 활용하여 구축된 아카이브 사례를 조사하였고, 밀양 아카이브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아카이브 구축 방향을 정한 후 기록화 전략 방법론을 적용하여 맥락 분석과 기록조사를 실시하고, 실제로 기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기록을 수집․정리하는 과정에서 사건을 재조직하고, 이를 토대로 아카이브 컬렉션의 구조와 전시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기록물 목록을 실험적으로 작성한 후 이러한 목록데이터와 디지털화한 기록을 중심으로 Omeka를 이용한 디지털 컬렉션과 전시를 구현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lement the digital archives to document environmental conflicts using open source Omeka. Mi-ryang 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Conflict is the selected case because it is very crucial and continues until today for more than 10 years. It begins with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archives developed using Omeka. Based on these analysis, it draws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Mi-ryang archives. It also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Mi-ryang conflicts as the contexts of records creation, acquire the actual records from a Mi-ryang civic group, and finally implement the collections and exhibits of Omeka-based archival system.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