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기록서비스, 검색결과: 13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6대 대통령기록(기록관리비서관실)을 대상으로 기록인식론적 관점에서 조사·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관리 재설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관리비서관실의 기능을 분석하고, 대통령기록관에 이관된 16대 대통령기록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개관하였다. 다음으로 ‘업무기능 및 단위과제’, ‘기록 철·건’, ‘기록 건’을 중심으로 ‘생산시스템 유형’, ‘보존기간’, ‘보존기간 책정 사유’, ‘관리부서’, ‘이관일 및 입수유형’, ‘기록형태’, ‘전자기록 유형’, ‘공개여부’, ‘생산연도’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연역적(top-down)인 방식으로 기록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 및 문제점을 정리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록의 ‘재조직’, ‘서비스’부분에 대한 대통령기록관리 재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12
권미정(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5, Vol.15, No.3, pp.115-140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115
초록보기
초록

교회기록물은 종교적 의미와 역사 문화적 가치, 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잘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회 기록의 가치와 기록관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이해와 협조, 예산과 인력 지원 등을 받기가 어려운 환경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개신교 기록관의 서비스 사례 조사와 새문안교회 기록관의 현황 분석,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문안교회를 중심으로 한 개신교 기록관 운영 활성화 방안을 환경, 서비스, 역할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교회기록관의 교육, 전시, 출판, 홍보 등의 서비스는 기록관의 역할과 필요성을 재조명하고 모기관인 교회에서 필수적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것이다.

Abstract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church documentary for religious reasons, including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e church archives should be excellently managed. However,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church records and archives makes it very difficult to have an actual grasp of its status and practical supports, such as budget and personnel, for records management. In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and current status of domestic Protestant church archives, user survey of Saemoonan Presbyterian church and interviews of church archives records officer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ree parts of the proposed plan of the Saemoonan Presbyterian Archives were suggested. Education, exhibition, publication, and promotion of the church’s archival services will help redirect the roles and values of the archives, which will make it an essential part of the church.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소장기록물을 학술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이용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13개 대통령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검색, 열람 및 연구지원 서비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대통령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열람 및 연구지원 서비스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대통령기록관 직원 3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면담 내용을 국내 현황조사에 추가하였다. 또한 대통령기록물을 연구논문 작성에 활용해 본 적이 있는 이용자 3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국내 대통령기록관 검색서비스에 있어 통합 검색과 주제어를 통한 접근 및 연관된 기록물에 대한 검색이 필요하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대통령기록물 열람에 있어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의 제공과 함께 정보공개청구의 틀 안에서만 운영되는 열람서비스가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기록정보서비스로 변화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용자의 관심 연구주제와 연관된 기록물을 제시하고 중요한 기록물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등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ervices of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for users who utilize holdings of the archives for scholarly purposes, as well as to examine users’ perception of the servic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13 U.S. presidential libraries’ Web sites in terms of their research services. In addition, it examined the content of a Korean presidential archives’ Web site regarding its research services. Telephone interviews of three staff member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were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services. With this, three users who have written research papers by using presidential records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It was found that federated search services, access by subjects, and related records of search results were considered necessary by users. A variety of digitized records should be provided online and the services needed should be changed from mere processing of FOIA requests to archival reference services to meet users’ needs. Congruently, the presidential archives should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to offer records relevant to users’ research interests and to provide the compilation of selected records crucial for research.

14
조민지(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6, Vol.6, No.2, pp.157-184 https://doi.org/10.14404/JKSARM.2006.6.2.157
초록보기
초록

한 나라의 중심에 서 있는 대통령과 관련하여 생산해 낸 기록물은 대통령직 수행의 증거이며 역사적 핵심기록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역사가 그들 활동의 증거를 토대로 심판할 수 있도록 이 핵심 기록을 제대로 생산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잘 관리해야할 책무가 있다. 역사적 평가는 증거 없는 기억만으로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2007년 초 현재, 대통령기록물의 메카가 될 대통령 기록관 설립에 관한 의무조항을 포함한 대통령기록물관리법률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대통령 기록관은 기록관 기능에 박물관, 교육 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다기능적 국가기관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이용도와 사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수요자 지향적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 편의보다는 이용자 위주의 대통령기록관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 대통령 기록 박물관의 프로그램을 선진 사례로 먼저 살펴본 후, 한국 대통령 기록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적용 가능한 예를 제시하였다.

Abstract

Presidential records which have produced during a presidency as a national center are the evidence of the presidency and main historical records. We have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fundamental systems to produc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and to manage such main historical records which could help people and history to judge the presidency based upon the evidence of their activities. The historical appraisal could be achieved not by memory but by evidence. A draft of a proposed law on the management of presidential records which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libraries for the presidential records Mecca is being moored at the National Assembly now. The presidential library is to be considered as a multi-functional national institution which is carrying out the role as an Archives, Museums and Center for the education.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for a presidential library to provide user-oriented services to enrich the usability and the value of records, recognizing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paradigm from a supplier-oriented system to a customer-oriented system.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develop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focusing on customers rather than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reviewed programs of the U.S. presidential libraries as a developed case and proposes guidelines and applicable sampl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residential library service programs.

