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계속교육, 검색결과: 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전시와의 비교를 통한 아카이브 전시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아카이브 전시현황 및 박물관 전시와의 비교를 통한 아카이브 전시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국가기록원과 국립민속박물관의 건국 60년 기념전시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아카이브 전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개선 방안으로는 ‘전시 분야별 뚜렷한 목표 고객 설정, 전시 주제 및 대상에 따른 적정한 메시지 전달, 특정 주제형 전시 지향, 관람객의 피드백을 반영한 전시 기획, 전시 교육 서비스의 활성화, 소장 근․현대 자료의 중립적 해석과 생활문화사 자료 중심 연출’ 등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eeks some ways to improve archives exhibitions by comparing with museum exhibi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verviews the present state of domestic archives exhibitions and extracts some features compared to museum exhibitions. And it suggests some improvement ways for archives exhibitions especially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ecial exhibitions hel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in memory of the 60th anniversary of National Foundation. It derived some ways to facilitate archives exhibitions hereafter, they were targeting distinctive customers for each area, communicating proper message for the theme and target of exhibitions, orienting theme-typed exhibitions, reflecting customers' feedback, exhibition educational services' invigorating, neutral interpretation of modern archives, and offering material on life and cultural history in priority.

52
서은경(한성대학교) ; 정경희(한성대학교) ; 최상희(한국학술진흥재단) 2006, Vol.6, No.1, pp.65-92 https://doi.org/10.14404/JKSARM.2006.6.1.065
초록보기
초록

기록정보의 관리와 보존은 활용을 전제로 행해질 때 그 의미와 가치가 살아난다. 따라서 기록관들은 기록정보의 활용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록정보의 검색 및 열람이라는 단순 서비스를 탈피하여 이용자 중심의 보다 적극적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을 활발히 하고 있는 각국의 국립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유형별로 즉 1) 교육자와 학생을 위한 학습지원서비스, 2) 연구자를 위한 연구지원서비스, 3) 일반 이용자를 위한 특정주제서비스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서비스 내용을 심층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국의 서비스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을 비롯한 기록관에서 기록정보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야 할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록관별 기록정보 이용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rovid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carried out by archives. The archives, now, make efforts to provide user-oriented information services which can help users to utilize records and archives more easily.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user-oriented information services, which National Archives in UK, USA, and Australia have provided actively, in terms of learning support services, research support services, and Special services for public. And then, the study suggests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user-orient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for archives and the institutes of records management.

53
서혜란(신라대학교) ; 옥원호(경남대학교) 2008, Vol.8, No.1, pp.235-256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235
초록보기
초록

정부기관에 근무하는 기록연구사들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 제도운영의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특성은 Hackman과 Oldham의 직무특성요인을 포함하여 전문성, 역할갈등, 스트레스, 이직의사의 9가지 항목으로 조사하였다. 직무환경은 의사소통, 참여, 인간관계, 상급자, 교육훈련의 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직무만족은 일반적 만족도, 보람, 소명감의 3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는데 모든 항목에서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제도운영의 개선을 위한 과제로는 조직편제, 업무분장, 인사관리,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 기록관의 협력을 중심으로 의견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resent study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identify a solution to the issues concerning the work conditions, job satisfaction, and operational systems of archivists working in the Korean government agencies. Job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the five-factor structures of Hackman and Oldham's(1976) Job Characteristic Models,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Job environment was measured in terms of communication, participation, social relations with coworkers and superiors, and job training.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job meaningfulness, and commitment. Operational systems was analyz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arrangement, role assignment, personnel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centers. These analyses produced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n personnel management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54
송나라(전북대학교) ; 장효정(전북대학교) ; 최효영(전북대학교) ; 김종혁(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6, Vol.16, No.1, pp.9-40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009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기록관 전시관을 방문하는 이용자 중 유치부와 초등학생들의 누적 인원이 전체 이용자의 절반에 가깝지만 이들을 위한 공간이 부족한 실정이며, 대통령기록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전시관람 및 현장 견학 수준에 머물러 있다. 아동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대통령 기록물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체험전시임을 고려할 때, 최근 주목받고 있는 체험경제이론(4Es)이 제시하는 체험요소인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교육(Education), 현실도피(Escapist), 그리고 미적(Esthetic) 4가지를 적용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어린이 체험전시관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린이 체험전시관을 통해 대통령기록관은 전 시대를 아우르는 문화소통의 장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bstract

