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기록관리학, 검색결과: 3
1
김혜영(사단법인 한국기록전문가협회 교육연구반) ; 이경남(한신대학교) ; 김장환(국회도서관) 2022, Vol.22, No.1, pp.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관리 전문직의 경험 이면에 있는 인식과 그 의미를 해석하여 현재 처한 상황과 핵심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가단체의 교육 서비스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석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한 질적 데이터 분석 결과, 본 연구는 기록관리 현장의 요구 상황, 기록관리 전문직 핵심 역량, 교육 서비스 방향의 3개 범주와 10개 상위주제, 30개의 하위주제와 82개의 의미단위를 생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단체의 교육 서비스 방향으로, ‘업무 혁신을 위해 외부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기관 간 소통 및 공론화를 위한 학습 기회 제공’, ‘새로운 파트너십과 실질적인 학습 기회 제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기록관리 전문직이 처한 상황 속에서 실질적으로 요구 받고 있는 핵심 역량을 파악함으로써 전문가단체가 집중하여 지원해야 할 주요한 교육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through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perception and its meaning behind their experiences and, based on them, to seek the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using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three categories of field need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as well as 10 super-topics, 30 sub-topics, and 82 semantic units. Based on this,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secure external driving forces for work innovation, the provision of learning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nd public discussion among institutions, and the provision of new partnerships and practical learning opportun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aving derived the main educational service directions that professional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and suppor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초록보기
초록

최근 기록이 지닌 정보로서의 속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히 제기되고 있다. 이는 전자기록 환경을 맞아 행위에 대한 증거로서의 속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온 동향에 대한 반향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기록이 지닌 정보로서의 속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은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록과 정보 간의 관계 정립을 위한 일환으로 정보 컨티뉴엄 모델을 분석하고자 한다. 정보 컨티뉴엄은 레코드 컨티뉴엄을 기반으로 레코드키핑 관점에서의 새로운 정보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 체계로, 레코드키핑 내에 존재하는 정보관리를 위한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개념적 틀을 제공해준다. 이에 2장에서는 레코드 컨티뉴엄 개발 이후 정보 컨티뉴엄이 개발된 배경 및 과정을 살펴본 다음, 구조주의 이론 등 정보학 이론을 차용해 정립한 정보의 개념을 레코드 컨티뉴엄과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정보 컨티뉴엄의 개념적 구조와 함께 정보의 활용 목적 및 방식을 고찰한 후, 레코드키핑 내에 존재하는 정보관리를 위한 요소들을 구조적으로 도식화한 정보 컨티뉴엄 모델상의 4개 차원 및 속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4장에서는 정보 컨티뉴엄이 지닌 의의 및 한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information continuum model as part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rds an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ontinuum is a theoretical system designed to establish a new information concept from the record-keeping point of view based on the record continuum. It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identify the elements for information management that exist in record-keeping. Accordingly, in Chapter 2,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information continuum development, which followed after the record continuum development, were reviewed. Then, the concept of information established by borrowing information science theory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record continuum. In Chapter 3,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continuum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information utilization were considered. Afterward, the four dimensions and attributes that structurally schematize the elements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 record-keeping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Chapter 4 tried to present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information continuum.

3
한상은(성균관대학교) ; 박희진(한성대학교) 2022, Vol.22, No.1, pp.201-217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2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위키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 자원에 대한 접근을 높이고 구축한 데이터를 공유,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기록 자원의 기술(description) 표준과 디지털 아카이브의 데이터 관리 및 공유와 관련된 연구들을 통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 데이터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위키데이터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고 위키데이터를 적용한 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위키데이터 기반의 기록 데이터 개방, 공유와 재사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위키데이터를 디지털 아카이브에 적용할 때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최근 데이터 개방, 공유 관련 기술의 동향을 이해하고 실제 아카이브 현장에서 위키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se Wikidata to increase access to archival resources and see ways to share and reuse constructed data. To this end, the status of digital archives locally and abroad was identified using the description standard of archival resourc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discussed in the archival science field and the research related to data management and sharing of digital archiv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ikidata were identified, and cases of digital archives applying Wikidata were investigated. The case analysis suggested implications for data sharing and reuse as well as th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Wikidata to digital arch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services using Wikidata in the actual archive field by understanding the recent trends in data open and sharing related technologies in constructing digital archiv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