15
김소연(동의대학교) ; 이은주(동의대학교) 2022, Vol.22, No.4, pp.87-107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4.0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정보서비스의 의미와 범주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성과를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서비스의 정의, 유형, 대상을 검토하여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183편의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내용분석은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양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전반적인 연구추이 분석과 더불어 노드엑셀을 활용하여 확대된 내용분석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가 2006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점차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 패러다임이 적용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논의의 대상과 연구방법, 게재 학회지 등이 편중되어 있는 한계 또한 확인하였고, 향후 논의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categor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analyze its research results. To this end, the research scope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as set by reviewing the definition, types, and subjects. A total of 183 journal articles were gathered,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stages. In addition to the overall research trend analysis bas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an expanded content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attempted using Node Excel.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began in earnest after 2006 and that the user-centered paradigm is gradually being applied. However, limitations confirmed that the subject of discussion, research methods, and journals were biased,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future discussion was suggested.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록원의 이용자가 실제 이용하는 기록물 유형과 이용목적을 파악하고, 이용에 기반한 기록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가기록원의 기록 이용 및 제공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 연구에서는 탐색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현황과 쟁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통계자료를 통해 국가기록원 이용자의 기록열람 실태를 확인한 후 인터뷰를 통해 기록유형별 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인력(서비스 제공자의 역량), 도구(검색도구), 기록(적절성과 충분성)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록제공서비스의 성공요인과 위험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가기록원 기록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권리보호의 무기고’이자 ‘학술정보원’이라는 아카이브 역할을 고려하여 각기 다른 서비스 전략을 수립할 것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use-based policies for archival reference service by investigating the actual archival uses and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Considering tha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overall archival reference service by NAK, an exploratory research method is ado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ervice. In this study, the use of archival records in NAK is investigated from statistical data, and service cases by record type a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archival service professionals of NAK. Then, the success and risk factors of the archival reference service are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of human resources (reference archivists’ competency), tools (finding aids), and records (appropriateness and sufficiency). Based on these analyses, archival reference service policy directions a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two different archival roles as “arsenal of rights protection” and “academic information provider.”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관은 국가적 보존가치가 높은 중요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곳이며, 교육과 연구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통해 기록물에 대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한다면 현재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잠재적 이용자를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관 웹사이트 평가에 적합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 지표를 이용하여 국내외 국가기록관 웹사이트를 평가해봄으로써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의 개선안을 영역별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national archives websit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schemes for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s website. As the first step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national archives and features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it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national archives websites to evaluate the website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composed of 3 evaluation areas, 10 evaluation items, and 42 evaluation questions. Third, evalu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i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ustralia, Canada and Korea.

18
김태영(전북대학교) ; 김건(전북대학교) ; 심갑용(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4, Vol.14, No.2, pp.83-115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2.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관을 이용하는 학술연구자에게 심층적인 연구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지원서비스의 정의 및 유형을 파악하였으며, 정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외 대통령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연구지원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미국 대통령기록관 담당자에의 질의응답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제공받은 자료들을 현황분석에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여섯 가지 분야에서 개선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연구지원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범주별로 연구지원서비스 모형을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support service in presidential archives for users who use archives for scholarly purpos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Moreov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presidential archives’ Web sites between the U.S. and Korea.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terviews via e-mail with an archivist working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the U.S. and gained the materials from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through a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It was found that six improvements were considered by academic users to meet their needs. Consequently, based on the analysis, a research support services framework consisting of a service category was developed. With the proposed services, the academic utiliza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can be facilitated.

19
김희정(국제백신연구소(IVI)) 2008, Vol.8, No.1, pp.27-43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이 이용자들을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어서, 선행연구 및 선진국의 사례들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기록관의 교육서비스 프로그램은 첫째, 주로 초중등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었으며, 둘째, 현행 교과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일차 사료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셋째, 교사 및 교육전문가, 보존기록전문가(archivists)들간의 구체적이고도 지속적인 협력관계가 병행되고 있었으며, 넷째, 직접적인 강의 형태 외의 책자자료 및 웹 기반 자료로도 다양하게 교육기능이 제공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대상 주제 영역은 역사 영역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및 인문 예술영역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educational service programs of archives have been reviewed through articles and case studies. As a result, five main educational services of archives were found. First, educational services are provided to K-12 students and teachers. Secondly, most educational services have focused on application of primary resources connected to current educational courses. Thirdly, cooperations among teachers, education experts, and archivists have been proceeded. Fourth, besides the direct instructions, printed materials and web based educational contents were also provided for students. Fifthly, utilization of primary resources were applied not only to history area, but also many subject areas such as social science, arts and humanities.

20
강혜경(전북대학교) ; 박재홍((주)유라클) ; 김용(전북대학교) 2010, Vol.10, No.2, pp.7-29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기반의 기록정보유통의 활성화 및 개인화된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RSS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 시스템의 구현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RSS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요구되는 XML문서 형식,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구현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implement RSS-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activating online-based archival information circulation and providing personaliz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o achieve the goals, XML document formats and database schema for four selected items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Also, an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ervice system is evaluated to with a general web browser.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