The space designated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ccounted for half of all user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is now lacking, with the archives’ programs focusing on exhibitions and field trips. With this, an experience exhibition is seen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municate the value of presidential records and archives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experiential exhibition program for children about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under theories that are recently getting attention. The Presidential Archives through the Experiential Exhibition program for children proposed by this study will become a place for the cultural communication of all generations.

55
남영준(중앙대학교) ; 서만덕(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2009, Vol.9, No.1, pp.175-196 https://doi.org/10.14404/JKSARM.2009.9.1.175
초록보기
초록

정부 및 공공기관은 현재 사회, 문화, 복지, 교육 등 국가 전 영역에 걸쳐 과학적인 정책결정을 도출하는 수단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생산되는 정부 여론조사자료는 정부부처별로 산재하여 관리되고 있으나 수집 및 관리체계 부재로 인하여 일부자료가 누락되거나 소실되고 있다. 왜냐하면, 정부 여론조사자료가 대부분 인쇄자료 형태로 분산관리되기 때문에 통계적 활용이 불가능하며 자료접근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여론조사자료의 장기적인 보존․활용을 위해 여론조사자료의 관리․보존현황에 대한 국내외 사례 분석, 문헌연구, 관련 표준분석을 실시하여 수집정책, 평가기준, 통합메타데이터, 자료변환절차, 보존포맷으로 구분하여 아카이브 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re conducting public-opinion surveys as means of drawing the scientific policy decisions throughout the country's whole sectors ; society, culture, welfare, education, etc. The Government Survey Data have been under management by each governmental department, but the improper ways of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have led to omissions and losses of some data. Also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tatistic usage and access to the data due to the fact that the data are managed dispersedly in the form of printed materials. Accordingly, to make the survey data available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and usage, this study suggests collection policy, standard of evaluation, metadata, the procedure and method of converting materials, preservation format.

56
공민은(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9, Vol.19, No.3, pp.1-27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001
초록보기
초록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은 대학의 기능적, 사회적, 개인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지지만 여러 주체들이 생산해 내는 기록의 양이 방대하고, 관리 장소가 분산되어 있으며, 그 유형과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 이에 따라 학생 기록이 가지는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실행은 부진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연구는 대학의 행정 기록을 제외한 학생기록을 ‘학생 관련 기록’으로 정의하고, 교육 기록, 학생 창작 및 연구 기록, 학생 활동 기록으로 범주화하였다. 각 범주별로 국내외의 모범 사례를 살펴보고 명지대학교의 현황을 살펴본 후, 각 범주별로 적합한 관리 방안과 종합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Student records are essential for the functional, social, and personal aspects of the univers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manage such records because of the vast amount produced by several agent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university’s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various types and forms produced. Despite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student records, Myongji University implements its records management system at a sluggish pace. This study defined students’ records except for the administrative records of the university as “student-related records” and categorized them into education records, student creation and research records, and student activity records. After examining the best practices in Korea and abroad,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Myongji University’s student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proposed appropriate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s accordingly.

