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기록이용, 검색결과: 18
1
김세영(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8, Vol.18, No.2, pp.135-161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13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기초자치단체의 공무원을 기록과 기록정보서비스의 핵심적인 이용자로 인식하고, 주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기록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들의 기록이용행태와 기록에 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획득한 2017년 3분기 동안의 기록관 및 표준기록관리시스템(표준RMS)의 이용 빈도 자료를 바탕으로 기록 이용 횟수와 기록을 많이 이용하는 상위 부서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수도권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여, 일반적인 기록의 이용행태, 기록관리시스템의 이용 및 기록관 이용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운영 측면, 기록관리시스템 측면, 기록서비스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recognized the public servants of the local governments as the principal users of the records centers. It also attempted to identify their records usage behavior and the requirements of record usage so that records and services that meet their needs as the main users would be met. Therefore,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rough an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 the highly ranked departments that use records more than the others based on their usage frequency of the records centers and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standard RMS) during the third quarter of 2017. A questionnaire survey was subsequently conducted to the public servants of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identified the users’ opinion on general usage behavior, usage of standard RMS, and usage of the records center.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mprovements in the management of the records centers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the record services of the local governments were suggested.

2
성면섭(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이해영(명지대학교) 2020, Vol.20, No.3, pp.119-138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3.119
초록보기
초록

현재 대부분의 기록관리기관의 기록정보서비스는 기관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와 학술 목적의 이용자들에게 민원 성격의 행정적 절차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어, 학술 목적 이용자의 연구 활동을 저해시킨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기관의 주요한 이용자 집단인 학술연구자들이 주로 연구에 활용하는 정보원, 기록관리기관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용행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경험 및 인식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기록관리기관의 효과적인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진행하여, 75명의 설문결과와 8명의 면담결과를 받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연구자 배경정보, 활용 정보원, 기록관리기관 이용행태, 기록정보서비스 활용, 개선 요구사항 및 희망서비스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관리기관의 바람직한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oday’s information services in most archival institutions implement the same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general users and academic researchers, leading to issues hindering the latter’s research activities. As such,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the effective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sources mainly used by academic researchers, who are one of the major user groups; researchers’ use behaviors in archival institutions; and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the such institutions’ information services. In particular,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75 questionnaire responses and 8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into the researcher’s background information, information sources used, behaviors in using archival institutions’ services, information service utilization, improvement requirements, and desired services. Through the results’ implications, plans fo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by archival institutions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earchers’ needs and preferences.

3
장지숙(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09, Vol.9, No.1, pp.151-173 https://doi.org/10.14404/JKSARM.2009.9.1.151
초록보기
초록

기록학에서의 분류는 기록 자체의 내용보다는 기록이 생산되고 활용되는 맥락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활동이 반영된 기록을 업무활동 분석에 기반하여 구축된 분류체계에, 개별 기록의 내용이 아닌 기록의 집합적 맥락을 중심으로 자동분류 할 수 있는 기록 자동분류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기 분류된 기록집합체뿐 아니라 분류체계와 시소러스를 분류기준으로 같이 구축하여 상호보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분류대상기록의 범주를 할당한 후 바로, 분류된 기록의 맥락정보를 실시간으로 분류기준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도 포함하였다. 설계된 기록 자동분류시스템은 맥락정보의 품질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이 좌우되는 한계가 있지만, 이를 통해 맥락정보를 제대로 충실하게 남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The classification in the Records and Archives Sciences focuses on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 producing and utilizing records rather than their contents. This study aimed at designing an automatic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to enable an automatic classification focusing on the aggregation of the context of record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individual record in the classification scheme, structured on the basis of business activities analyses for records reflecting the business activities. The automatic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was designed to have mutual supplements by constructing the classification scheme and thesaurus together as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as well as the aggregation of records that have been already classified. Additionally included are plans to apply the classified contextual information of records to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on the real-time base right after the category assignment of records to be classified.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as the designed system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contextual inform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ystem could lead to ensure that the contextual information of records should be more substantial.

