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정보서비스, 검색결과: 1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기억을 모으는 기관의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선행연구 및 디지털 큐레이션 모형들을 살펴보았으며, 역사전공자에 대한 표적집단면접법(FGI)을 실시하였다. 본 프레임워크는 거시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개발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추상적인 모델이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데이터 생명주기를 고려하였으며 단계별 연계 활동을 강조하였다. 둘째, 역사 정보의 속성 상 동일한 내용이 다양한 기관에 의해 노출되어 지는데 그 정보는 국가별로 기관별로 다른 가치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정확한 가치 판단을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기능 및 데이터 정리 체계를 설명하는 기반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본 프레임워크를 통해 기존 기록정보시스템을 진단할 수가 있었다. 넷째, 기 구축된 콘텐츠를 활용하여 이용자를 고려한 콘텐츠 재활용 방안을 제안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양한 시스템을 하나로 모으고, 그 맥락 안에서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가 가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a digital curation framework for supporting the digital policy of institutes that collect memory. As such, it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digital curation models, as well as a focus-group interview of historian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historical studies. In this study, digital curation framework refers to an abstract model for supporting policy development and the planning for a high-level view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his implications of this framework are as follows: (1) to emphasize the data life cycle and connection between stages and actions; (2) to make an infra-schema for understanding institutes that create, arrange, or store specific data as the same history contents have to be provided by different institutes and a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ata’s value; (3) to check the present conditions of information services and their systems; (4) to consider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contents that have been collected and stored; and (5) to converge all data in one system through the framework and activate diverse works in the context of the framework.

52
박서희(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24, Vol.24, No.1, pp.89-109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으로 2003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수록된 학술논문 136편과 LISTA(Library,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Abstracts)에 수록된 학술논문 74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 유형별, 연구자 유형별, 연구 대상별, 연구목적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빈도분석, 동시출현 빈도분석, 중심성분석, 토픽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내 논문은 특정 기관이나 기록물에 집중되었고 이용자 중심의 만족도조사 연구, 콘텐츠 중심의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국외논문은 아키비스트와 이용자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흐름과 함께 평가 중심의 연구, 자료․자원․컬렉션 등의 정보제공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자원의 관리는 국내외 논문 공통의 토픽으로 확인되었으나 국내는 정보자원의 품질 유지를, 국외는 정보의 저장과 검색에 집중된 연구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cord information services from 2003 to 2022. A total of 136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74 from the Library,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Abstracts (LISTA) were examin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search status of 20 years from various angles, such as publication year, research type, researcher type, subject, and purpose.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Results showed that domestic papers demonstrated a research flow focused on specific institutions or records, and user-centered satisfaction surveys and content-centered studies were conducted. Moreover, foreign papers confirmed various evaluation-oriented and information provision studies, such as data, resources, and collections, along with the research trend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vists and users.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resources was identified as a common topic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papers, bu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domestic research focuses on maintaining the quality of domestic information resources, while foreign research focuses on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53
최재혁(경북대학교) ; 김희섭(경북대학교) 2009, Vol.9, No.1, pp.77-98 https://doi.org/10.14404/JKSARM.2009.9.1.0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 웹기록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검증과정에서 나타난 웹기록 서비스의 문제점 지적 및 개선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용자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시스템품질, 이용자만족의 네 가지 기본적인 차원과 이용자충성도와 이용자불평의 두 가지 부가적인 차원으로 구성된 정보시스템 평가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 만족도가 각각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들의 계속적인 이용과 관련하여서는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 이용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Presidential Web Record Service' using a proposed model of the user satisfaction index which consists of contents quality,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In addition, user's royalty and compliant are also measured in this study. This study shows that satisfaction of contents quallity and system quality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contents quality,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user's royalty.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은 사회의 기록을 저장하고 이용토록함으로써 사회를 지탱하는 기반이 되는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록관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제안 모델은 기존의 기록관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영향은 성과의 한 영역이자 축적된 성과의 발현이라는 점에서 대표적인 성과평가 모델중의 하나인 논리모형을 적용하여 개발되었다. 실제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광범위한 사회적 영향 중에서 지역사회 강화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모형을 제안했다. 초기, 중기, 장기 성과를 포함하는 제안모형은 기록관 이용을 통해 지식, 태도, 기술의 변화가 만들어 내는 사회적 참여활동의 증가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민의 사회참여의 증가로 인한 지역사회 강화를 최종 성과로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모형을 기반으로 한 양적/질적 연구가 진행된다면 기록관의 사회적 영향이 분석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rchives identify and preserve records created by society. By making them available to people, archives can be a means of support to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to measure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Reviewing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on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this study’s model is based on the logic model, an outcome-based evaluation model, given that impact is not only followed by outcomes but can be the outcome itself. The scope of social impact is limited to community empowerment in terms of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model. The model, which includes short-, medium-, and long-term outcomes, could be used to measure changes i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archive users, and the social engagement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those changes in the community. The proposed model could include final outcomes that indicate the increase of community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civil society eng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is validated through apply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 social impact of archives.

