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대통령기록물, 검색결과: 24
11
이정현(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이윤용(전북대학교) ; 방기영(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용(전북대학교) 2015, Vol.15, No.2, pp.55-82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055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사회성과 국정 운영에 대한 설명책임을 지니고 있는 기록물로써 대통령기록관에서는 이를 보존․관리하며 서비스 하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기록관에서 제공하는 검색시스템과 온라인콘텐츠는 이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보다 나은 기록정보서비스의 확장을 위해 노무현대통령 재임기간에 생산된 기록물을 이용하여 LOD(Linked Open Data)를 통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구체적인 방안은 3단계로 나누었으며, 1단계는 구축방법 설정, 2단계는 온톨로지 설계, 3단계는 RDF변환 및 타 기관과의 연계방안이다. 이를 통하여 대통령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확장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residential Archives preserve and manage the president's records and archives, which accounts for the social and governmental operations during the president's term of office. However, search systems and online contents provid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are difficult to use. This study proposed an LOD-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the comfort of users. The proposed service has a better extens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contents from President Roh's term. The provision of details is divided into three steps: first step sets up the establishment methods, second step creates ontological design, and third step converts it to RDF and connects to other institutions.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suggests an extens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12
이재나(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대학원) ; 유현경(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건(전북대학교) 2015, Vol.15, No.3, pp.87-11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087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기록 및 대통령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을 수집하고 관리하여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특수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및 관련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또한 기록관의 현 과제는 보존과 관리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공유․활용․확산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두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들에게 대통령기록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에 천착하여, 오늘날 각광받고 있는 스토리텔링 전시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하고, 유아 및 초등학생들의 단체 방문을 유도할 수 있으며, 향후 기록물 수집정책이나 전시기획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residential Archives collects and manages both the presidential records and historical archives related to the president which it subsequent provides to the people. Regardless of these special duties that meet the people’s right to know, its awareness and study on the Presidential Archives has not been thoroughly satisfied. It is time to focus on providing service to share and utilize records and archives, as well a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xhibition methods through storytelling, which is well-known, as it pursu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various services for a more efficient usage and promotion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This helps raise awareness about the Presidential Archives, attract group visits of children, and provides a good example for collecting archives and planing exhibitions.

13
심갑용(전북대학교) ; 임지훈(전북대학교) ; 박종옥(전북대학교) ; 송나라(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장효정(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김용(전북대학교) 2015, Vol.15, No.1, pp.127-155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1.1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 중 대통령 기록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를 해외 기록관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환경의 기술을 접목하여 대통령기록물활용 교육서비스 모형을 개발했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기관의 협업을 유기적으로 이루기 위함이며, 이를 정보활용능력을 위해 개발된 BIG 6 모형을 변형해(BIG 8 모형) 적용하였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기록관의 교육서비스에 미치는 기대 효과는 교육적 측면, 콘텐츠 개발 측면, 서비스 개발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he formation of education service models using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To accomplish these, this study analyzed various education programs of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reason behind the use of ubiquitous technology is to allow interinstitution cooperation and create synergy effects. With this, this technology is grafted onto the modified BIG6 Model, which is developed for information literacy. This study can be useful and valuable in the aspects of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and service development.

14
조민지(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6, Vol.6, No.2, pp.157-184 https://doi.org/10.14404/JKSARM.2006.6.2.157
초록보기
초록

한 나라의 중심에 서 있는 대통령과 관련하여 생산해 낸 기록물은 대통령직 수행의 증거이며 역사적 핵심기록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역사가 그들 활동의 증거를 토대로 심판할 수 있도록 이 핵심 기록을 제대로 생산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잘 관리해야할 책무가 있다. 역사적 평가는 증거 없는 기억만으로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2007년 초 현재, 대통령기록물의 메카가 될 대통령 기록관 설립에 관한 의무조항을 포함한 대통령기록물관리법률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대통령 기록관은 기록관 기능에 박물관, 교육 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적 국가기관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이용도와 사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수요자 지향적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 편의보다는 이용자 위주의 대통령기록관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 대통령 기록 박물관의 프로그램을 선진 사례로 먼저 살펴본 후, 한국 대통령 기록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적용 가능한 예를 제시하였다.

Abstract

Presidential records which have produced during a presidency as a national center are the evidence of the presidency and main historical records. We have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fundamental systems to produc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and to manag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which could help people and history to judge the presidency based upon the evidence of their activities. The historical appraisal could be achieved not by memory but by evidence. A draft of a proposed law on the management of presidential records which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libraries for the presidential records Mecca is being moored at the National Assembly now. The presidential library is to be considered as a multi-functional national institution which is carrying out the role as an Archives, Museums and Center for the education.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for a presidential library to provide user-oriented services to enrich the usability and the value of records, recognizing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paradigm from a supplier-oriented system to a customer-oriented system.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develop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focusing on customers rather than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reviewed programs of the U.S. presidential libraries as a developed case and proposes guidelines and applicable sampl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15
김건(전북대학교) ; 김태영(전북대학교) ; 배삼열(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이은진(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3, Vol.13, No.3, pp.99-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3.0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이론과 자원기반학습이론을 기반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하여, 아동․청소년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한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문헌조사․분석 및 담당자 면담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과 국내의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을 다중지능영역측면에서 비교․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다중지능영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구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학습자의 학업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둘째로는 대통령기록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to develop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and the youth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the resource-based learning theory. To accomplish this, we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an archivist working in the Presidential Archive in Korea.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sidential Archives’ education programs between the U.S. and Korea. This study can be useful and valuable i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in two areas, with the first area being the fact that the proposed program could help learners improve academic abilities by developing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 second area being the fact that the program could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sidential archives. With the proposed program, the utiliza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can be facilitated.