4
김성우(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이해영(명지대학교) 2020, Vol.20, No.3, pp.99-118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3.099
초록보기
초록

기업의 기록관리를 통한 가치창출과 편익제고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와 견주어도 부족함이 없는데 우리나라의 기업기록관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가이드라인도 제정되어 있지 않다. 글로벌 기업들은 업무과정의 산출물인 기록을 정보자산으로 축적하고 이용하여 업무의 시행착오를 줄이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기록관리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현용기록관리보다는 사사편찬이나 사료관리 등 비현용기록관리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성공적으로 기록관리를 하고 있는 K사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현용기록 축적과 이용을 통한 가치와 편익을 찾아보고, 기업기록관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시대의 중요한 자원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용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기업기록관리를 조명하며 기업기록관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reation of value and the enhancement of benefits through records management by enterprises are comparable to those by public institutions. However, Korea has yet to establish guidelines on corporate records management. Global companies are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rial and error in their work through the accumulation and use of records as information assets, which serve as the output of their work processes. While Korean companies agree on the necessity of corporate records management, most of them are concerned with archival (noncurrent records) management, such as historical compilation and historical data management, rather than records (current record) management. Therefore, through a case study of a K-company with effective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identifies methods to promote the accumulation, use, and management of corporate records in line with the search of value and benefits. Moreover, the company emphasizes the management of corporate records as a big data platform that accumulates and uses data, which is an important resourc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poses measures for their revitalization.

5
정우철(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6, Vol.16, No.1, pp.195-221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195
초록보기
초록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낮은 현실 속에서 이용자들의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는 기록관에서 이용자들의 실질적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개선을 위해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슷한 이용자군을 이루고 있으며 이용자 간 상호작용이 원활한 대학기록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서비스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서비스 평가도구를 분석하여 설문지가 작성되었으며,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13개 대학기록관에서 113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설문결과는 적합성 검증을 통해 4개 영역(이용결과, 기록관정보제공, 기록관접근성, 상호작용)의 평가 척도로 재구성되었으며, 이에 대해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용자들은 상호작용영역에 대해서는 높게 평가한 반면, 기록관정보제공영역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T검정 결과 검색 웹사이트를 구축한 기관 및 전자시스템으로 기록을 관리하는 기관이 세부영역에서 이용자에게 더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회귀분석 결과 상호작용영역 및 기록관정보제공영역에 대한 평가결과가 이용결과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In a situation where the recognition of archival services remains minimal, an evalu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y users could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users’ practical needs and present helpful information for improved services. A service evaluation by users using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in university archives, which can similarly categorize their user groups and have frequent interactions with the users for the provision of services. Questionnaire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archiv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the evaluation tools i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From April to October 2015, 113 users’ evaluation results were collected from 13 university archives. As a result of goodness of fit tests, the users’ service evaluation items were categorized into four parts: Use Result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Archives, Accessibility to Archives, and Interaction. For those four parts, evaluation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ers evaluated Interaction parts highly while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Provision of Information on Archives. T-test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archives with search engines and with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were evaluated higher than archives without such technology.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Archives part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Use Results part.

6
정혜정(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8, Vol.18, No.3, pp.165-191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165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원 등 일부 기록물관리기관에서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이용자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또한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이러한 기관과 소통하고,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채널에 제시된 댓글이나 민원의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이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소통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서비스 제공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 소셜미디어와 국민신문고를 통해 나타난 이용자의 인식 및 정보요구를 분석하였다. 국가기록원 대표 페이스북, e-기록 페이스북, 부산기록관 페이스북, 대통령기록관 페이스북의 게시물 및 댓글과 국민신문고의 민원에서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 나온 글을 대상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기록물관리기관에서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other archives now provide services through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or Twitter, and use such platforms to interact with users. To be specific, users communicate with and get information from these archives via the National Sinmoongo, the place for civil petiti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users’ needs and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by analyzing the comments and petitions that have appeared in these channel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users’ perceptions and information needs shared through social media and the National Sinmoongo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social media content analyzed here were posts and comments from the Facebook accou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e-Record, the Busan Archives, and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Also, sentences containing the words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hat have appeared in texts in the National Sinmoongo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that could activate the user-center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archives and records centers were made.

