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기록관리의 역사, 검색결과: 2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전자기록의 등장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은 기록학계에 기술적, 이론적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기록학 패러다임의 다원화와 커뮤니티 아카이브의 확산으로 이어지며 서구 기록학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추세는 기록을 효율적 관리 대상으로, 기록관리의 기술적 문제를 강조하던 과거의 경향에서 벗어나, 기록과 기록관리의 의미를 사회적 산물로 이해할 것을 요구했다. 기록학 내부에서 행해진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록의 범주를 광범위하게 확장시키고 다원화된 새로운 기록 전통을 정립해 나가고자 했다. 현재의 변화는 표면적이고 일시적인 기술적 문제에 한정된 것이 아닌 기록의 본질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데, 본고는 북미 기록학계가 추구하는 변화에 대해 문헌정보학과 역사학의 변화의 맥락 속에서 그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troduces the paradigm shift in archival studies that occurs in north America. Although the dominant paradigm in the archival studies-the positivism paradigm-greatly contributed to build modern archiv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during last decades, new ideas and technologies led the archival communities to re-identify their social roles and powers and to adopt new values of archives and archivist. This essay argues that this changes is essential to our future and we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hanges from the broader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of archives studies, information studies, and history.

2
이주연(부산대학교) ; 김희영(부산대학교) 2011, Vol.11, No.1, pp.299-326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2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부산지역 철도역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들을 조사하여 그 현황을 밝히고, 이 기록들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에 있어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17개의 철도역을 방문하여 소장 기록을 조사한 결과, 1) 공공영역의 기록관리에서 이탈된 기록이다. 2) 주요 기록 유형은 역사(驛史)와 역세보고서, 운수운전설비카드, 사진 자료, 기타 자료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3) 폐기나 분실 등의 이유로 각 역마다 소장 기록의 규모에는 차이가 있다. 4) 각 유형별 기록들은 대체로 비슷한 서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역사(驛史)나 역세보고서 등에 담긴 서술과 이미지는 역의 모습, 역 주변의 경관, 지역민들의 생활상과 경제상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데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도역 소장 기록과 함께 각 기관에 흩어져 있는 공기록, 사기록의 잔존양태를 파악하여 로컬리티의 기억을 재구성해야 하며, 구술기록을 통해 결락을 메울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This paper surveyed records and archives which the railroad stations in Busan possesses and illustrated the status of them. Also we examined whether records and archives of railroad stations contain the memories of localities or not. We visited 17 railroad stations in Busan and we found that 1) the archives in railroad station are fugitive archives 2) the records or archive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tation's history', ‘report on station-adjacent area', ‘report of drive and transport', ‘photos’, and ‘other materials’ 3) the volume of such archives in 17 stations are different because of disposal or missing 4) Each archives in same category have same form. Especially the descriptions and images in ‘station's history', ‘report on station-adjacent area' represent much to memories of locality, but we also must examine the public records, private records related railroad station in Busan for documenting localities. To bridge the gap we suggest to collect oral records by relevant perso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