16
김태영(전북대학교) ; 김건(전북대학교) ; 심갑용(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4, Vol.14, No.2, pp.83-115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2.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관을 이용하는 학술연구자에게 심층적인 연구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지원서비스의 정의 및 유형을 파악하였으며, 정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외 대통령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연구지원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미국 대통령기록관 담당자에의 질의응답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제공받은 자료들을 현황분석에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여섯 가지 분야에서 개선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연구지원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범주별로 연구지원서비스 모형을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support service in presidential archives for users who use archives for scholarly purpos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Moreov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presidential archives’ Web sites between the U.S. and Korea.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terviews via e-mail with an archivist working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the U.S. and gained the materials from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through a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It was found that six improvements were considered by academic users to meet their needs. Consequently, based on the analysis, a research support services framework consisting of a service category was developed. With the proposed services, the academic utiliza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can be facilitat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을 둘러싼 현재 진행형의 문제들에 대한 제도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 관련 법령의 연혁을 살펴보고, 대통령지정기록제도를 중심으로 한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에 관한 이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2013년 4월 입법 발의된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일부개정법률안)의 의의와 문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대통령기록을 둘러싼 대통령기록의 범주, 관리주체, 지정대리인, 생산 관리 등 4가지 쟁점을 논의하고,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대통령기록관리기관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리기관의 전문성 및 중립성 확보, 위상과 기능 회복 및 강화, 대통령기록관리 책임 주체의 임기와 신분 보장이 요구되며, 대통령기록관리의 혁신을 위해 생산 관리의 강화와 보호 및 공개의 강화가 시급함을 주장한다.

Abstract

The study aims at provid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ongoing issues concerning presidential records. It reviews a history of legislation about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nd discusses issues on protection and disclosure of access-restricted presidential records. Four major issues—presidential records’ category, management authority, designated representative, and production control—are argued.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solutions to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gency and to innovate a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process.

18
방기영(전북대학교) ; 이능금(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이유진(전북대학교) ; 한아랑(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용(전북대학교) 2015, Vol.15, No.4, pp.25-48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025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기록관은 다양한 형태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igiQUAL을 활용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웹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했다. 평가 방법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평가 영역은 기록 및 정보검색, 기록물 활용 서비스, 확장 서비스로 나누었다. 본 연구는 설문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술 통계와 신뢰도 검정을 실시했다. 그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았다. 이러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관 웹 기록정보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Abstract

The Presidential Archive of Korea provide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various forms. This study evaluated web-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in The Presidential Archive of Korea using DigQUAL. To perform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 and confidence tests. The evaluation method was accomplished user survey. And the evaluation territory was classified with archives and information search, archives use service, expansion service. As a result, a general satisfaction was low, and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method for web archival service in the Presidential Archive of Korea.

19
김도윤(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이해영(명지대학교) 2021, Vol.21, No.3, pp.139-162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139
초록보기
초록

방대한 정보 획득의 공간속에서 보다 명확한 정보를 찾기 위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기록관리기관에서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제고는 매우 중요하다 볼 수 있다. 2019년 대통령기록관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유일하게 학술연구지원서비스를 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기록관에서 시행되는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미흡한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대통령기록을 학술 목적으로 이용하고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 8명과의 면담을 통해 문제점과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들은 대부분 온라인 검색을 통해 정보탐색을 하나, 배경지식에 따라 정보격차가 컸고, 정보가 부족하면 연구 범위를 축소시키며, 검색도구, 기록 관리 및 기록 공개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했고, 학술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해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였다. 이에 고도화방안을 연구자 간 정보격차 감소, 검색도구 기능의 개선, 기록의 상세한 기술, 지리적 제약의 해소, 학술연구지원서비스 홍보 및 콘텐츠 개발, 주제전문 아키비스트 양성 및 온라인채팅 서비스 제공 등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s the demand for finding clearer information amid vast information acquisition increases, the enhancement of academic research services is highly important. In 2019, the Presidential Archives opened the only academic research services among the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insufficient use of academic research services implemented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analyze problems and requirements through interviews with users who have used the Presidential Archives for academic purposes and conducted research, suggest a plan to upgrade the research service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offer a plan to improve the services of archives institutions accordingly. Researchers mostly sought information through an online search, but the information gap was large depending on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research scope was reduced because of insufficient information. Moreover, problems occurred regarding search tools, records management, and records disclosure, and most users were unaware of the academic research services. Therefore, the advancement plans entailed reducing the information gap among researchers, improving the search tool functions, creating more detailed descriptions of records, resolving geographic constraints, promoting academic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ing content, nurturing subject-specialized archivists, and providing online chatting services.

20
송나라(전북대학교) ; 장효정(전북대학교) ; 최효영(전북대학교) ; 김종혁(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6, Vol.16, No.1, pp.9-40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009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기록관 전시관을 방문하는 이용자 중 유치부와 초등학생들의 누적 인원이 전체 이용자의 절반에 가깝지만 이들을 위한 공간이 부족한 실정이며, 대통령기록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전시관람 및 현장 견학 수준에 머물러 있다. 아동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대통령 기록물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체험전시임을 고려할 때, 최근 주목받고 있는 체험경제이론(4Es)이 제시하는 체험요소인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교육(Education), 현실도피(Escapist), 그리고 미적(Esthetic) 4가지를 적용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어린이 체험전시관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린이 체험전시관을 통해 대통령기록관은 전 시대를 아우르는 문화소통의 장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bstract

The space designated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ccounted for half of all user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is now lacking, with the archives’ programs focusing on exhibitions and field trips. With this, an experience exhibition is seen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municate the value of presidential records and archives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experiential exhibition program for children about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under theories that are recently getting attention. The Presidential Archives through the Experiential Exhibition program for children proposed by this study will become a place for the cultural communication of all generatio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