7
정창오(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8, Vol.18, No.1, pp.1-27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001
초록보기
초록

국내외 기록물관리기관에서는 기록정보의 이용을 확대하고자 전시, 교육 및 출판 등 다양한 형태의 확장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중 출판프로그램은 휴대성이 좋고 서비스 범위가 넓기 때문에 기록관의 기능을 알리는 홍보 효과가 뛰어나다. 또 소장 기록물의 검색도구,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자료, 기록관리 업무 매뉴얼, 기록관 이용 안내 등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해 좀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 NARA와 국내의 국가기록원의 출판프로그램 현황과 발간되고 있는 출판물의 유형을 조사하고, 출판 담당 조직 및 출판 과정 등을 자세히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시사점을 기반으로 하여 국가기록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출판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기록관리기관에서 앞으로 출판프로그램 운영 시 고려해야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Both domestic and overseas archives provide various forms of outreach services including exhibitions, educations, and publications for extended users. In addition, the publication program is portable and has excellent effects within its scope. Providing various and useful information about archives is significant because they can be important resources for historical research and provide good guidelines for archival us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ation programs, types of publications, the publishing organizations, and publication process managed by both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publishing programs of the two archives, the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ation program of NAK and gave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 웹사이트의 검색어 분석 결과를 이용자들에 대한 기록 정보서비스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검색어 분석을 콘텐츠서비스 등 기록정보서비스 개발의 한 방법론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기록관이자 주제기록관으로서 일반 이용자들의 폭넓은 관심을 끌만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대통령기록관의 검색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대통령기록관의 웹사이트 검색어 분석 결과는 (1) 일반 검색어 분석; (2) 대통령 이름별 분석; (3) 검색어 주제 영역 분석 등 세 가지로 제시되었다. 검색어 분석 결과는 콘텐츠서비스 및 웹사이트 메뉴 설정, 전시,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arch terms analysis of archival Web sites could be utilized effectively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he focus was on designing a methodology which brings the search term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closer, especially for the contents servic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esidential Archives because it can be characterized as a public archives as well as subject archives. It also tends to draw interests from a broad range of general public.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three dimensions: (1) general search terms; (2) names of individual president; (3) subject categories of search terms. The results of search terms analysis have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cluding contents services, decision on the menu of the Web sites, exhibition, and education.

9
이혜원(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5, Vol.15, No.3, pp.219-245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219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은 다양한 확장서비스 방법들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에게 홍보를 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견학은 유용한 서비스 방법이나, 기록관 견학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기록관 견학에 대해 연구하고 바람직한 프로그램을 제안해보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사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대통령기록관 네 곳의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하였으며, 국내의 유사기관으로 견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김대중 도서관, 외교부 외교사료관과 국립중앙도서관의 견학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대통령기록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견학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곧 세종특별시에 단독청사로 이전할 대통령기록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바람직한 견학프로그램 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rchives should promote services to users using various outreach service methods. Although the archives’ tour program is one of the effective means of services,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the archival tour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archival tour programs and tried to suggest a desirable tour program, with the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as a case. For this study, four U.S. Presidential Libraries’ tour progra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so, tour programs offered in similar organizations in Korea, such as Kim Daejung Library,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were analyzed. Current tour programs offered by the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were also analyzed and some limitatio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which will be moved to independent building in Sejong City soon, desirable direction to organize tour programs for various user groups were suggested.

10
이유빈(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7, Vol.17, No.1, pp.217-244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1.217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은 아키비스트의 개입 없이 자유롭게 기록을 검색할 수 있게 되었지만, 기존의 기록물 검색 시스템은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단편적인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시맨틱 웹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ICA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기록물 기술 표준인 RIC(Record In Context)을 개발하고 있다. RIC의 개념모델과 온톨로지는 시맨틱 검색을 구현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에, 이것이 실제로 어떻게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될 수 있을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기록물 검색 시스템이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지 제안해보았다. 시맨틱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검색 시스템의 사례 3가지를 선정해 이용자들의 인터뷰를 통한 사용경험 평가를 진행하였고, 여기에서 얻은 시사점을 기반으로 하여 기록물 검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4가지 측면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users can freely search records and archives without the involvement of archivists. However, existing records retrieval systems show only partial search results, which do not consider the users’ inten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semantic web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and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ICA) is working to develop RIC (Records In Context), a new archival description standard, which reflects the trend. The conceptual model for archival description and its ontology of RIC are the basis for implementing semantic-based retrieval.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iewpoint of the users on how the records retrieval based on meaning should be designed and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ree cases of systems, which are built as semantic web technology, and conducted interviews of the users for the evaluation of the systems based on user experience. This study proposes the kind of interface that can be implemented for the ontology-based record retrieval system.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