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기록정리, 검색결과: 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정책 대안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 연구로서, Greenwood, Goode 등의 고전적 전문직 이론을 정리하고, 우리나라의 기록전문직이 Perk가 주장한 전문직의 6가지 기준을 형식적으로 충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문성이란 어느 시점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지향이라는 관점에서,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획득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기록전문가 교육 및 양성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전문직은 스스로 권위를 지키기 위해 교육과 훈련에 대한 자신의 기준을 정하고, 전문직 공동체의 규범을 가져야 한다는 맥락에서 기록전문직 주도의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 ARA와 미국 ACA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policy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archival studies. As a theoretical study, it organized classical professional theories such as Greenwood and Good and confirmed that the archival professionals met all six criteria for professional occupations claimed by Perk.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that professionalism is not completed at any point in time, but is a constant pursuit, education and training of archival professionals, and the legal system that supports i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ase of the British ARA and the US ACA, which are implementing a professional certification system, was analyzed in the context that professionals should set their own standards for education and training to protect their authority and have norms for professional communities. In conclusion, policy alternatives centered on the academic training guidelines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presented.

2
윤은하(전북대학교) ; 김유승(중앙대학교) 2016, Vol.16, No.2, pp.57-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노근리 학살사건 기록들이 사회적 기억을 담지하는 과정을 살피고, 그 특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이론 연구로서 사회적 기록의 특징을 분석한다. 사회적 기록은 첫째, 의도적으로 구성된 사회 구성물로 개인의 기억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기억의 가변성을 반영하며, 셋째, 다양한 측면에서 하나의 사건을 증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자는 노근리 사건의 기억과 기록의 분석을 위해 노근리 사건의 개요를 정리하고, 제1기 반기억의 시기, 제2기 기억 투쟁의 시기, 제3기 공식기억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기억과 기록의 변화과정과 특징 및 내용을 연대기적으로 살펴보았다. 제1기 구술 및 개인 소장 기록 등의 암묵적 기록, 제2기 대책위활동, 입법활동, 조사활동을 중심으로 한 기록, 제3기 특별법과 평화공원 건립 및 운영 관련 공식 기록이 각각 주로 생산되었다. 제3기는 다양한 사회 주체들이 노근리 사건을 기억하기 위해 생산한 다양한 문화기록들로 기록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how the No Gun Ri massacre records are incorporated in social memory. As a theoretical study, it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cords. First, they are social products that have an influence on personal memory. Second, they reflect variability of memory. Third, they can be used in proving an event. To analyze the memory and records of the No Gun Ri massacre, this study overviews the outline of the killings and divides it into three eras: countermemory era, memory struggle era, and formal memory era.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s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ra. The representative records produced in each era are as follows: oral, and personal records in the first period; records related to committee activities, legislative activities,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e second period; and official records on the special law,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peace park in the third period. The third period shows the scalability of the records through a variety of cultural records production to remember the No Gun Ri incident.

3
김유승(중앙대학교) ; 류반디(중앙대학교) 2015, Vol.15, No.4, pp.173-19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노근리사건 관련 기록의 평가, 선별 방법으로 삼고, Hackman와 Wornow-Blewett이 제시한 실행 모델에 근거하여 그 첫 단계인 예비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이론 연구로서 노근리사건의 개요를 연혁적으로 정리하고,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특징을 ‘협력 수집’, ‘특정 영역의 수집’, ‘결락 기록의 생산’, ‘기록화 계획’, ‘자문조직’ 등 5가지로 규정한다. 또한 전략의 발전과정과 실행 모델을 논하고, 전략에 대한 비판과 의의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을 실시하여 노근리사건 초첨 그룹을 ‘생존 피해자 및 희생자 유가족’, ‘정부’, ‘시민사회’, ‘학술연구’, ‘언론’, ‘문화예술’ 등을 구분하는 한편, 도큐멘테이션 범주를 사건기록, 진상규명활동기록, 추모기록으로 분류한다.

Abstract

The study reports a preliminary analysis for the No-Gun Ri massacre documentation strategy based on Hackman and Wornow-Blewett’s implementation model, as an appraisal and selection method for No-Gun Ri Digital Archives. It intends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process, inlcuding a history of the No-Gun Ri massacre and the development of documentation strategy. From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No Gun Ri documentation strategy processes in 5 categories: “cooperative collecting”, “collecting in specific areas”, “identifing missing areas” and “advisory group”. With these 5 categories, this study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the Hackman and Wornow-Blewett’s implementation model in the No Gun Ri case and reviews the strategy’s pros and cons. As a result, firstly, we classfy focusing groups into “victims and bereaved family”, “government”, “civil society”, “the press” and “literature and art”. Secondly, we also classify documentation categories into “massacre records”, “investigation activity records” and “cherish memor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법』을 중심으로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으로서의 공공데이터 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미비점을 비판적으로 논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학제 영역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관련 법령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공데이터와 그 유사 용어를 이론적 측면에서 논하였으며, 관련 법령의 연혁을 살펴보았다.『공공데이터법』의 제정 의의와 주요내용을 법이 규정한 관련 위원회 및 기관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제공대상 범위설정의 문제’, ‘공공데이터제공책임관의 전문성 및 기능의 실효성’, ‘공공데이터의 낮은 품질’, ‘절차법적 한계와 기록관리 관점의 부재’ 등 4가지 논점의 비판적 분석을 통해 법령을 고찰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Public Data Act and provide alternative strategies for public data management. It conduct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based o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discusses the terms, public data and synonyms from the Public Data Act, and other related laws while also studies and traces the history of related regul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 Data Act is analyzed and the major contents of the Act are examined, particularly, the contents that describe relevant committees. As a result, the article discusses five issues: relation between regulations, ambiguity of decision-making standards, ‘professionality of a public data supply officer, low quality of public data, and lack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5
김유승(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23, No.3, pp.115-136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3.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부조직법」 제26조에 따른 19개 행정각부의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개 행정각부의 정보공개 관련 규정, 지침, 훈령의 제·개정 현황을 분석하고, 비공개 대상정보 6,094건에 대한 전수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보공개심의회와 정보공개 행정소송 경험을 가진 정보공개 전문가 5인과 정보공개 업무를 담당한 바 있는 기록연구사 2인을 포함한 전문가 7인과의 면담을 통해, 본 연구의 조사 및 분석 내용을 공유, 검토하고,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의 실효성, 문제점, 제도개선 영역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첫째,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 수립 주체와 절차의 법제화’, 둘째,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의 정기적 실질적 점검 수행을 위한 제도 수립’, 셋째, ‘비공개 대상정보 세부기준 서비스 개선’ 등 3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problems and seek improvement plans based on a critical analysis of the detailed standards for nondisclosure of 19 administrative departments in accordance with Article 26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o this end, the status of information disclosure–related regulations in 19 administrative departments was analyzed, and 6,094 cases of nondisclosed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with seven information disclosure experts, the analysis contents of this study were shared and reviewed. Furthermore, opinions on the effectiveness, problems, and system improvement areas of the detailed standards for nondisclosed information were collected. As a conclusion, thre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first, the legisl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standards for nondisclosure;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regular substantive inspection of detailed standards for nondisclosure; and third, the improvement in the service of detailed standards for nondisclosure.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