55
오유진(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육혜인(전북대학교) ; 김수정(전북대학교) 2015, Vol.15, No.2, pp.7-30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007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원은 민간영역의 중요 기록물을 보호하고 기록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매년 ‘기록사랑마을’을 지정하여 지원․운영해오고 있다. 기록사랑마을은 국가 재정지원을 받는 사업인 만큼 예산사용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사업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하여 본래의 사업 목적을 기준으로 현재 현황을 점검하고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사랑마을 중 I군을 방문하여 접근성, 전시내용 및 방법, 시설 및 장비 등을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3명의 지역 관계자, 8명의 마을주민, 1명의 국가기록원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록사랑마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장차 기록사랑마을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사랑마을의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보다 많은 마을에서 그 지역의 민간기록물을 수집․관리 및 활용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In 2008,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itiated the Archive Village project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valuable private records and enhancing the awareness of archival culture. To justify the expense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 and determine its future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ject. To do that, the researchers visited an Archive Village in I county and examined its accessibility, exhibition contents, facilities, equipment, etc.,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ject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well as eight residents and three persons who were involved in building and managing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elp other villages plan acquisi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how to make important private records in local areas available.

56
연지현(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성원(충남대학교) 2022, Vol.22, No.2, pp.117-133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2.117
초록보기
초록

The archival content listed arbitrarily makes it difficult for users to efficiently access the records of major economic policies, especially given that they use it without understanding the required period and context. Using the text mining techniques in the 30-year economic policy direction from 1991 to 2021, this paper derives economic-related keywords and changes that the government mainly dealt with. It collects and preprocesses major economic policies’ background, main content, and body text and conducts text frequency,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network, and time series analyse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words are recorded in order of frequency: “job(일자리),” “competitive(경쟁력),” and “restructuring(구조조정).” In addition, the relative ratio of “job(일자리),” “real estate(부동산),” and “corporation(기업),” by year was analyzed in terms of chronological order while presenting major keywords mentioned by each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broadening the area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related to economic policies.

Abstract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aims for the above mentioned. After all, through the analysis of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to understand a user’s demand under online circumstances, groping for the method to provide an appropriat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is, in this study, it researched the users interviews and the research related to users as a precedence study, and the studies having examined the state of demanding information by users through analyzing the e-mail actually. Additionally, by looking over the stud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at is activated in a field of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rather than Archival Science, as a matter of fact, the study has come up with the standard for analyzing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And based on the precedence study, the instances for the National Archives from USA, England, Australia and Canada were analyzed, and the chance of activat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ere tried to grope for in the study. This study might be one of methodologies in examining the users study that is not activated yet in Archival Science. Therefore, the users study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ethods as well as Electronic Archives/Answering Service. This study might be the important information in providing far bette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t is desirable that based on this opportunity, the study related to the various users by examining not only Electronic Archives/Answering Function but also Question/Answering of the users and the Archivists in the filed to the larger extend will be activated for Archival Science.

58
한현진(부산대학교) ; 이수상(부산대학교) 2008, Vol.8, No.1, pp.143-165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1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실에서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록물을 자원기반학습에 적용하여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집단과의 협력작업을 통해 기록-자원기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교수학습안과 일반적인 교수학습안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기록-자원기반학습의 효과에 대한 검증은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for archives with a focus on program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model. And the other purpose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The researcher and teachers designed two lessen plans for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and general learning. To compare with the archival-resource based learning and the general learning, the researcher divided into two comparison classes of 6th graders of two elementary school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SPSS WIN 12.0 for t-test.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관은 국가적 보존가치가 높은 중요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곳이며, 교육과 연구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통해 기록물에 대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한다면 현재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잠재적 이용자를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관 웹사이트 평가에 적합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 지표를 이용하여 국내외 국가기록관 웹사이트를 평가해봄으로써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의 개선안을 영역별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national archives websit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schemes for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s website. As the first step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national archives and features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it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national archives websites to evaluate the website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composed of 3 evaluation areas, 10 evaluation items, and 42 evaluation questions. Third, evalu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i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ustralia, Canada and Korea.

60
김현채(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 ; 강성희(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 ; 이해영(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 2024, Vol.24, No.1, pp.47-72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0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의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를 분석하여, 기관 관계 구조 파악 문제 등을 확인하고, RiC-O의 적용을 통한 개선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선을 위한 참고 사례로 RiC-O를 기반으로 한 프랑스의 PIAAF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RiC-O를 사용함으로써 기록물과 기록 생산자에 관련된 정보를 통합하고, 데이터 개체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링크드 데이터와 같은 새로운 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전거레코드의 상호운용성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의 개선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RiC-O에 기반한 전거레코드 서비스를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lves in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changes in records-creating agencies, identifying the problems in an organizational relationship structure and exploring potential enhancements using the RiC-O. Drawing insights from the French PIAAF project, we applied RiC-O to integrate information on records and records creators, elucidating relationships between data entities. Our analysis demonstrated that leveraging RiC-O, coupled with technologies like linked data, amplifies the interoperability of authority records, substantially enhancing the service providing information on changes in records-creating ag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an authority record service based on RiC-O, presenting a prototype designed to improve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change information service and enhance user experience.

한국기록관리학회지