57
김예지(경북대학교 일반 대학원 기록학) ; 이성신(경북대학교) 2019, Vol.19, No.3, pp.179-204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179
초록보기
초록

소방기록물의 관리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D광역지방자치단체 본청 산하에 소속된 소방안전본부와 소방안전본부 직속기관인 8개의 소방서를 그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생산된 소방기록물을 생산․보존․처분이라는 기록관리 프로세스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록물 이관 규정과 검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행정박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록물평가심의회 이력 관리를 재고할 필요가 있으며 비전자기록물의 물리적 측면에서의 최신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소방기록물 관리를 위해서는 소방기록물 관리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하고, 소방기록물의 자체관리를 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며, 보류기간 관리 이력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fire services records of local government D in the metropolitan area.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2013 to 2017 based on the production, preservation, and disposition processes of recor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unkept regulations to transfer the records, 2) a lack of understanding of archival objects, 3) reconsideration of the history management of the records appraisal committee, 4) and an on-site update of recor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or an effective fire services records management: 1) training for the fire services records management, 2) proper budgeting for the records management, 3) and secured metadata for the history management of records.

58
전슬비(한성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 강순애(한성대학교) 2016, Vol.16, No.1, pp.61-88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0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정보공개제도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보공개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연구와 기관별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정보공개 전담 부서 설치 및 업무 증가에 따른 인력 배치 등의 제도 개선, 통일성 있고 표준화된 사전정보공개제도 운영 지침의 필요성, 원문정보공개제도 교육 횟수의 확대 등이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reorganization pla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by researching on problems with regard to the system’s actual operation. For that purpose, this study has examined issues by conducting an investigation regarding a survey by personnel in charge of the system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By examining the issues presented, a number of problems were identified for which this study suggests plans for solutions. The solutions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 all agencies must establish a department dedicated to information disclosure and improve their system to meet any increase in the amount of work by flexibly allocating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the workload, b) a uniform and standardized operation guide must be created, c) education programs with regard to the origin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should be expanded, and d) so 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에 유용한 역량을 중심으로 기록관리전문직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역량을 직업적 역량인 직무, 지식, 기술과 내면적 역량인 흥미, 성격, 가치로 나누고 O*NET(미국직업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55개의 역량 요소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교 소속의 기록물관리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설문 응답은 PASW 18.0을 이용하여 중요도와 보유수준 및 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기록관리전문직이 인식하는 역량의 중요도와 보유수준 및 이 양자의 차이를 제시하였으며, 소속기관과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제시하였다. 또한, O*NET에 나타난 역량의 중요도 순위와 비교하여 미국과 한국 기록관리전문직의 인식 차이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importance and holdings of competenc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s and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ntum. For these purposes, I derived six competencies(tasks, knowledge, skills, interests, work values and attitudes) from O*NET and used this by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to archivist and records managers in National Archives, central government agencies, municipalities, school districts and universities. Through this analysis, I seized core competencies and holdings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ntum by organization and career. In addition, I suggest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competency importance.

60
권정아(이화여자대학교) ; 이제혁(중앙대학교) ; 진숭식(네이버시스템(주)) 2011, Vol.11, No.2, pp.121-142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2.121
초록보기
초록

시청각기록물의 생산이 증가되고 포맷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생산만 이루어지고 있을 뿐 이관 및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앙부처의 시청각기록물 현황을 생산 및 등록, 관리 및 활용, 이관, 전용 프로그램 관리 운용 현황과 문제점을 4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및 전용 S/W 등 시청각기록물 관리의 프로세스 도구의 개발, 시청각기록물 관리 단계별 표준화, 시청각기록물 담당자의 인식변화와 기록관리 교육, 시청각기록물을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의 필요, 국가기록원의 시청각기록물 전문 인력의 충원 등이 필요하다. 더불어 향후 활용과 보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amount of audio-visual records production is growing rapidly and its formats are various. However, the audio-visual records are hardly managed and transferred. There are four different problems for checking how to transfer and manage audio-visual records of the central government: production and register, management and utilization, transfer, and dedicated program management.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process tools for audio-visual records, such as dedicated processes and S/W; the standardization of audio-visual records' management; the changes of audio-visual records officer's recognition; the need to educate dedicated audio-visual records managers; the recruitment of professionals dedicated to audio-visual record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into practical use and preservation of audio-visual record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